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TCP/IP 기본 애플리케이션 = 15
제1장 TELNET과 FTP = 17
(1) TELNET과 FTP = 17
1.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 17
2. TELNET = 18
3. NTV(Network Virtual Terminal) = 19
4. TELNET 조정 (TELNET negotiation) = 21
5. 단말의 대칭성 = 22
6. TELNET 클아이언트 = 23
7. WindowsNT기계에 TELNET하다? = 23
8. FTP = 24
9. FTP 모델 = 25
10. NVFS(Network Virtual File System) = 27
11. FTP 커맨드 = 27
12. 데이터 정송모드 = 28
13. FTP 응답 메시지 = 29
14. 텍스트 변환 = 30
15. TFTP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 30
16. anonymous FTP = 31
제2장 전자메일과 SMTP = 33
1. 전자메일 = 33
2. SMTP = 34
(1) MTA (Mail Trasfer Agent) = 35
(2) 메일이 교환되는 모습 = 37
(3) SMTP 세션과 커맨드 = 38
(4) SMTP 응답 = 40
3. 실험 telnet으로 메일 보내기 = 40
(1) 전송에 실패한 경우 = 42
4. MIME = 42
(1) 헤더의 변경 = 43
(2) 메시지 크기 = 43
5. SMTP의 확장과 ESMTP = 44
6. 메일 루프 = 45
7. 보안 = 46
제3장 전자메일 헤더 = 49
1. 전자메일 헤더 = 49
(1) 헤더 서식 = 49
(2) 왜 엄밀하게 RFC를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가 = 51
2. 헤더의 종류 = 51
3. 다른 전자메일 시스템 사이의 메시지 교환 = 60
제4장 POP와 IMAP4 = 61
1. 메일 드롭에의 액세스 = 61
2. UNIX로부터의 해방 = 62
3. POP3의 구조 = 63
(1) POP3 세션의 상태천이 = 64
(2) POP3 명령어 = 65
4. IMAP4 = 67
(1) IMAP4에서 할 수 있는 것 = 68
(2) 통신 시간을 절약 = 69
(3) IMAP4 명령어와 메일 검색 = 69
(4) 공유 메일 폴더 = 70
(5) IMAP4의 문제점 = 70
(6) IMAP4의 실장상황 = 70
5. 시큐리티 = 71
제5장 RFC에 대해서 = 73
1. RFC란? = 73
2. RFC를 발행하는 곳은 어디인가 = 73
3. Document체계 = 76
(1) 주요 프로토콜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STD = 76
(2) FYI = 78
(3) RFC 입수 방법 = 78
(4) RFC 다큐먼트의 구분 = 79
(5) RFC를 읽고 뜻을 해아리는 방법 = 79
(6) 죠크 RFC = 81
(7) RFC1149 새(鳥)에 의한 데이터그램 전송 = 81
(8) RFCJ = 82
제6장 WWW과 이들을 구성한 기술 = 85
1. WWW의 특징 = 85
2. WWW 모델과 HTTP = 87
(1) HTTP의 특징 = 87
(2) HTTP에 의한 통신 교환 = 88
(3) HTTP 헤더와 버전 = 89
3. 메소드(Method) = 90
(1) GET 메소드 = 91
(2) HEAD 메소드 = 91
(3) POST 메소드 = 91
(4) PUT 메소드 = 92
(5) DELETE 메소드 = 93
(6) LINK 메소드 = 93
(7) UNLINK 메소드 = 93
(8) 스테이터스 코드(Status Code) = 93
4. HTTP의 중계 = 96
(1) 프록시(Proxy) = 96
(2) 캐시 서버 = 97
제7장 HTTP에 있어서 URI와 CGI = 99
1. HTTP 헤더 필드 = 99
2. URL Redirection = 101
3. URI와 URL = 102
4. URL의 구성 = 104
(1) HTTP = 104
(2) 파일, FTP = 105
(3) Gopher = 105
(4) WAIS = 105
(5) 네트뉴스 = 105
