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18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우창, 저 성완경, 저
단체저자명
영상문화학회창립준비위원회, 편
서명 / 저자사항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 김우창, 성완경 외 지음 ; 영상문화학회 창립준비위원회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생각의나무,   1999  
형태사항
478 p. : 삽화 ; 23 cm
ISBN
8988045564
000 00801namcc2200229 c 4500
001 000000650758
005 20131221131249
007 ta
008 991116s1999 ulka 000c kor
020 ▼a 8988045564 ▼g 036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6462 ▼l 111136463 ▼f 개가 ▼l 111136464 ▼f 개가 ▼l 121044178 ▼f 과학 ▼l 121044179 ▼f 과학
082 0 4 ▼a 791.4 ▼2 23
085 ▼a 791.4 ▼2 DDCK
090 ▼a 791.4 ▼b 1999a
245 2 0 ▼a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 ▼d 김우창, ▼e 성완경 외 지음 ; ▼e 영상문화학회 창립준비위원회 엮음
260 ▼a 서울 : ▼b 생각의나무, ▼c 1999
300 ▼a 478 p. : ▼b 삽화 ; ▼c 23 cm
700 1 ▼a 김우창, ▼e▼0 AUTH(211009)73714
700 1 ▼a 성완경, ▼e▼0 AUTH(211009)37736
710 ▼a 영상문화학회창립준비위원회,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1113646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7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111364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521001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210441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510696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1113646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7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111364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521001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210441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91.4 1999a 등록번호 1510696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영상문화의 뿌리내림을 위해 각 분야에서 손꼽을 만한 지성인들이 모여 엮어낸 책. 우리는 좋든 싫든 간에 이미지 시대에 살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영상 이미지의 범람이 미래에 가져올 결과물들에 대해서는 쉽게 긍정적으로 확신할 수만은 없다. 영상문화가 가져온 교육적인 격변을 계속해서 맞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경험하는 이미지의 시대는 문화적 쇠퇴의 표상이 아닌 새로운 인식론적, 심미적, 윤리적 기능을 갖고 있고 긍정적인 현실 변화의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바탕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런 것들에 주목하여 영상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이미지의 성격, 의미를 생산해내는 체계와 내부적인 역동성을 탐색한다.

이 탐색을 위해 건축, 만화, 애니메이션, 문학, 미술과 사진, 신문방송, 영화연극, 인문 사회학, 출판 등 분야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연구자들이 모여 영상문화를 위한 지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는 이미 이미지 시대를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영상문화에 대한 관심이 응축되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우창(지은이)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미국문명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술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세계의문학》 편집위원, 《비평》 편집인이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심미적 이성의 탐구』, 『풍경과 마음』, 『깊은 마음의 생태학』 등이 있고 역서 『가을에 부쳐』, 『미메시스』(공역) 등과 대담집 『세 개의 동그라미』 등이 있다. 팔봉비평문학상,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고려대학술상,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인촌상, 경암학술상 등을 수상했고 2003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성완경(지은이)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파리 국립장식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79년 ‘현실과 발언’ 창립 동인으로 작가 활동과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인하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로 정년 퇴임하였으며, 2002년 광주 비엔날레 예술감독, 한국영상문화학회 공동대표, 천만화정보센터 이사장으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민중미술 모더니즘 시각문화》, 《기계시대의 미학》, 《시각과 언어 I, II》(공편저), 《성완경의 세계만화탐사》 등이 있다. 2022년 3월 향년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설 영상문화학을 위하여 = 6

머리말 왜, 우리는 함께 모였는가 = 13

제1부 대담

 영상문화와 인문학의 만남 / 김우창, 성완경, 박명진 = 18

제2부 문화의 위기와 영상문화 담론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제1장 이미지 에피스테메

  김상환 영상과 더불어 철학하기 = 68

  정대현·서정신·김혜숙 인문학으로서의 영상문화학 = 96

  박성수 이미지의 논리 = 116

  김성도 기호학과 영상 이미지 = 140

 제2장 이미지 포에틱스

  유지나 이미지 디아스포라 시대, 메타 영화의 포에틱스 = 184

  박신의 예술인가? 문화 생산인가? = 202

  김민수 디지털 주사위 던지기 = 226

 제3장 이미지 폴리틱스

  원용진·박근서 텔레비전 광고의 주체 전환 = 250

  박찬경 블랙박스 = 294

  정기용 도시·건축의 정치학, 그 폐허의 이미지 = 330

 제4장 이미지에 대한 생각들

  최혜실 영상, 디지털, 서사 = 346

  심광현 영상시대와 근대적 시각체제 비판 = 360

  김정란 흰색, 까만색, 이따금 빨간색, 그리고 미만한 초록 = 380

  박철화 이미지의 소리, 소리의 이미지 = 398

  서정남 영상문화학회, 무엇을 생각하고 실천할 것인가 = 408

제3부 이미지 명제 해제

 새로운 영상문화 담론의 지적 토대를 위하여 

  사이버 문화 = 423

  이미지의 수사학 = 427

  산해경 = 431

  TV문화 = 435

  문체Ⅲ = 438

  이미지의 삶과 죽음 = 441

  시각 기호 서설 = 445

  칼리가리에서 히틀러까지 = 448

  이미지 = 452

  현대를 생각한다 = 455

  예술 언어 = 458

  이미지와 의미에 관한 스무 가지 교훈 = 462

  건축의 이론과 역사 = 465

  맥루한의 매체 결정론과 이미지 = 476



관련분야 신착자료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