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1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중섭
서명 / 저자사항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신중섭 저.
발행사항
서울 :   자유기업센터 ,   1999.  
형태사항
521 p. ; 23 cm.
총서사항
자유주의시리즈 , 학술 ; 38
ISBN
8984290130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97-503
주제명(개인명)
Popper, Karl Raimund  
000 00697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653210
005 20100806101336
007 ta
008 991208s1999 ulk 001a kor
020 ▼a 8984290130 ▼g 9332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9476 ▼l 111139477 ▼l 111139478
082 0 4 ▼a 301 ▼2 21
090 ▼a 301 ▼b 1999g
100 1 ▼a 신중섭 ▼0 AUTH(211009)80854
245 1 0 ▼a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d 신중섭 저.
260 ▼a 서울 : ▼b 자유기업센터 , ▼c 1999.
300 ▼a 521 p. ; ▼c 23 cm.
490 0 0 ▼a 자유주의시리즈 , 학술 ; ▼v 38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 497-503
600 1 4 ▼a Popper, Karl Raimund
950 0 ▼b \13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139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139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5607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510776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510776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139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139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115607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510776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1 1999g 등록번호 1510776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절망과 희망, 좌절과 성취, 고난과 영광으로 점철된 20세기를 살아가면서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낙관주의는 도덕적 의무'라고 믿은 포퍼의 철학사상을 다루고 있다. 포퍼는 이성의 힘을 믿는다. 그가 믿은 이성은 완전한 세계를 계획하고 실현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오만한 절대적 이성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토론하고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고쳐나가려는 겸손한 이성이다. 겸손한 이성이 살아 숨쉬는 사회가 열린 사회이다.

열린 사회는 자유주의 사회이다. 열린 사회는 개인이 결정을 내리고 책임지는 사회이다. 열린 사회에서 정부정책은 비판의 빛을 받아 수정된다. 열린 사회는 이상국가의 건설을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 우리는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좀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열린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자유시장이 발전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해 준다.

이 책은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디인가라는 문제 의식에서 포퍼를 해석하면서, 우리 사회가 열린 사회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는 가치관이 무엇인가를 탐색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중섭(지은이)

