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님의 침묵

님의 침묵 (Loan 8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용운 韓龍雲, 1879-1944 고은
Title Statement
님의 침묵 / 한용운 지음 ; 고은 엮음 ; 염무웅 해설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민음사,   1999  
Physical Medium
127 p. : 연보 ; 21 cm
Series Statement
세계시인선 ;40
ISBN
8937418401 8937418002 (세트)
General Note
한용운의 본명은 '한유천'임  
000 00809namcc2200277 k 4500
001 000000652587
005 20110623114755
007 ta
008 991202s1999 ulkj 000ap kor
020 ▼a 8937418401 ▼g 04810 : ▼c \4500
020 1 ▼a 8937418002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142041 ▼l 111142042 ▼l 111142043
082 0 4 ▼a 897.15
085 ▼a 897.15 ▼2 DDCK
090 ▼a 897.15 ▼b 한용운 님d
100 1 ▼a 한용운 ▼g 韓龍雲, ▼d 1879-1944 ▼0 AUTH(211009)126552
245 1 0 ▼a 님의 침묵 / ▼d 한용운 지음 ; ▼e 고은 엮음 ; ▼e 염무웅 해설
260 ▼a 서울 : ▼b 민음사, ▼c 1999
300 ▼a 127 p. : ▼b 연보 ; ▼c 21 cm
490 0 0 ▼a 세계시인선 ; ▼v 40
500 ▼a 한용운의 본명은 '한유천'임
700 1 ▼a 고은
900 1 0 ▼a 한유천
950 0 ▼b \45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11142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111420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510748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11142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111420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15 한용운 님d Accession No. 1510748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민음 세계시인선 시리즈 40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한용운(지은이)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한응준과 온양 방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자(字)는 정옥(貞玉), 속명은 유천(裕天), 법명(法名)은 용운(龍雲), 법호(法號)는 만해이다. 어려서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한 뒤, 향리에서 훈장으로 학동을 가르치는 한편 부친으로부터 때때로 의인들의 기개와 사상을 전해 듣고 큰 감명을 받았다. 기울어 가는 국운 속에서 홍주에서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전쟁과 의병운동을 목격하면서 집을 나서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설악산 오세암으로 들어갔다. 여기서 불교의 기초지식을 섭렵하면서 수도하다가 다른 세계에 대한 관심으로 노령 시베리아 등지를 여행하기도 하였다. 귀국 후 1905년 다시 설악산 백담사로 들어가 속세와 인연을 끊고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1910년 당시 모순과 부패가 만연하던 한국불교의 상황을 개탄하면서 개혁방안을 제시한 실천적 지침서인 《조선불교유신론》을 백담사에서 탈고하였고, 그것을 1913년 발간함으로써 불교계에 일대 혁신운동을 일으켰다. 1914년 4월에는 고려대장경을 독파하고 《불교대전》을 간행하였으며, 1918년에는 본격적인 불교잡지 <유심(惟心)>을 발간하였다. 1919년 천도교, 기독교, 불교계 등 종교계를 중심으로 추진된 3.1운동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불교계측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일도 맡았다. 1919년 7월 10일에는 경성지방법원 검사장의 요구로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이란 논설을 집필하여 명쾌한 논리로 조선독립의 정당성을 설파하였다. 3.1운동 때문에 감옥에 갔다가 석방된 뒤에도 전국적으로 확산된 물산장려운동을 지원하고, 민족경제의 육성과 민족교육을 위한 사립대학 건립운동에 앞장섰다. 창씨개명 반대운동, 조선인 학병출정 반대운동 등을 펴기도 했다. 1944년 6월 29일 그토록 그리던 조국광복과 민족독립을 눈앞에 두고 입적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는 뜻으로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님의 침묵(沈默)

 군말 = 13

 님의 침묵 = 14

 이별은 미의 창조 = 16

 알 수 없어요 = 17

 가지마셔요 = 18

 나의 길 = 20

 꿈 깨고서 = 21

 예술가 = 22

 이별 = 24

 길이 막혀 = 28

 하나가 되어 주셔요 = 29

 나룻배와 행인 = 30

 차라리 = 31

 나의 노래 = 32

 당신이 아니더면 = 34

 잠 없는 꿈 = 35

 사랑의 측량 = 37

 진주 = 38

 의심하지 마셔요 = 39

 당신은 = 41

 행복 = 42

 밤은 고요하고 = 43

 비밀 = 44

 꿈과 근심 = 45

 포도주 = 46

 님의 손길 = 47

 해당화 = 48

 당신을 보았습니다 = 49

 비 = 51

 복종 = 52

 참아주셔요 = 53

 어느 것이 참이냐 = 55

 첫 키스 = 57

 선사의 설법 = 58

 그를 보내며 = 59

 님의 얼굴 = 60

 낙원은 가시덤불에서 = 62

 참말인가요 = 63

 꽃이 먼저 알아 = 65

 찬송 = 66

 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에 = 67

 당신의 편지 = 71

 달을 보며 = 72

 인과율(因果律) = 73

 어디라도 = 74

 떠날 때의 임의 얼굴 = 75

 최초의 님 = 76

 나의 꿈 = 78

 우는 때 = 79

 수(繡)의 비밀 = 80

 (사랑)을 사랑하여요 = 81

 당신의 마음 = 83

 거문고 탈 때 = 84

 오셔요 = 85

 쾌락 = 87

 사라의 끝판 = 88

제2부 심우장의 노래

 산거(山居) = 91

 낙화(落花) = 92

 강(江) 배 = 93

 심(心) = 94

제3부 산사운(山寺韻)

 심우장(尋牛莊) = 99

 한강에서 = 100

 춘화(春畵) = 101

 남아(男兒) = 102

 무궁화 심고자 = 103

제4부 산가의 새벽

 가을 밤 비 = 107

 산가(山家)의 새벽 = 108

 고향 생각 = 109

 동지(冬至) = 110

 병든 시름 = 112

 영호(映湖)ㆍ금봉(錦峰) 두 선사(禪師)와 시를 짓다 = 113

 맑은 노래 = 114

 영산포의 배 안에서 = 115

 오도송(悟道頌) = 116

 회갑날의 즉흥(卽興) = 117

해설 = 119

연보 = 1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