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5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652056 | |
005 | 20100806094827 | |
007 | ta | |
008 | 991129s1998 ulka 001a kor | |
020 | ▼a 8970889698 ▼g 13510 : ▼c \8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31004683 ▼f 의학R |
082 | 0 4 | ▼a 618.92 ▼2 21 |
090 | ▼a 618.92 ▼b 1998 | |
100 | 1 | ▼a 이상원 |
245 | 1 0 | ▼a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 ▼x Home medical care / ▼d 이상원 지음. |
246 | 1 3 | ▼a 소아가정간호백과 |
246 | 0 3 | ▼a 신생아에서 21세까지 |
260 | ▼a 서울 : ▼b 靑文閣 , ▼c 1998. | |
300 | ▼a 1076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950 | 0 | ▼b \8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참고 | 청구기호 R 618.92 1998 | 등록번호 131004683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갓 태어나면서 사춘기를 거쳐 성년이 될 때까지 자녀들을 건강하게 양육하는 데 있어서 부모들이 알아 두어야 할 의학 지식을 담은 소아가정의학 참고서이다. 아이들에게 돌발적 사고, 전염병 등의 예방법, 태어나면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의 정상적인 성장, 발육, 모유, 인공영양, 이유식을 주는 법과 그것을 줄 때 생기는 문제점, 태어나면서부터 성인으로 성장, 발육하는 동안에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아이들에게 갑자기 사고나 병이 날 때 의사나 의료 구급대원 등이 현장에 도착해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부모들이 해야 할 응급처치법 등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현재 미국 코네티컷주 윌리맨틱에서 소아과를 개업중인 이상원 박사님의 역작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상원(지은이)
1936년 10월 9일생인 이상원 박사는 부인 이춘자 여사와의 사이에 2남1녀(아들 이동형, 이건형, 딸 이진이)를 두고 있다. <Top 미국 소아 청소년과 전문의가 되기까지> 에는 안면도 시골에서 태어나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홀로 미국에서 레지던트를 하며 온 가족들을 미국으로 이민시키기까지 그의 노고가 고스란히 묻어 있다. 어린 시절, 동생이 아무런 병명도, 이유도 모른 채 죽어가는 것을 본 이상원 박사는 다른 가정에는 이러한 엄청난 고통이 없도록 하기 위해 의사로서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왔다. 특히 미국 한인들 사이에서 지금까지도 이상원 박사는 없어서는 안 될 최고의 양심적인 의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의 질병의 진단, 치료, 육아 등에 관한 25여종의 육아 건강 바이블이다. 이는 아이들이 아플 경우, 부모의 선행진료가 얼마가 중요한지를 알게 해 준다. 이 속에 들어 있는 주옥같은 글은 이상원 박사가 의사로서 부모에게 이야기하고 진료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관련 내용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 이처럼 한 집안의 장남으로서, 그리고 미국에서 TOP 소아 청소년과 의사로 선정된 무거운 책임감으로 일생을 살아온 이상원 박사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목차
