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652457 | |
005 | 20190806173528 | |
007 | ta | |
008 | 991201s1999 ulka 001c kor | |
020 | ▼a 8985922882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33031 ▼l 111133032 ▼f 개가 ▼l 111133033 ▼f 개가 ▼l 131006663 ▼f 의학 ▼l 111208530 ▼f 개가 |
082 | 0 4 | ▼a 150 ▼2 23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1999c2 | |
100 | 1 | ▼a Gleitman, Henry |
245 | 1 0 | ▼a 심리학입문 / ▼d Henry Gleitman 원저 ; ▼e 장현갑 [외]편역 |
246 | 1 9 | ▼a Basic psychology ▼g (4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1999 ▼g (2009 6쇄) | |
300 | ▼a vii, 520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편역: 안진호, 이진환, 신현정, 정봉교, 이광오, 도경수 | |
700 | 1 | ▼a 장현갑, ▼e 편역 ▼0 AUTH(211009)64074 |
700 | 1 | ▼a 안진호, ▼e 편역 |
700 | 1 | ▼a 이진환, ▼e 편역 |
700 | 1 | ▼a 신현정, ▼e 편역 |
700 | 1 | ▼a 정봉교, ▼e 편역 |
700 | 1 | ▼a 이광오, ▼e 편역 |
700 | 1 | ▼a 도경수, ▼e 편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150 1999c2 | 등록번호 1111330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150 1999c2 | 등록번호 1111330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1999c2 | 등록번호 1111330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1999c2 | 등록번호 1115715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미국 심리학 재단에서 수여하는 Distinglished Teaching in Psychology Award를 수상한 바 있는 H. Gleitman의 Basic Psychology, 4/e 의 내용 중 한 학기용의 강의교재로 축약하여 번역한 것으로 미국내에서도 대학원 입시용 교재로 쓰일 만큼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독자들이 쉽고도 재미있게 심리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내용이 광범위하면서도 설명의 깊이를 견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개론서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심리학" 책의 내용 중 한 학기 용의 강의 교재로 축약하여 번역한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HENRY GLEITMAN(지은이)
<심리학입문>
이진환(옮긴이)
<심리학입문>
장현갑(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와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가톨릭 의과대학 외래교수, 한국심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명상학회 명예회장, 한국통합의학회 고문, 마인드플러스 스트레스 대처 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또한 직접 개발한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명상과 의학의 접목을 시도한 ‘통합의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2001년부터 세계인명사전인 마르퀴즈 후즈후(Marquis Who’s Who) 5개 분야(인 더 월드, 사이언스 & 엔지니어링, 메디슨 & 헬스 케어, 리더스, 아시아)에 걸쳐 9년 연속 등재되었다. 2005년 영국국제인명센터(IBC)로부터 ‘100대 교육자’에 선정되었고, 2006년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영구 헌정되었다. 또한 미국인명협회(ABI)로부터 2006년에는 ‘500인의 영향력 있는 인물’, 2009년에는 ‘2009 Man of The Year 50’으로 선정되었다. 2012년에는 50년간 한국 심리학 발전에 공헌한 업적을 인정받아 한국심리학회에서 수여하는 공로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생물심리학』, 『마음 vs 뇌』, 『스트레스는 나의 힘』, 『심리학자의 인생 실험실』(제14회 불교출판문화상 우수상) 등이 있고,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붓다 브레인』, 『마음이 몸을 치료한다』 등을 번역했다.
신현정(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안신호(옮긴이)
<심리학입문>
정봉교(옮긴이)
<심리학입문>
이광오(옮긴이)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도경수(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그리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부산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에서 심리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정년퇴직하였다. 저서로 《사고 : 추리, 판단, 결정》, 《인지심리학(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인지심리학(공역)》, 《행동과학을 위한 통계학(공역)》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심리학의 범위 = 1 많은 얼굴을 가진 과학 = 7 심리학의 과제 = 7 심리학의 분야 = 9 심리학의 연구방법 = 15 제2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기본신경기능 : 수용, 통합, 반사 = 21 신경계통의 중요구조 = 26 대뇌피질 = 29 하나의 뇌 또는 두 개의 뇌 = 35 방향성으로서의 동기 = 40 기아감 = 43 공포와 분노 = 51 수면과 각성 = 59 상이한 동기들 사이의 공통성 = 66 제3장 학습 습관화 = 74 고전적 조건형성 = 75 도구적 조건형성 = 83 인지학습 = 99 학습의 다양성 = 111 동물에서 복잡한 인지 = 116 제4장 지각 지각의 문제 = 121 깊이지각 : 어디에 있는가? = 122 운동지각 : 무엇을 하고 있는가? = 126 형태지각 : 감각되어진 이것은 무엇인가? = 128 지각적 선택 : 주의 = 143 실제의 지각 = 149 제5장 기억 기억 연구 = 156 부호화 = 159 인출 = 171 기억의 실패 = 178 마지막 정리 = 193 제6장 사고 유추적 표상 = 196 상징적 표상 = 202 사고 과정 : 문제해결 = 205 사고 과정 : 추리와 의사 결정 = 222 마지막 정리 = 231 제7장 인지발달과 사회성발달 발달이란 무엇인가? = 233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236 Piaget 이론에 대한 비판들 = 245 인지적 성장의 원인 = 248 사회성발달 = 255 아동기 사회화 = 265 도덕성의 발달 = 270 성역할의 발달 = 275 아동기 이후의 발달 = 283 제8장 심리검사 : 지능검사와 성격검사 심리검사 = 289 지능검사 = 294 지능이란 무엇인가? IQ를 넘어서 = 301 유전, 환경 그리고 IQ = 306 제9장 성격 이론 특성접근 = 321 행동 - 인지적 접근 = 330 심리역동적 접근 : Freud와 정신분석학 = 336 인본주의적 접근 = 357 사회문화적 관점 = 362 마지막 정리 = 369 제10장 정신병리학 근저에 있는 병리 모델 = 371 정신분열병 = 377 기분장애 = 389 불안장애 = 400 체형장애와 정신생리적 장애 = 410 제11장 정신병리의 치료 생물학적 치료 = 421 심리치료 = 433 치료결과에 대한 평가 = 449 제12장 사회심리학 사회인지와 사회현실 = 456 태도 460 타인 지각 = 467 귀인 = 470 자기 지각 = 475 정서 : 자신의 내적 상태 지각 = 477 타인과 관계맺기 : 일 대 일의 상호작용 = 484 사회영향 : 다 대 일의 상호작용 = 495 군중행동 : 다 대 다 상호작용 = 505 찾아보기 =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