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집중처리에서 분산 처리로 = 1
1.1 집중 처리 = 1
1.1.1 컴퓨터의역사 = 1
1.1.2 데이터 통신 = 4
1.1.3 집중 처리의 한계 = 8
1.2 분산 처리 = 11
1.2.1 병렬 처리 = 11
1.2.2 분산 처리란? = 22
제2장 분산 처리 시스템 = 33
2.1 분산 처리 시스템의 목적 = 33
2.2 분산 처리 시스템의 형태 = 34
2.2.1 수직 분산형 = 34
2.2.2 수평 분산형 = 35
2.2.3 수직·수평 분산형 = 36
2.3 구조와 처리 = 37
2.3.1 분산 처리 구조 = 37
2.3.2 통신 처리와 정보 처리 = 41
2.4 기본 기술 = 43
2.4.1 프로세스간 통신 = 44
2.4.2 동시 실행 제어 = 44
2.4.3 커미트먼트 제어 = 46
2.4.4 교착 상태의 검출과 회피 = 47
2.4.5 메타 데이터의 관리 = 48
2.4.6 지식 처리 = 49
2.4.7 네트워크 보안 = 50
2.5 시스템 기술 = 53
2.5.1 분산 처리 시스템의 운영 체제 = 53
2.5.2 분산 데이터베이스 = 55
2.5.3 분산 처리 언어 = 57
2.5.4 휴먼 인터페이스 = 59
2.6 고도의 분산 처리 시스템을 향하여 = 59
제3장 통신 네트워크 = 63
3.1 통신 네트워크 구조 = 63
3.1.1 네트워크 구조란? = 63
3.1.2 구조 모델 = 65
3.1.3 프로토콜 = 69
3.1.4 OSI 참조 모델의 논리 구조 = 71
3.1.5 TCP/IP 프로토콜 모델 = 76
3.2 근거리 네트워크(LANs : Local Area Networks) = 82
3.2.1 LAN의 출현 배경 = 82
3.2.2 LAN의 특징 = 83
3.2.3 LAN의 분류 = 86
3.2.4 적용 분야 = 95
3.2.5 PC와 네트워크 = 97
3.2.6 고도의 LAN을 향하여 = 101
3.3 광역 네트워크(WANS : Wide Area Networks) = 104
3.3.1 WAN이란? = 104
3.3.2 DDX(Digital Network eXchange) = 106
3.4 네트워크간 접속 = 122
3.4.1 네트워크간 접속 기술 = 122
3.4.2 네트워크간 접속 방식 = 123
3.4.3 네트워크 관리의 정합 = 126
3.4.4 네트워크 구조의 정합 = 127
3.4.5 논리 구조의 변환 = 128
3.4.6 프로토콜의 변환 = 130
3.4.7 프로코콜 변환 시스템 = 132
3.4.8 고도의 네트워크간 접속의 실현을 위하여 = 137
3.5 프로토콜과 통신 소프트웨어 = 138
3.5.1 프로토콜의 생명 주기 = 138
3.5.2 명세 기술 = 140
3.5.3 검증 = 150
3.5.4 통신 소프트웨어 = 166
3.5.5 적합성 시험 = 168
제4장 분산 처리 소프트웨어 = 175
4.1 분산 처리 소프트웨어 구성 = 175
4.2 분산 시스템의 목적 = 178
4.3 계산 모델 = 180
4.3.1 통신 방법 = 180
4.3.2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 184
4.4 프로세스 = 189
4.5 분산 처리 = 191
4.5.1 분산 처리의 상태 = 191
4.5.2 이벤트에의 순서 부여 = 197
4.6 배타 제어 = 203
4.6.1 집중 처리 방식 = 204
4.6.2 분산 처리 방식 = 205
4.6.3 토큰 링 방식 = 206
4.7 교착 상태 = 207
4.7.1 통신 교착 상태와 지원 교착 상태 = 207
4.7.2 교착 상태의 정의 = 208
4.7.3 자원 획득 방법 = 210
4.7.4 교착 상태 검출 절차 = 213
4.8 합의 = 218
4.8.1 장해 = 218
4.8.2 합의 프로코톨 = 220
4.8.3 정지 장해가 있을 때의 합의 프로토콜 = 221
4.8.4 비잔틴 합의 = 222
4.8.5 서명을 사용한 비잔틴 합의 프로토콜 = 230
4.8.6 방송형 네트워크를 사용한 비잔틴 합의 프로토콜 = 232
4.9 후퇴 복구 = 233
4.9.1 체크 포인트 = 233
4.9.2 분산 체크 포인트의 문제점 = 235
4.9.3 분산 체크 포인트 방식 = 238
4.9.4 복구 방식 = 242
4.10 내고장성(耐故障性 : Fault Tolerance) = 244
4.10.1 장해 = 244
4.10.2 내고장성 기술 = 246
4.11 안전성 = 250
4.11.1 안전성이란? = 250
4.11.2 엑세스 제어 = 251
4.11.3 정보 흐름 제어 = 256
4.11.4 인증 = 260
4.12 그룹 통신 = 264
4.13 분산 파일 시스템 = 270
4.14 분산 처리 소프트웨어 개발 = 273
4.14.1 기본 개념 = 273
4.14.2 분산 처리 소프트웨어 = 278
제5장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281
5.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281
5.1.1 통합화 = 281
5.1.2 관계형 모델(Relational model) = 285
5.2 분산 시스템의 목적 = 295
5.2.1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 295
5.2.2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목적 = 298
5.2.3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모델 = 299
5.3 데이터의 분산 방법 = 303
5.3.1 분산 방법 = 304
5.3.2 뷰(Vew) = 309
5.4 트랜젝션 = 310
5.4.1 트랜젝션 정의 = 310
5.4.2 트랜젝션 = 312
5.4.3 실행 이력 = 316
5.4.4 독립성 = 318
5.4.5 경합 연산 = 323
5.5 동시 실행 제어 = 326
5.5.1 직렬 가능성 = 326
5.5.2 2단계 잠금(2 Phase Lock) = 331
5.5.3 복제 오브젝트의 2단계 잠금 = 337
5.5.4 교착 상태 = 340
5.6 커미트먼트 제어 = 346
5.6.1 장해 = 347
5.6.2 2단계 커미트먼트 = 348
5.6.3 종결 프로토콜 = 352
5.6.4 복구 = 355
5.6.5 평가 = 355
5.7 분산 질의 처리 = 357
5.8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서버 = 366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