목차 제1장 응급 혼수 = 5 화상 = 8 구법 = 10 납 중독 = 12 화학물질·약물·독극물 중독 = 14 화학물질이나 독극물 또는 약물이 피부에 묻었을 때 = 16 화학물질에 의한 눈의 화상 = 17 찰과상 = 17 자상 = 18 절상 = 20 염좌 = 22 탈구 = 25 두골 골절 = 25 척추골 골절 = 28 쇄골 골절 = 29 상완골 골절 = 31 손뼈와 손가락뼈의 골절 = 32 대퇴골 골절 = 33 무릎 관절을 다쳤을 때 = 35 정강이뼈 골절 = 36 아랫다리 골절의 종류 = 37 발목뼈와 발뼈 골절 = 38 발가락뼈 골절 = 39 외출혈 = 40 여러 종류의 지혈 방법 = 42 코피가 날 때 = 43 토혈 = 45 피똥을 눌 때 = 47 피가 소변에 나올 때 = 49 급성 복부 질환 = 49 급성 탈수증 = 54 설사·구토로 인한 탈수증 = 56 경구용 전해질용액 = 59 호흡곤란 = 60 고열이 날 때 = 62 열성경련 = 65 콧구멍 속의 이물 = 66 기도 속에 이물이 들어갔을 때 = 68 하임리크 처치법 = 71 생선가시가 목구멍 속에 걸렸을 때 = 73 소화기 속에 이물이 들어갔을 때 = 74 질식 = 76 일산화탄소 중독 = 77 연기를 흡입했을 때 = 79 물에 빠졌을 때 = 80 감전화상 = 84 사람에게 물렸을 때 = 86 개에 물렸을 때 = 86 고양이에게 물리거나 할퀴었을 때 = 88 쥐에 물렸을 때 = 88 거미에 물렸을 때 = 89 독사에 물렸을 때 = 90 독이 없는 뱀에 물렸을 때 = 92 지네에 물렸을 때 = 92 벌에 쏘였을 때 = 93 파리나 각다귀에 물렸을 때 = 95 쐐기벌레, 나방, 모충에 의한 피부병 = 95 개미에 물렸을 때 = 96 벼룩·진드기·빈대 등에 물렸을때 = 97 모기에 물렸을 때 = 98 이가 갑자기 아플 때 = 98 빠진 이, 삔 이, 부러진 이 = 99 유아급사 = 99 유아가 급사 직전까지 갔을 때 = 100 동상 = 101 피부에 물집이 잡혔을 때 = 102 단순기절 = 103 자살 = 104 인공호흡과 심장 마사지 = 105 그림으로 보는 신생아나 영아의 심장 마사지 = 109 조갑주위염 = 110 손톱 밑에 피가 괼 때 = 111 제2장 예방 일반적 예방 = 114 정기 건강진찰 = 117 정기 건강진찰을 해 줄 때 = 119 전염병 예방접종 = 120 감마 글로불린과 면역 글로불린 = 133 항생제와 설파제 등으로 전염병을 예방할 때 = 134 안전 사고 예방 = 135 흡연 예방 = 141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 = 142 제3장 성장과 발육 임신과 출산 = 146 태아의 성장과 발육 = 149 그림으로 보는 진통과 분만 = 150 신생아 돌보기 = 152 아기를 스폰지나 약솜, 거즈로 목욕시키는 방법 = 159 아기를 목욕통에서 목욕시키는 방법 = 159 신생아의 성장 발육 = 160 아프가르 점수 = 168 신생아의 체온 재는 법 = 170 생후 29일부터 2개월까지의 유아 = 181 2개월부터 4개월까지의 유아 = 186 4개월부터 6개월까지의 유아 = 189 6개월부터 8개월까지의 유아 = 192 8개월부터 9개월까지의 유아 = 195 9개월부터 12개월까지의 유아 = 198 12개월부터 15개월까지의 아이 = 201 15개월부터 18개월까지의 아이 = 204 18개월부터 만 2세까지의 아이 = 206 만 2세부터 만 3세까지의 아이 = 208 만 3세부터 만 4세까지의 아이 = 210 만 4세부터 만 5세까지의 아이 = 212 만 5세부터 만 6세까지의 아이 = 214 만 6세부터 만 7세까지의 아이 = 215 만 7세부터 만 8세까지의 아이 = 216 만 9세부터 만 10세까지의 아이 = 217 만 10세부터 만 11세까지의 아이 = 218 만 11세부터 만 12세까지의 아이 = 219 만 12세부터 만 20세 청년이 될 때까지의 성장 발육 = 225 프로이트의 심리 성욕 발달에 대한 학설 = 220 2개월∼4세 아이의 성장 발육표 = 224 제4장 모유 모유의 좋은 점 = 228 수유를 위한 준비 = 229 분만 후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요령 = 232 아기에게 적당한 젖의 양 = 235 젖 먹이는 엄마의 건강관리 = 241 젖 짜는 방법과 짠 젖을 아기에게 먹이는 방법 = 247 젖 먹는 아기의 건강 = 255 제5장 인공영양·이유식·비타민 인공영양 = 263 모유·우유·양유·인공영양 등의 성분비교표 = 265 우유병·고무젖꼭지·뚜껑의 세척과 소독 = 270 농축연유·우유병·고무젖꼭지를 끓여 소독하는 방법 = 271 아기가 우유로 만든 인공영양을 먹을 수 없는 경우 = 277 이유식 = 278 비타민 = 280 비타민·단백질·무기질의 1일 필요량 = 281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물 = 287 하루에 필요로 하는 칼로리·단백질·물의 양 = 289 제6장 신생아 질환 산류 = 293 두혈종 = 294 결막하 출혈 = 295 불균형 머리 = 295 소형 = 296 두피 무피부증 = 