(6) Telnet, rlogin, tn3270 = 106
5. 스킴명 등록 = 106
6. 동적인 정보의 갱신 = 107
7.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 107
(1) CGI의 구조 = 107
(2) 브라우저측의 처리-HTTP 리퀘스트의 생성 = 108
(3) HTTP 서버측의 처리 = 110
8. CGI 프로그램 = 110
제8장 SSI와 Securety에 관하여 = 113
1. SSI = 113
(1) SSI 서식 = 114
(2) SSI의 처리 = 118
(3) 동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수단 = 118
(4) SSI나 CGI는 위험 = 118
2. 시큐리티 = 119
(1) 액세스 제한 = 119
(2) 기본확인의 구조 = 121
3. 보안(시큐리티)과 기본인증의 제한에 관해서 = 123
제9장 쿠키(KOOKIE)란? = 125
1. 쿠키 = 125
(1) 세션관리 방식 = 126
2. 쿠키의 구조 = 127
(1) 쿠키의 정체 = 129
(2) 기본인증의 결정을 보충하는 쿠키의 응용 = 129
3. 쿠키 사용할 때에는 = 130
(1) 쿠키의 서식 = 130
(2) 쿠키의 접수방식 = 132
4. 쿠키의 표준화 = 133
5. 쿠키의 문제점 = 134
제10장 SSL(Secure Socket Layer) = 137
1. 공개 열쇠와 암호열쇠 = 137
2. SSL(Secure Socket Layer) = 139
3. SSL레이어와 통신로 = 140
(1) 상호인증 문제 = 141
(2) 리쥼 세션(Resume Session) = 141
(3) SSL 핸드쉐이크 = 143
4. SSL의 사용에는 = 145
5. 파이어월의 설정 = 146
6. S-HTTP = 146
7. SSL의 문제점 = 147
제11장 리모트 액세스와 PPP = 149
1. 인터네트워킹과 리모트 액세스 = 149
2. SLIP(Serial Line IP) = 151
3. PPP(Point to Point Protocol) = 152
(1) PPP의 특징 = 153
(2) PPP의 프레임 구성 = 154
(3) 옥테트 삽입 = 154
(4) PPP의 상태 페이즈 = 155
4. LCP(Link Control Protocol) = 156
5. IPCP(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 156
6. PAP(Passwork Authenticatiion Protocol) = 158
7. CHAP(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ion Protocol) = 158
8. SLIP과 PPP의 비교 = 158
(1) PPP관련 RFC = 159
제12장 MP와 BOD = 161
1. INS64와 벌크통신 = 161
(1) 벌크통신 = 161
2. MP (Multi-link Point-to-Point Protocol) = 162
(1) MP에 의한 접속 = 162
(2) MP에 의한 패킷의 송출 = 163
(3) MP의 상호접속성 = 164
(4) MP 프로토콜의 표준화 동향 = 164
3. BOD(Bandwidth On Demand) = 164
(1) BOD에 의한 대역폭의 증감 = 165
4. BACP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Protocol) = 166
(1) BACP와 BAP = 166
(2) 왜 대역폭 관리 프로토콜이 필요한가 = 166
5. 벌크통신의 이용 = 168
제2부 21세기 조립기기의 필수 항목기술 인터넷 가전 시대의 Ethernet과 TCP/IP 활용법 = 171
제1장 TCP/IP프로토콜 스택의 문제점과 ITRON TCP/IP사양 = 173
1. 조립 시스템과 TCP/IP = 173
(1) 인터넷에 접속되는 기기 = 173
(2) 인터넷에 접속되는 기기와 통신을 하는 기기 = 174
(3) 가두리 네트워크에서의 이용 = 175
2. TCP/IP 프로토콜 스택과 그 API = 175
(1) IP보다 하위 레이어인가 상위 레이어인가 = 176
3. 소켓 인터페이스와 그 문제점 = 177
4. ITRON TCP/IP API 사양의 설계목표 = 179
