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과서 연구의 논점과 방향 = 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5
2. 연구 내용 = 9
3. 연구 과정 = 12
Ⅱ. 제7차 교육과정과 새 학교 문화 창조 = 15
1.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15
2. 새 학교 문화 창조의 과제 = 18
Ⅲ. 교과서 기능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상 = 32
1. 교과서의 기능 = 32
2. 교과서의 유형 = 37
3.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상 = 44
Ⅳ. 교과서 내용 체제의 구성 요소 = 58
1. 교과서의 배경 요인 = 58
2. 교과서의 내용 선정과 조직 = 62
3. 교과서의 내용 제시 방식 = 66
1. 도덕과 교육의 현황 = 83
가. 도덕과 교육의 성격 및 목표 = 83
나. 도덕과 교육의 동향 = 87
다. 도덕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 91
2. 도덕과 교과서의 개발 방향 = 92
가. 현행 도덕과 교과서의 문제점 = 92
나.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내용 구성 = 105
다. 도덕과 교과서의 개선 방향 = 108
3. 새로운 도덕과 교과서의 조건 = 113
가. 도덕 교육 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도덕 교과서의 조건 = 113
나.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도덕 교과서의 조건 = 120
다. 학습자 중심 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도덕 교과서의 조건 = 123
라. 학생들의 도덕 의식 및 도덕 문제에 비추어 본 도덕 교과서의 조건 = 125
마. 현장 교사들의 의견에 비추어 본 좋은 도덕 교과서의 조건 = 127
4. 도덕과 교과서 모형 및 예시안 = 128
가. 도덕과 교과서 모형 = 128
1) 자료 중심형 = 128
2) 쟁점(issue) 중심 = 129
3) 도덕적 딜레마 중심형 = 130
4) 내러티브 중심형 = 131
5) 활동 중심형 = 132
6) 도덕적 모범 제시형 = 132
나. 도덕과 교과서 예시안 = 132
1)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예시안 = 132
2) 중학교 도덕 교과서 예시안 = 136
3)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 예시안 = 150
5. 요약 = 152
표차례
1. 제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성격과 목표 = 159
가. 사회과의 성격 = 159
나. 사회과의 목표 = 162
다. 사회과의 내용 체계 = 164
2. 사회과 교육의 동향과 쟁점 = 168
가. 사회과 교육의 동향 = 168
나. 사회과 교육의 쟁점 = 170
다. 사회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 176
3. 사회과 교과서의 개선 방향 = 182
가.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 182
나. 사회과 교과서의 개선 방향 = 187
다. 사회과 교과서의 예시 모형 = 194
[초등학교] = 196
[중학교] = 213
[고등학교] = 227
1. 현행 수학 교과서 개선 방향 = 243
가. 연구 배경 = 243
나. 현행 수학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245
2.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상 = 254
가. 수학교육에서의 구성주의 = 254
나. 구성주의와 교과서 = 258
다.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의 구성 방향 = 266
3.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 모형 = 275
가. 조작적 구성을 강조하는 교과서 = 276
나.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교과서 = 285
다. 다양한 수준별 교과서 = 289
4.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 예시 = 293
가. 초등 학교 「평면도형」 단원 예시안 = 295
나. 중학교 「문자와 식」 단원 예시안 = 303
다. 예시안에 대한 논의 = 327
5.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에 관한 논의 = 328
가. 구성주의적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 328
나. 수학 교사의 역할 = 333
다. 제언 = 337
1. 과학과 교육의 동향과 목표 = 345
가. 과학과 교육의 동향 = 345
나. 과학교육의 목표 = 348
다. 과학과의 특성 = 349
라. 과학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향 = 350
마. 과학과 내용 체계 = 353
2. 과학 교과서의 개발 방향 = 361
가.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 362
나. 과학과 교과서의 개선 방향 및 일반 모형 = 397
3. 과학과 교과서 모형에 따른 예시안 = 407
가. 개념 학습 중심 교과서 모형 = 407
나. 탐구 중심 교과서 모형 = 443
다. 통합/심화·보충형 교과서 모형 = 480
4. 요약 = 501
1. 미술과 교육의 동향 = 511
가. 미술과 교육의 성격과 목표 = 511
나. 미술과 교육의 흐름 = 516
다. 미술과 교육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 519
2. 미술 교과서의 개발 방향 = 523
가.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 = 523
나. 교과서의 내용 구성 = 548
다. 교과서의 개선 방향 및 일반 모형 = 553
3. 미술 교과서의 예시 = 561
가. 초등학교 = 563
나. 중학교 = 579
다. 고등학교 = 592
4. 요약 =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