296 머리·얼굴 등에 생긴 점상출혈 = 296 신생아 결막염 = 297 코뼈 골절 = 299 조발생치 = 299 아구창 = 300 신생아의 식도·위·소장·대장 등의 폐쇄증 = 301 선천성 소장 폐쇄증 = 301 쇄항증 = 302 선천성 식도 폐쇄증·식도 기관간 누관 = 303 의사에게 즉시 문의해야 할 신생아 증상 = 304 신생아 유방 비대증 = 307 신생아의 유방염(젖유종) = 308 배꼽 염증(제염) = 308 신생아 혈변 = 311 여신생아의 성기 출혈 = 312 선천성 근성사경 = 313 신생아 탈수열 = 314 신생아기 이후 어린이들에게 생길 수 있는 탈수열 = 315 신생아 황달 = 316 신생아 간염 = 326 신생아 감기 = 327 신생아 중이염 = 328 신생아 뇌막염과 패혈증 = 329 신생아 폐렴 = 330 신생아 설사 = 333 신생아 파상풍 = 335 두개강 내 출혈 = 336 신생아 두골 골절 = 337 척추뼈(등뼈) 골절 = 338 쇄골 골절 = 339 팔·다리 뼈 골절 = 339 선천성 고관절 탈구·고관절 이상 형성 = 340 신생아 안면신경 마비 = 342 상완신경총 마비 = 343 신생아 농가진(부스럼) = 345 중독성 홍반 = 345 비후성 유문 협착증 = 346 신생아 질식(신생아 가사) = 347 신생아 저혈당증 = 349 신생아 테타니 = 350 선천성 풍진 증후군 = 350 신생아 빈혈 = 351 뇌성마비 = 352 미숙아 = 353 미숙아에게 더 잘 생길 수 있는 병 = 358 딸꾹질 = 362 영아산통(3개월 콜리크) = 364 신생아에 관해 알고 싶은 것 = 366 제7장 전염병 A군β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전염병 = 372 A군 연구균으로 인한 전염병 및 질병 = 373 성홍열과 비슷한 피부 발진이 나는 병들 = 375 포도상구균에 의한 전염병 = 376 식중독 = 380 수막 구균성 뇌막염과 수막 구균혈증 = 384 B형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전염병과 B형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균성 뇌막염 = 86 백일해 = 388 디프테리아 = 390 파상풍 = 392 장티푸스 = 393 파라티푸스 열·식중독·위장염 = 395 폐렴쌍구균성 전염병 = 398 세균(박테리아) 검사 = 399 이질 = 400 박테리아성 전염병 = 401 보균자 = 402 임질 = 402 매독 = 404 매독 검사 = 405 항생제 = 405 결핵 = 406 결핵균 검사 = 408 투베르쿨린 검사 = 410 비시지(BCG) = 413 패혈증 = 415 라임병 = 417 묘조병 = 418 홍역 = 419 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긴 전염병의 진단과 치료 = 420 풍진(3일 홍역) = 424 수두와 대상포진 = 427 돌발성 발진(장미진) = 430 천연두(마마) = 431 소아마비(폴리오) = 432 인플루엔자 = 433 가성 콜레라(로타 바이러스성 위장염) = 436 볼거리 = 437 간염 = 440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 446 수족구병 = 448 바이러스성 뇌염 = 449 에이즈(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 450 광견병 = 453 요충증 = 455 마이코플라스마 = 456 회충증 = 457 촌충증 = 458 십이지장충증 = 459 폐디스토마증 = 461 간디스토마증 = 462 람불편모충증 = 463 선모충증 = 464 개나 고양이로부터 전염될 수 있는 구충증과 여러 가지 병 = 465 가와사키병 = 467 비유행성 이하선염 = 469 제8장 호흡기 질환 감기 = 473 급성 인두염 = 478 급성 편도선염 = 484 만성 편도선염 = 487 편도선 주위 농양 = 487 인두후부 농양 = 488 급성 후두염(급성 크루프) = 489 급성 기관지염 = 498 만성 기관지염 = 499 폐렴 = 501 늑막염과 농흉 = 510 기흉 = 512 기관지 확장증 = 513 제9장 소화기 질환 정상 대변 = 520 이상 대변 = 521 설사 = 523 설사 및 구토의 일반적 치료법 = 527 로타 바이러스로 인한 위장염 = 530 경구용 전해질용액으로 구토와 설사를 치료해 줄 때 = 533 모유나 인공영양을 넘길 때 = 535 구토 = 536 피를 토할 때 = 542 변비증 = 543 선천성 거대결장 = 547 복통 = 549 입병 = 551 짧은 혀 = 554 언청이와 구개 파열 = 555 충수염 = 557 비장 비열 = 559 비장이 없는 