강원대학교 윤리교육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철학회 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을 역임. 저서로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초》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 바로읽기》 《현대 문명의 전환》(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저자 서문 = 5
제1장 세계가 우선인가, 세계관이 우선인가
 1. 세계와 세계관 = 23
 2. 이론 적재적 관찰 = 26
 3. '세계를 바라보는 창' : 기독교와 마르크스의 인간관 = 33
 4. 공병호와 장상환 = 36
 5. 모든 패러다임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 40
제2장 20세기의 낙관주의자 포퍼
 6. 절망의 20세기 = 49
 7. 한 좌파 지식인의 비관 = 53
 8. 낙관주의자 포퍼 = 57
 9. 포퍼의 학문적 생애 = 61
 10. 역사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 67
 11. 라이프니츠와 다른 낙관주의자 포퍼 = 72
제3장 열린 사회의 철학적 기초
 12. 합리적 방법 = 79
 13. 비판적 합리주의의 원조 소크라테스 = 83
 14. 비합리주의의 위험성 = 86
 15. 과학의 객관성 = 90
 16. 귀납의 문제 = 95
 17. 구획기준의 문제와 반증가능성 = 102
 18. 얻기 어려운 진리 = 104
 19. 세계 3과 비판적 합리주의 = 109
제4장 열린 사회의 이념적 지향
 20.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 = 115
 21. 정치적 담론에서의 개방성 = 118
 22. 베르그송의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 = 120
 23. 포퍼의 열린 사회 = 124
 24. 닫힌 사회 = 129
 25. 열린 사회에서 개인의 책임 = 130
제5장 열린 사회의 역사적 기원
 26. 살아 있는 조상의 그림자 = 135
 27. 금기의 지배를 받은 부족사회 = 138
 28. 소박한 일원론과 비판적 이원론 = 140
 29. 자연주의와 반자연주의 = 143
 30. 경쟁 없는 유기체 사회와 경쟁사회 = 145
 31. 닫힌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 = 149
 32. '위대한 세대'의 열린 정신 = 152
 33. 열린 사회의 사상가 소크라테스 = 156
 34. 플라톤의 배반 = 158
 35. 열린 사회로의 길 = 160
 36. 참여와 책임 = 164
제6장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37. 싫으면 남아서 고쳐라 = 167
 38. 유토피아주의 = 168
 39.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 172
 40.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의 기본 이념 = 174
 41.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에 대한 비판 = 180
 42. 폭력 수반 = 182
 43. 고비용 = 184
 44. 전체론의 문제점 = 186
 45. 유토피아주의의 유미주의적 완전주의적 성격의 귀결 = 191
 46. 혁명적인 사회개혁의 문제점과 대안 = 195
제7장 점진적 사회공학
 47. 점진적 사회공학의 특성 = 199
 48. 점진적 사회공학의 두 가지 명법 = 203
 49. 고통의 감소 = 207
 50. 직접적 방법 = 209
 51. 진보의 척도 = 210
제8장 사람이 우선인가, 제도가 우선인가
 52. 잘못된 물음 = 213
 53. 덕치인가, 법치인가 = 216
 54. 철인왕 = 220
 55. 마르크스의 제도 불신 = 222
 56. 정치무력론 = 227
 57. 계급투쟁과 사회주의의 도래 = 231
 58. 포퍼의 대안 = 233
 59. 정치무력론의 약점들 = 236
 60. 형식적 자유 = 238
 61. 국가 간섭의 두 가지 형태 = 241
 62. 권력의 도구로서의 법 = 244
제9장 열린 사회와 민주주의
 63. 민주주의의 다의성 = 251
 64. 비판적 합리주의의 민주주의론 = 254
 65. 민주주의의 역설 = 258
 66. 여론의 신화 = 260
 67. 여론의 위험성 = 263
 68. 중요한 것은 여론이 아니라 합리적 토론이다 = 263
제10장 자유주의, 열린 사회, 그리고 국가
 69. 바람직한 국가 = 267
 70. 얽매이지 않는 자유주의자 = 269
 71.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유주의 = 270
 72. 자유주의의 발전과 상업 = 272
 73. 포퍼는 자유주의자인가 = 276
 74.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적 인간관 = 280
 75. 마르크스의 사회주의적 인간관 = 281
 76.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 284
 77. 포퍼의 보호주의적 국가이론 = 290
 78. 보호주의에 대한 또다른 반론 = 294
 79. 보호주의의 창시자 = 295
 80. 비판적 합리주의의 국가관 = 297
 81.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 299
제11장 열린 사회와 전체주의
 82. 전체주의 체제 = 303
 83. 플라톤의 전체주의적 행복 = 305
 84. 전체주의적 정의正義 = 308
 85.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 310
 86. 문명사회의 위협 : 전체주의 = 316
 87. 인간은 자유를 원하는가 = 318
 88. 전체주의에 대한 베텔하임의 설명 = 320
제12장 폭력사용의 정당화
 89. 폭력의 문제 = 323
 90. 박노해의 폭력정당화 = 324
 91. 폭력에 대한 대안 = 328
 92. 이성과 폭력사용의 정당화 = 331
 93. 혁명의 유혹 = 336
 94. 지켜야 할 가치들 = 338
제13장 역사는 정해진 법칙에 따라 진행되는가
 95. 미래 예측 = 341
 96. 역사주의 = 343
 97. 전통적 역사주의와 포퍼의 역사주의 = 345
 98. 역사주의의 기원 = 348
 99. 헤라클레이토스의 역사주의 = 350
 100. 플라톤의 역사주의 = 354
 101. 헤겔의 역사주의 = 358
 102.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 362
 103.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비판 = 365
 104. 물리학과 역사학 = 370
제14장 역사의 의미와 인간의 책임
 105. 역사와 미래 = 375
 106. '역사'라는 말의 의미 = 376
 107. 이론과 사실 = 378
 108. 역사해석 = 380
 109. 객관적 사실의 신화 = 382
 110. '역사의 의미'에서 '의미'란 무엇인가 = 385
 111. 포퍼의 역사의 의미 = 387
 112. 역사주의자의 역사해석에 대한 비판 = 389
 113. 인간이 부여한 역사의 의미 = 392
제15장 가치관의 특성과 변화
 114. 열린 사회와 번영 = 539
 115. 가치체계의 일반적인 특성 = 397
 116. 가난에서 벗어난 한국 = 398
 117.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사회에서의 가치관의 변화 = 400
 118. 열린 사회를 가로막는 가치관 = 403
제16장 열린 사회의 개인주의와 닫힌 사회의 집단주의
 119. 열린 사회와 문화 = 411
 120. 열린 사회와 권력거리 = 416
 121. 집단주의 사회와 개인주의 사회 = 419
제17장 열린 사회로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치관과 이념들
 122. 정신적 패러다임 = 425
 123. 권위주의 = 427
 124. 가족주의 = 429
 125. 집단주의 = 437
 126. 가치관의 변화 = 444
 127. 민족주의 = 447
 128. 민족주의와 국민기업 = 457
 129. 가치관의 변화 = 460
제18장 닫힌 사회 북한과 통일
 130. 햇볕정책과 북한 = 461
 131. 쿤의 패러다임 이론과 이념적으로 불가공약적인 남한과 북한 = 465
 132. 주체사상과 자유민주주의 = 467
 133.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 470
 134. 김정일의 남한 인식 = 472
 135. 공산권의 몰락에 대한 해석 = 474
 136. 사유재산제와 사상의 자유 = 476
 137. 통일정책 = 479
 138. 불가공약적인 두 패러다임의 통합, 또는 공존 = 480
 139. 변해야 할 북한 = 483
 140. 소극적인 통일정책 = 487
 141. 통일을 위하여 = 49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