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第1編 朝鮮前期의 經濟構造
第1章 朝鮮田期의 土地制度 = 3
1. 科田法 실시의 배경과 내용 = 3
1) 과전법 실시의 배경 = 3
2) 과전법의 내용 = 8
2. 土地所有關係와 地主佃戶制의 발달 = 20
1) 토지소유관계 = 20
2) 지주전호제의 발달 = 22
3. 兩班官僚의 收組地支配 = 26
1) 科田制의 운영 = 26
2) 職田制의 시행과 그 추이 = 29
4. 田稅 = 31
1) 과전법의 租稅法 = 31
2) 貢法의 제정과 그 운영 = 34
第2章 朝鮮前期의 農莊 = 39
머리말 = 39
1. 科田法과 農莊 = 41
2. 農莊의 形成要因과 規模 = 46
3. 地主佃戶制의 展開 = 54
맺음말 = 65
第3章 朝鮮初期의 布貨田에 대한 一考察 = 68
머리말 = 68
1. 布貨田의 規模와 分布 = 69
2. 慶尙道의 田稅運送과 田稅布貨 = 75
3. 田稅布貨價와 그 變動 = 81
맺음말 = 87
第4章 16세기의 量田과 陳田收稅 = 90
머리말 = 90
1. 貢法 전후의 量田 = 91
2. 16세기 量田의 經過와 結數 = 103
3. 16세기 量田의 實相과 陳田收稅 = 111
맺음말 = 120
第5章 朝鮮初期의 國家財政 = 123
1. 財政關係官署 = 123
2. 中央財政 = 128
1) 歲入·歲出 = 128
2) 國家財政과 王室財政 = 132
3. 地方財政 = 140
4. 租稅 = 144
1) 田稅 = 144
2) 田結制 = 154
5. 貢物 = 161
1) 貢物의 分定과 內容 = 161
2) 防納 = 164
6. 進上 = 171
1) 進上의 種類 = 171
2) 進上과 民戶의 負擔 = 175
7. 還穀 = 178
1) 義倉 = 178
2) 耗穀의 徵收 = 180
8. 役 = 183
1) 요役 = 183
2) 國役 = 187
3) 戶首와 奉足 = 190
4) 身役의 布納化 = 196
第6章 朝鮮前期 土豪의 實態와 性格 = 200
머리말 = 200
1. 品官과 土豪 = 201
2. 土豪의 實態 = 208
3. 土豪의 性格 = 222
맺음말 = 229
第2編 朝鮮前期 經濟關係基礎資料抄錄 主解
第1章 朝鮮初期 經濟關係基礎資料抄錄 主解 = 235
Ⅰ. 土地所有關係와 農業 = 237
1. 農民의 土地所有 = 238
1) 農民과 科田法 = 238
2) 農民과 土地所有 = 241
3) 農民의 支配樣式 = 243
2. 兩伴官僚의 收租地支配 = 245
1) 科田法 = 245
2) 職田法 = 249
3) 官收官給制 = 251
3. 農業 = 253
1) 連作法의 普及 = 253
2) 水田農業 = 255
3) 旱田農業 = 257
Ⅱ. 國家財政 = 260
1. 租稅 = 261
1) 科田法의 租稅規定 = 261
2) 貢法 = 262
3) 田結制 = 264
2. 力役 = 267
1) 요役 = 267
2) 國役 = 269
3) 戶首와 奉足 = 271
3. 貢物 = 274
1) 貢物의 內容과 分定 = 274
2) 防納과 點退 = 276
3) 進上 = 278
4. 歲入·歲出 = 280
1) 貢案 = 280
2) 橫看 = 281
Ⅲ. 商工業 = 283
1. 手工業 = 284
1) 官匠制手工業 = 284
2) 民間手工業 = 286
2. 商業 = 287
1) 市廛 = 287
2) 場市의 發生 = 289
3) 貿易 = 291
Ⅳ. 交通·運輸·通信 = 293
1. 交通 = 294
1) 驛 = 294
2) 院 = 295
2. 運輸·通信 = 296
1) 漕運 = 296
2) 烽燧 = 297
Ⅴ. 貨幣 = 298
1. 楮貨와 銅錢 = 299
1) 楮貨 = 299
2) 銅錢 = 300
2. 布貨 = 301
1) 布貨 = 301
2) 錦布 = 302
第2章 朝鮮中期 經濟關係基礎資料抄錄 註解 = 305