아이 = 560 치열 = 560 흥분성 위장관 증후군 = 561 치질 = 562 소화성 궤양 = 563 장중첩증 = 566 서혜부 탈장 = 567 유분증 = 569 제10장 비뇨 생식기 질환 혈뇨 = 574 농뇨 = 575 단백뇨 = 575 요로 감염 = 576 소변검사 = 578 급성 사구체신염 = 581 신증후군 = 585 여아의 외음부염·외음부질염·질염 = 588 사춘기 여아들의 외음부질염 = 590 잠재고환 = 594 포경과 포경 수술 = 595 음낭수종 = 596 요도하열 = 597 소음순 유착증 = 597 처녀막 = 598 이중 요관 = 599 신장 전위 = 601 요석증 = 601 신장이 하나만 있는 경우 = 602 야뇨증 = 602 윌름씨 종양 = 605 고환염 = 606 제11장 심장 질환 선천성 심장기형 = 609 태아의 혈액 순환도 = 610 순환기 = 612 정상 맥박 = 628 선천성 심장기형이 있을 때 주의할 사항 = 629 부정맥 = 631 전염성 심장내막염 = 634 전염성 심(장)내막염의 예방 = 635 류머티스성 열 = 635 심근염 = 640 심낭염 = 642 정상 혈압과 고혈압 = 643 혈압측정시 유의사항 = 643 심잡음 = 644 아이들의 평균 혈압 = 644 제12장 신경 정신 질환 간질 = 648 간질을 가진 아이가 사춘기가 될 때 = 652 간질이 있는 아이들의 부모들이 많이 하는 질문들 = 656 최근에 흔히 쓰는 간질약들 = 658 간질과 비슷한 병들 = 659 간질이 있는 아이나 부모가 평소에 주의할 사항들 = 660 열성경련의 예후 = 665 뇌종양 = 666 수두증(뇌수종) = 667 두통 = 669 두부 외상 = 673 안면신경마비 = 676 양성 급성 현기증 = 677 손가락 빨기 = 678 이미증 = 679 교조증(손톱을 물어뜯는 버릇) = 680 머리를 부딪치는 버릇 = 680 몸을 흔드는 버릇 = 681 분노 발작 = 682 모발발거증 = 683 틱증(경련성 불수의 운동) = 683 몽유증 = 685 아기가 쉽게 잠들지 않거나 자다가 자주 깰 때 = 685 말더듬 = 687 수음 = 688 우울증 = 689 공포증 = 690 행동과다증 및 집중력 결여증 = 691 다운 증후군 = 693 다운 증후군과 부모의 염색체 = 695 소아자폐증 = 696 지능지수 = 698 영재 = 700 제13장 혈액과 임파 질환 피검사 = 706 빈혈 = 706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 713 백혈구 질환 = 714 혈우병 = 718 혈우병이 유전하는 가계수 = 719 혈우병이 있는 아이가 주의해야 할 사항 = 720 폰빌레브란트병 = 720 용혈성 요독증후군 = 721 목에 있는 임파선(절) 비대와 임파선염 = 722 임파관염과 에르지펠라스 = 725 제14장 내분비선 질환 성조숙증 = 728 사춘기 아이들의 제2차 성징 = 732 사춘기가 늦은 아이들 = 733 남아유방조기발육증 = 735 키가 작은 아이 = 735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 737 후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 738 갑상선 기능 항진증 = 739 갑상선 비대증 = 739 임파구성 갑상선염 = 740 갑상선 암 = 741 갑상설관 낭종 = 741 터너 증후군 = 742 당뇨병 = 743 당뇨병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의 유의점 = 746 인슐린 주사 놓는 법 = 749 소변에서 당을 검사하는 방법 = 750 테스-테이프 시약 등을 보관하는 방법 = 752 월경 곤란 = 755 월경 불순 = 756 초경이 늦을 때 = 757 비만증 = 758 체형 = 759 음식물을 잘 먹지 않는 아이 = 762 성장 중지증 = 765 성장차트와 백분위수 = 767 제15장 알레르기성 질환 알레르기 = 777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는 항원 = 779 약물 알레르기성 질환과 약물 부작용 = 784 알레르기성 비염 = 789 면역 요법 = 797 벌 알레르기 = 798 음식물 알레르기(음식물 알레르기성 질환) = 800 우유 단백질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 = 805 기관지천식 = 807 기관지천식 발작의 유발 인자 = 809 운동 유발성 기관지천식이 발작되지 않게 예방하는 법 = 820 기관지천식 약 = 821 페니실린 알레르기 = 824 헤노흐-쇤라인 자반증 = 825 연소성 류머티스양 관절염 = 826 습진 = 827 알레르기성 결막염 = 828 접촉성 피부염 및 