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652477 | |
005 | 20211102130617 | |
007 | ta | |
008 | 991201s1999 ulkaj 000c kor | |
020 | ▼a 8985022237 ▼g 04300 | |
020 | 1 | ▼a 8985022180(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139316 ▼l 111139317 ▼l 111139318 ▼l 111268695 |
082 | 0 4 | ▼a 335.412 ▼2 21 |
085 | ▼a 335.412 ▼2 DDCK | |
090 | ▼a 335.412 ▼b 1999b | |
100 | 1 | ▼a Marx, Karl, ▼d 1818-1883 ▼0 AUTH(211009)123002 |
245 | 1 0 | ▼a 임금 노동과 자본 / ▼d 칼 맑스 지음 ; ▼e 김태호 옮김 |
246 | 1 9 | ▼a Karl Marx, Friedrich Engels. Werke |
260 | ▼a 서울 : ▼b 박종철출판사, ▼c 1999 | |
300 | ▼a viii,100 p. : ▼b 삽도,연보 ; ▼c 19 cm | |
440 | 0 0 | ▼a 맑스 엥겔스 에센스 ; ▼v 02 |
500 | ▼a 이 책은 1891년에 엥겔스가 손을 본 판본을 싣고 있는 독일어판 Karl Marx/Friedrich Engels:Werke. Dietz Verlag, Berlin 제6권 397-423쪽과 제22권 202-209쪽을 번역한 것임 | |
700 | 1 | ▼a 김태호, ▼e 역 |
900 | 1 0 | ▼a 맑스, 칼,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12 1999b | 등록번호 1112686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 청구기호 335.412 1999b | 등록번호 111139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35.412 1999b | 등록번호 192051981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지은이)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목차
목차 [1891년 엥겔스의] 서설 = 1 임금 노동과 자본 = 19 1849년 4월 5일 자 제264호 = 20 1849년 4월 6일 자 제265호 = 32 1849년 4월 7일 자 제266호 = 42 1849년 4월 8일 자 제267호 = 50 1849년 4월 11일 자 제269호 = 59 해제 『임금 노동과 자본』과 맑스의 정치 경제학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