Ⅰ. 地主佃戶制와 農業 = 307
1. 兩班地主의 土地集中 = 308
1) 職田制의 소멸 = 308
2) 地主層의 土地集中 = 310
3) 宮房田·官屯田의 擴大 = 312
2. 農民의 佃戶化 = 314
1) 地主佃戶制의 發達 = 314
2) 小農民의 佃戶化 = 316
3) 雇工制 經營 = 317
3. 農業 = 319
1) 川防灌漑의 發達 = 319
2) 偃田開發 = 321
3) 農業技術 = 324
Ⅱ. 收取體制의 變化 = 327
1. 租稅 = 328
1) 田稅 = 328
2) 附加稅와 三手米 = 331
3) 量田 = 332
2. 身分制의 變質 = 334
1) 軍士의 役卒化 = 334
2) 代立과 放軍收布 = 336
3) 身役의 布納化 = 339
3. 貢納制의 變化 = 343
1) 大同法의 先行形態 = 343
2) 大同法과 宣惠廳 = 345
3) 大同法의 實施 = 347
4. 農民脈恤策의 變質 = 349
1) 耗穀의 徵收 = 349
2) 耗穀의 會錄 = 351
Ⅲ. 商工業 = 354
1. 手工業 = 355
1) 官匠制手工業의 變化 = 355
2) 民間手工業의 發達 = 357
2. 商業 = 358
1) 市廛商業의 變化 = 358
2) 貢納請負制와 貢人 = 360
3) 私商人의 成長 = 362
4) 場市의 發達 = 363
5) 貿易 = 366
Ⅳ. 貨幣經濟의 發展 = 370
1. 金屬貨幣 流通의 背景 = 371
1) 錦布의 貨幣機能 = 371
2) 交換經濟의 發達 = 374
2. 金屬貨幣의 流通 = 375
1) 貨幣의 流通策 = 375
2) 貨幣의 流通 = 380
附編 朝鮮時代史要綱
제1장 개설 = 385
제2장 정치 = 392
1. 중앙의 정치기구 = 392
의정부 서사제(署事制)와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 = 392
비변사와 이조전랑 자대제(吏曹銓郞自代制) = 394
2. 지방의 통치조직 = 395
관찰사와 수령 = 395
향리와 토관(土官) = 397
면리제(面里制) = 398
3. 양반관료제 = 400
유품(流品) = 400
양반관료제의 특징 = 401
4. 과거제와 학제 = 403
과거제 = 403
학제 = 405
5. 군사제도 = 407
중앙의 군사조직 = 407
지방의 군사조직 = 409
군역제도 = 410
6. 사법제도 = 411
사법기관과 형벌 = 411
법률과 소송 = 412
제3장 경제 = 414
1. 토지제도 = 414
과전법 = 414
농장 = 416
후기 토지제도의 변모와 지주제의 변동 = 417
토지소유관계 = 418
2. 재정제도 = 419
전세제도 = 419
역(役) = 422
공물(貢物) = 424
환곡 = 426
3. 상업과 수공업 = 427
상업 = 427
수공업 = 428
화폐 = 430
4. 교통과 통신 = 430
교통 = 430
통신 = 431
제4장 사회 = 432
1. 호구 = 432
2. 신분제도 = 432
양반 = 434
중인 = 435
양인 = 436
천인 = 437
후기 신분제의 변동 = 439
3. 가족제도 = 440
4. 향촌 = 442
제5장 문화 = 445
1. 한글 창제 = 445
2. 사상·종교 = 446
유교 = 446
불교 = 450
서학·천주교 = 451
동학 = 452
3. 과학기술 = 453
농업기술 = 453
천문·기상 = 454
의학 = 455
인쇄술 = 455
군사무기 = 455
4. 예술 = 456
문학 = 456
그림·글씨·공예 = 458
제6장 대외관계 = 460
1. 명과의 관계 = 460
2. 여진과의 관계 = 460
3. 청과의 관계 = 462
4. 일본과의 관계 = 463
5. 유구·남만과의 관계 = 465
색인 =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