옻나무에 접촉해서 생긴 피부염 = 828 지루성 피부염 = 828 두드러기(담마진) = 828 제16장 정형외과 질환 편평족 = 831 아이들의 신발 = 833 O형 다리와 X형 다리 = 834 O형 다리의 예 = 835 X형 다리의 예 = 836 모지내반 = 837 모지외반 = 839 선천성 내반마족 = 839 선천성 고관절 탈구 = 840 척주측만곡증 = 842 척주후만증 = 844 골수염 = 845 급성 관절염 = 846 결핵성 척추염 = 847 결핵성 관절염 = 848 일과성 활막염 = 849 탈구 = 850 요골두부 부전탈구 = 852 골절 = 853 퍼세스병 = 856 성장통 = 857 절면서 걸을 때 = 858 류머티스성 관절염 = 858 오스굿-슐래터 병 = 859 손가락·발가락의 다지증과 합지증 = 860 지조내생 = 861 누두흉 = 862 제17장 피부 질환 습진(아토피성 피부염) = 866 지루성 피부염 = 869 기저귀 피부염 = 870 땀띠 = 873 항문 주위 피부염 = 874 피부 발진 = 874 접촉성 피부염 = 875 두드러기(담마진) = 877 구진성 두드러기 = 878 곤충 자상 = 880 진드기에 물렸을 때 = 881 이에 물렸을 때 = 882 옴 = 883 탈모증 = 885 기계총·두부백선 = 886 도장 부스럼(체부백선) = 887 사마귀 = 888 티눈 = 892 농가진(부스럼) = 893 대상포진 = 895 혈관성 모반 = 897 색소성 모반 = 899 여드름 = 900 무좀(발의 백선) = 902 제18장 이비인후 질환 귀의 선천성 기형 = 907 여러 종류의 귀의 기형 = 908 귓구멍 속은 어떻게 씻어 주어야 하나 = 909 외이도 습진 = 909 외이도염 = 910 귀에지(이구전색·귓밥) = 912 급성 중이염 = 913 재발성 중이염 = 915 구개 파열과 중이염 = 916 만성 중이염 = 917 삼출성 중이염 = 919 고막 파열 = 921 외이도 내 이물 = 921 난청과 귀머거리 = 922 약물과 난청 = 924 코의 선천성 기형 = 925 코 외상과 코뼈 골절 = 925 콧구멍 속 이물 = 926 비출혈 = 927 급성 축농증 = 929 만성 축농증 = 931 급성 비염 = 932 만성 비염 = 932 코의 종기(비모낭염) = 933 비폴립(비용) = 934 편도선과 편도선 비대 = 935 편도선 적출 수술 = 936 아데노이드와 아데노이드 비대 = 937 아데노이드 적출 수술 = 938 외이 발육 = 939 제19장 눈의 질환 사시 = 941 사시가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 944 가성사시 = 947 근시 = 948 원시 = 949 난시 = 950 약시 = 950 시력 검사 = 951 텔레비전과 시력 = 953 눈의 이물 = 953 각막 외상 = 956 눈의 화상 = 957 눈의 다른 외상 = 958 결막염 = 959 각막염 = 964 안와 주위 봉와염(안구 주위염) = 965 다래끼(맥립종) = 966 칼라지온(산립종) = 967 안검염 = 967 안검하수증 = 968 백내장 = 969 녹내장 = 971 첨모난생 = 972 비루도 통과부전 = 973 눈물이 비정상으로 날 때 = 974 수정체 후 섬유증식증 = 975 망막아세포종 = 976 비타민 A 결핍증과 눈 = 977 제20장 이의 질환 충치 = 979 칫솔의 선택과 이를 닦는 방법 = 981 우유병에 의한 충치 = 982 부러진 이, 삔 이, 빠진 이 = 983 테라마이신(테트라사이클린)과 이 = 983 이와 불소 = 984 부정교합 = 984 매복치 = 985 이를 가는 버릇 = 986 이와 버릇 = 986 이의 이름과 나는 순서 = 987 제21장 가정 간호 열이 날 때 = 991 열이 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의사에게 곧 문의해야 한다 = 993 아이에게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을 줄 때 = 995 섭씨(°C)와 화씨(°F)비교표 = 996 체온의 측정 = 996 찜질 = 999 약 = 1000 관장 = 1006 가정에서 보관할 수 있는 상비약 = 1010 가정에서 보관할 수 있는 의료기구와 의료품 = 1016 소아과 전문의 = 1021 학교 생활과 건강 = 1028 학교에서 운동할 때 유의할 사항 = 1027 진단서 = 1030 투약허가서 = 1031 부록 예방접종 기록 카드 = 1033 성장차트 = 1034 남아 0∼3세 = 1034 남아 2∼18세 = 1035 여아 0∼3세 = 1036 여아 2∼18세 = 1037 약품명 = 1038 찾아보기 =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