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5
제1장 세계가 우선인가, 세계관이 우선인가
1. 세계와 세계관 = 23
2. 이론 적재적 관찰 = 26
3. '세계를 바라보는 창' : 기독교와 마르크스의 인간관 = 33
4. 공병호와 장상환 = 36
5. 모든 패러다임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 40
제2장 20세기의 낙관주의자 포퍼
6. 절망의 20세기 = 49
7. 한 좌파 지식인의 비관 = 53
8. 낙관주의자 포퍼 = 57
9. 포퍼의 학문적 생애 = 61
10. 역사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 67
11. 라이프니츠와 다른 낙관주의자 포퍼 = 72
제3장 열린 사회의 철학적 기초
12. 합리적 방법 = 79
13. 비판적 합리주의의 원조 소크라테스 = 83
14. 비합리주의의 위험성 = 86
15. 과학의 객관성 = 90
16. 귀납의 문제 = 95
17. 구획기준의 문제와 반증가능성 = 102
18. 얻기 어려운 진리 = 104
19. 세계 3과 비판적 합리주의 = 109
제4장 열린 사회의 이념적 지향
20.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 = 115
21. 정치적 담론에서의 개방성 = 118
22. 베르그송의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 = 120
23. 포퍼의 열린 사회 = 124
24. 닫힌 사회 = 129
25. 열린 사회에서 개인의 책임 = 130
제5장 열린 사회의 역사적 기원
26. 살아 있는 조상의 그림자 = 135
27. 금기의 지배를 받은 부족사회 = 138
28. 소박한 일원론과 비판적 이원론 = 140
29. 자연주의와 반자연주의 = 143
30. 경쟁 없는 유기체 사회와 경쟁사회 = 145
31. 닫힌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 = 149
32. '위대한 세대'의 열린 정신 = 152
33. 열린 사회의 사상가 소크라테스 = 156
34. 플라톤의 배반 = 158
35. 열린 사회로의 길 = 160
36. 참여와 책임 = 164
제6장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37. 싫으면 남아서 고쳐라 = 167
38. 유토피아주의 = 168
39.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 172
40.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의 기본 이념 = 174
41.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에 대한 비판 = 180
42. 폭력 수반 = 182
43. 고비용 = 184
44. 전체론의 문제점 = 186
45. 유토피아주의의 유미주의적 완전주의적 성격의 귀결 = 191
46. 혁명적인 사회개혁의 문제점과 대안 = 195
제7장 점진적 사회공학
47. 점진적 사회공학의 특성 = 199
48. 점진적 사회공학의 두 가지 명법 = 203
49. 고통의 감소 = 207
50. 직접적 방법 = 209
51. 진보의 척도 = 210
제8장 사람이 우선인가, 제도가 우선인가
52. 잘못된 물음 = 213
53. 덕치인가, 법치인가 = 216
54. 철인왕 = 220
55. 마르크스의 제도 불신 = 222
56. 정치무력론 = 227
57. 계급투쟁과 사회주의의 도래 = 231
58. 포퍼의 대안 = 233
59. 정치무력론의 약점들 = 236
60. 형식적 자유 = 238
61. 국가 간섭의 두 가지 형태 = 241
62. 권력의 도구로서의 법 = 244
제9장 열린 사회와 민주주의
63. 민주주의의 다의성 = 251
64. 비판적 합리주의의 민주주의론 = 254
65. 민주주의의 역설 = 258
66. 여론의 신화 = 260
67. 여론의 위험성 = 263
68. 중요한 것은 여론이 아니라 합리적 토론이다 = 263
제10장 자유주의, 열린 사회, 그리고 국가
69. 바람직한 국가 = 267
70. 얽매이지 않는 자유주의자 = 269
71.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유주의 = 270
72. 자유주의의 발전과 상업 = 272
73. 포퍼는 자유주의자인가 = 276
74.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적 인간관 = 280
75. 마르크스의 사회주의적 인간관 = 281
76.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 284
77. 포퍼의 보호주의적 국가이론 = 290
78. 보호주의에 대한 또다른 반론 = 294
79. 보호주의의 창시자 = 295
80. 비판적 합리주의의 국가관 = 297
81.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 299
제11장 열린 사회와 전체주의
82. 전체주의 체제 = 303
83. 플라톤의 전체주의적 행복 = 305
84. 전체주의적 정의正義 = 308
85.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 310
86. 문명사회의 위협 : 전체주의 = 316
87. 인간은 자유를 원하는가 = 318
88. 전체주의에 대한 베텔하임의 설명 = 320
제12장 폭력사용의 정당화
89. 폭력의 문제 = 323
90. 박노해의 폭력정당화 = 324
91. 폭력에 대한 대안 = 328
92. 이성과 폭력사용의 정당화 = 331
93. 혁명의 유혹 = 336
94. 지켜야 할 가치들 = 338
제13장 역사는 정해진 법칙에 따라 진행되는가
95. 미래 예측 = 341
96. 역사주의 = 343
97. 전통적 역사주의와 포퍼의 역사주의 = 345
98. 역사주의의 기원 = 348
99. 헤라클레이토스의 역사주의 = 350
100. 플라톤의 역사주의 = 354
101. 헤겔의 역사주의 = 358
102.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 362
103.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비판 = 365
104. 물리학과 역사학 = 370
제14장 역사의 의미와 인간의 책임
105. 역사와 미래 = 375
106. '역사'라는 말의 의미 = 376
107. 이론과 사실 = 378
108. 역사해석 = 380
109. 객관적 사실의 신화 = 382
110. '역사의 의미'에서 '의미'란 무엇인가 = 385
111. 포퍼의 역사의 의미 = 387
112. 역사주의자의 역사해석에 대한 비판 = 389
113. 인간이 부여한 역사의 의미 = 392
제15장 가치관의 특성과 변화
114. 열린 사회와 번영 = 539
115. 가치체계의 일반적인 특성 = 397
116. 가난에서 벗어난 한국 = 398
117.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사회에서의 가치관의 변화 = 400
118. 열린 사회를 가로막는 가치관 = 403
제16장 열린 사회의 개인주의와 닫힌 사회의 집단주의
119. 열린 사회와 문화 = 411
120. 열린 사회와 권력거리 = 416
121. 집단주의 사회와 개인주의 사회 = 419
제17장 열린 사회로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치관과 이념들
122. 정신적 패러다임 = 425
123. 권위주의 = 427
124. 가족주의 = 429
125. 집단주의 = 437
126. 가치관의 변화 = 444
127. 민족주의 = 447
128. 민족주의와 국민기업 = 457
129. 가치관의 변화 = 460
제18장 닫힌 사회 북한과 통일
130. 햇볕정책과 북한 = 461
131. 쿤의 패러다임 이론과 이념적으로 불가공약적인 남한과 북한 = 465
132. 주체사상과 자유민주주의 = 467
133.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 470
134. 김정일의 남한 인식 = 472
135. 공산권의 몰락에 대한 해석 = 474
136. 사유재산제와 사상의 자유 = 476
137. 통일정책 = 479
138. 불가공약적인 두 패러다임의 통합, 또는 공존 = 480
139. 변해야 할 북한 = 483
140. 소극적인 통일정책 = 487
141. 통일을 위하여 =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