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2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51796 | |
005 | 20100806094234 | |
007 | ta | |
008 | 991125s1999 ulka 000a kor | |
020 | ▼a 8940802179 ▼g 93600 : ▼c \1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41164 ▼l 111141165 |
082 | 0 4 | ▼a 372.5 ▼2 21 |
090 | ▼a 372.5 ▼b 1999a | |
100 | 1 | ▼a 권상구 ▼0 AUTH(211009)130564 |
245 | 1 0 | ▼a 유아미술교육의 실제 / ▼d 권상구 지음. |
260 | ▼a 서울 : ▼b 미진사 , ▼c 1999. | |
300 | ▼a 371 p. : ▼b 채색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 |
950 | 0 | ▼b \18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5 1999a | Accession No. 1111411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5 1999a | Accession No. 1111411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권상구(지은이)
계명대학교 응용미술학과 및 동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대구산업정보대학 산업디자인과 교수 및 부경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 계명문화대학, 오산대학 강사 역임하였다. 경북산업디자인전 금.은.동상, 한국디자이너협의회전 우수작품상, 대구미술대전 최우수상, 경상북도미술대전 은.동상, 제1회 한국 정수미술대전 디자인 부문 최우수상, 2005 대한민국 미술교육상 등 수상. 전국 대학생디자인공모전 시각디자인 부문 심사위원장, 국제청소년미술대전 전체심사위원장, 대한민국신조형미술대전 디자인부 심사위원장 및 운영위원장,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 기념 상징조형물 심사위원, 2006 중국 중경국제아동예술제 미술부 심사위원, 한국교육미술협회, 한국교육미술학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평면기초디자인>, <유아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 <평면구성>, <시각디자인의 기초>, <기초디자인>, <표현기법>, <실기교육방법론>, <안경디자인의 기초>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이론편 제1장 미술 교육 개론 1. 미술 교육의 의의 = 13 2. 미술의 분류 = 15 3. 미술 교육의 목적 = 16 4. 미의 기본 요소 = 23 5. 미의 기본 원리 = 28 제2장 유아의 묘화 분석 1. 유아 그림에 나타나는 표현의 특징 = 33 2. 유아 그림에 나타나는 표현 유형 = 39 3. 유아의 색채 심리 = 47 4. 색채의 연상과 상징 = 51 5. 묘화의 상징적 의미와 진단 = 51 제3장 아동화의 발달 단계 1. 로웬펠드(Victor Lowenfeld)의 연구 = 60 2. 리드(Herbert Read)의 연구 = 62 3. 버트(Cyril Lodowic Burt)의 연구 = 64 4. 켈로그(Rhoda Kellogg)의 연구 = 65 5. 린드스트럼(Miriam Lindstrom)의 연구 = 73 6. 아오키(靑木誠四郎)의 연구 = 74 7. 김정의 연구 = 75 8. 권상구의 연구 = 76 제4장 유아 미술 교육의 지도 원리 1. 학습의 의의와 학습 심리 = 89 2. 학습 지도의 원리 = 89 3. 학습 지도의 형태 = 91 4. 학습 지도의 방법 = 94 5. 학습 지도의 실제 = 97 6. 유아 미술 교육의 지도 요건 = 100 7. 문제 어린이의 그림 지도 = 105 8. 조형 놀이의 지도 = 108 제5장 창작품의 감상 1. 감상의 의미 = 113 2. 감상의 태도 = 114 3. 감상의 방법 = 115 제6장 창작품의 평가 1. 평가의 의의 = 119 2. 평가의 목적 = 119 3. 평가의 대상 = 120 4. 평가의 내용 = 121 5. 평가의 유형 = 121 6. 평가의 방법 = 122 7. 평가의 요점 = 123 제7장 미술 교사의 요건 1. 미술 교사의 자질 = 125 2. 미술 교사의 역할 = 125 3. 작가와 미술 교사 = 127 제2부 실기편 제1장 그리기 1. 크레파스로 신나게 칠하기 = 131 2. 세모·네모·동그라미 그리기 = 132 3. 우리 가족 그리기 = 133 4. 미래의 나의 모습 그리기 = 134 5. 재미있었던 일 그리기 = 135 6. 이야기 듣고 그리기 = 136 7. 번지기(blotting) 기법 = 137 8. 흘리기(spilling) 기법 = 140 9. 뿌리기(sprinkling) 기법 = 143 10. 떨어뜨리기(dropping) 기법 = 146 11. 불기(blow) 기법 = 148 12. 반발성(repellency) 기법 = 152 13. 양초로 나타내기 = 154 14. 스치기(sweeping) 기법 = 156 15. 손가락그림(finger painting) = 158 16. 닦아 내기(washing) 기법 = 162 17. 그을리기(sooting) 기법 = 164 18. 홀치기염(plangi) = 166 19. 실그림(thread picture) = 168 20. 화장지에 그리기 = 170 21. 구겨진 종이에 나타내기 = 172 22. 사포에 그리기 = 174 23. 파스텔로 그리기 = 176 24. 골판지에 나타내기 = 179 25. 제소 위에 나타내기 = 181 26. 크레파스 녹여서 나타내기 = 183 27. 크레파스를 깎아 다리미로 녹여 나타내기 = 185 28. 스티로폴이나 우드락에 나타내기 = 187 29. 스크래치(scratch) 기법 = 190 30. 프로타주(frottage) 기법 = 193 31. 나이프(knife) 기법 = 195 32. 캘리그래피(calligraphy) 기법 = 198 제2장 찍기 1. 데칼코마니(d$\acute{e}$ calcomanie) 기법 = 201 2. 종이 구겨 찍기(paper wrinkle printing) = 204 3. 나뭇잎 찍기(leaf printing) = 206 4. 손바닥 찍기(palm printing) = 208 5. 실물 찍기(original printing) = 210 6. 마블링(marbling) = 212 7. 종이 판화(paper printing) = 215 8. 고무 판화(rubber printing) = 217 9. 스탬핑(stamping) 기법 = 220 10. 스텐실(stencil) 기법 = 223 11. 롤러(roller) 기법 = 225 12. 모노타이프(monotype) 기법 = 227 13. 엠보싱(embossing) 기법 = 231 14. 콜라그래피(collagraphy) 기법 = 233 제3장 붙이기 1. 색종이 구성 = 235 2. 셀로판지 구성 = 237 3. 여러 가지 종이 오려 붙이기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