5. TCP API = 181
(1) TCP 클라이언트의 VFHRMFOALD = 182
(2) TCP 싱글 태스크 서버 프로그램 = 186
(3) 성(省) 카피 API의 이용 = 189
(4) TCP 멀티태스크 서버 = 190
6. UDP의 API = 194
7. 그 밖의 API = 194
APPENDIX 제1장 인터넷 프로토콜의 기초지식 = 197
제2장 WWW서버를 탑재한 조립기기의 설계법 = 205
(1) 하드웨어 구성 개요 = 206
(2) 소프트웨어 구성 개요 = 206
1. JMR-TX3904 평가보드에 대한 자세한 해설 = 207
(1) 평가보드와 Ethernet회로 = 207
(2) ISA 버스와의 정합 = 208
(3) 인터페이스 회로 = 208
(4) DP839085 주변회로 = 210
(5) RTOS과 TCP/IP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서 = 211
(6) 시스템 구성 = 212
(7) 시스템 리소스의 유효활용 = 212
(8) 메로리 크기와 성능 = 213
(9) API(소켓 인터페이스) = 214
2. WWW서버의 실장 = 215
(1) 소켓 통신의 개략 = 215
(2) ROM 상의 콘텐트 작성 = 216
(3) 리퀘스트를 받는다 = 218
(4) 레스폰스 = 219
(5) MIME 타입 = 220
(6) 실제 콘텐트의 송신 = 221
(7) 파일 시스템상의 콘텐트 = 221
(8) CGI = 223
(9) GET와 POST = 224
(10) CGI 함수를 만든다 = 224
(11) META에서 정기적으로 갱신 = 226
(12) 프로그램 크기 = 227
3. WWW서버의 테스트 방법 = 228
(1) 소켓의 보존시간 = 228
(2) 브라우저의 차이 = 228
제3장 UDP/IP에 의한 간단한 파일 전송 시스템의 구축법 = 231
1. TFTP에 대해서 = 232
(1) TFTP란 = 232
(2) TFTP의 기본적인 파일 전송 시퀀스 = 234
2. μITRON3.0 레벨 R 준거 RTIS(eips/os) = 235
(1) eips/os에 대해서 = 235
(2) eips/os의 특징 = 235
(3) DOS의 파일 시스템 = 235
(4) 가로채기 처리에 대해서 = 237
(5) TIC 타이머 = 237
(6) 엔큐(enqueue)/ 디큐(dequeue) = 239
(7) 커맨드 인터프리터(FORTH 인터프리터 태스크) = 240
3. UDP/IP 프로토콜 스택과 RE1000 드라이버 = 244
(1) UDP/IP 프로토콜 스택과 태스크 구성 = 244
(2) 네트웨크 드라이버 태스크 = 245
(3) IP 태스크 = 245
(4) TFTP 서버 태스크 = 250
(5) TFTP 클라이어트 태스크 = 252
(6) RE1000 드라이버 = 255
4. 동작확인 = 257
(1) 접속 전의 설정 = 257
(2) 접속 후의 설정 = 260
(3) FreeBSD 기종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 = 262
(4) TFTP 서버의 동작 확인 = 262
(5) TFTP 클라이언트의 동작 확인 = 263
제4장 TCP/IP에 의한 Windows용 데이터 서버의 구축법 = 265
(1) TCP/IP 프로그래밍의 어제와 오늘 = 265
(2)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어려운가 = 266
1. 서버의 구축사례 = 267
(1) Visual Basic용 컨트롤의 선택 = 267
(2) 접속대기 = 268
(3) 통신의 중개 = 269
(4) 정크와 레코드 = 269
(5) 문자코드의 변환 = 271
(6) 송신 처리 = 271
(7) 통신 끝내기 처리 = 272
(8) 서버의 테스트 방법 = 274
APPENDIX 제4장 조립시스템용 TCP/IP 소프트웨어 Kasago TCP/IP = 277
(1) 조립용 TCP/IP 소프트웨어에 요구되어지는 기능 = 279
(2) KasagoTCP/IP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 281
(3) 조립순서에 대해서 = 282
(4) 조립용 평가 시스템에 대해서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