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47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650755 | |
005 | 20100806091703 | |
007 | ta | |
008 | 991116s1999 ulka 000a kor | |
020 | ▼a 8988089480 ▼g 03300 : ▼c \9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33112 ▼l 111133113 ▼f 개가 ▼l 111133114 ▼f 개가 ▼l 131006332 ▼f 의학 |
082 | 0 4 | ▼a 351.0285 ▼2 21 |
085 | ▼a 6305 ▼2 KDCP | |
090 | ▼a 351.0285 ▼b 1999a | |
100 | 1 | ▼a 권기헌 ▼0 AUTH(211009)45085 |
245 | 1 0 | ▼a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 ▼b 패러다임·모형 그리고 개혁 / ▼d 권기헌 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1999. | |
300 | ▼a 206 p. : ▼b 삽도 ; ▼c 23 cm. | |
49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신서 ; ▼v 20 |
504 | ▼a 참고문헌(p.198-206) 수록 | |
950 | 0 | ▼b \9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0285 1999a | Accession No. 1111331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0285 1999a | Accession No. 1111331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0285 1999a | Accession No. 1111331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래 정부사회에서 작고 효율적이며 대국민 서비스 지향적인 전자정부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행정의 패러다임 및 행정모델은 어떤 것인가. 이같은 물음에 대해 답을 전하는 책이다. 정보사회의 행정패러다임과 행정모형을 비롯해 21세기에 필요한 행정이론을 탐색했다.
* 커뮤니케이션북스 큰글씨책은 다양한 독자층의 편안한 독서를 위해 기존 책을 135~170퍼센트 확대한 책입니다. 기존 책과 내용과 쪽수가 같습니다. 주문받고 제작하기에 책을 받아 보는 데 3~4일 소요됩니다.
[책의 특성]
미래 정보사회에서 작고 효율적이며 대국민 서비스 지향적인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행정의 패러다임 및 행정모델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또한, 이러한 변화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하위체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새로운 공공 행정모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기존의 행정조직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며, 공무원들의 업무행태 및 업무처리방식, 그리고 새로운 행정문화 및 행정윤리는 어떠해야 하는가? 그리고, 미래 정보사회의 공공행정 모델을 수용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하는 제반 환경요소로서의 법/제도, 행정 정보체계, 정보기술 등은 어떤 형태로 바뀌어야 하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을 중심으로 21세기 고도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행정이론 체계를 탐색해 보는 하나의 원초적인 시도이다. 특히 이 책에서는 다가올 고도정보사회 시대의 국가행정모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네트워크 정부에 대해 초점을 맞추면서, 이의 효율적인 구축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각종 하위시스템, 즉 조직, 인력, 문화, 그리고 법 제도적인 측면의 제반 쟁점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미래의 새로운 공공 행정수요와 요구에 대한 대책 마련을 통해 미래 발생가능한 문제들에 대하여 사전에 대비하는 데 하나의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권기헌(지은이)
한국외국어대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서울대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미국 하버드대 졸업(정책학 석사, 정책학 박사) 제26회 행정고시 합격 상공부 미주통상과 근무 미국 시라큐스 맥스웰 대학원 초빙교수 행정고시 및 외무고시 출제위원 역임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장 역임 제23대 한국정책학회 회장 역임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 역임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장 역임 現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성균관대학교 국제정보정책전자정부연구소장 수 상 국무총리상 수상(제26회 행정고시 연수원 수석) 미국정책학회(APPAM)선정 박사학위 최우수논문 선정 한국행정학회 학술상 수상 미국 국무성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ship) 선정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정보체계론, 나남)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정책학의 논리, 박영사)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정책학, 박영사) 주요저서 ≪정책학의 향연≫ ≪정책학의 콘서트≫ ≪행정학 콘서트≫ ≪정책학 강의≫ ≪행정학 강의≫ ≪정책학의 지혜≫ ≪정의로운 국가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비정상의 정상화≫ ≪정부혁명 4.0≫ ≪정의로운 공공기관 혁신≫ ≪포기하지마! 넌 최고가 될거야≫ ≪E-Government & E-Strategy≫ ≪정책분석론≫ ≪정책학의 논리≫ ≪미래예측학: 미래예측과 정책연구≫ ≪전자정부론: 전자정부와 국정관리≫ ≪정보체계론: 정보사회와 국가혁신≫ ≪정보사회의 논리≫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과학기술과 정책분석≫ ≪정보정책론≫ ≪창조적 지식국가론≫ ≪정보의 신화, 개혁의 논리≫ ≪디지털 관료 키우기≫ ≪POLICY SCIENCE: Effective Policy Making under the Turbul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정보사회의 행정패러다임과 행정모형 = 13 1. 정보사회에 대한 이론적 조망 = 15 1) 정보사회의 개념 = 15 2) 정보사회의 동인, 실체 및 패러다임 = 17 3) 정보사회를 보는 시각 = 27 4) 결론 및 평가 = 43 2. 정보화와 국가행정 = 46 1) 정보화와 행정역할 = 48 2) 정보화와 조직구조 = 51 3. 이 책의 분석시각 = 54 1) 정보화, 행정모형, 그리고 행위결과 = 54 2) 개방시스템으로서의 국가모형 = 56 3) 분석의 단위 = 58 4) 행정패러다임과 행정모형 = 58 제2장. 정보사회의 공공행정모형 = 60 1. 행정학의 논의구조 = 61 1) 행정학 발전의 역사적 패턴 = 61 2) 분석의 틀로서의 거시행정학 = 66 3) 인간중심의 행정학 = 67 2. 정보사회의 행정패러다임 = 70 1) 정보사회와 국가행정 = 70 2) 발전행정에 대한 이념적 반성 = 73 3) 정보사회의 국가행정이념 = 74 4) 정보사회에서의 국가행정의 역할과 위상 = 78 3. 정보사회의 공공행정모형 : 네트워크 정부모형 = 80 4. 결론 = 84 제3장. 정보사회의 행정조직모형 = 85 1. 서론 = 85 1) 현행 행정조직의 한계 = 85 2) 조직개편의 필요성 = 86 2. 정보사회의 조직 변화방향 = 89 1) 조직구조 측면 = 89 2) 직무구조 측면 = 93 3. 새로운 행정조직 = 95 1) 비전구동형 조직 = 96 2) 프로세스 조직 = 101 3) 네트워크 조직 = 103 4) 학습조직 = 105 5) 팀 조직 = 107 4. 결론 : 평가 및 행정조직 개혁방향 = 110 1) 평가 = 110 2) 행정조직의 개혁방향 = 112 제4장. 정보사회의 행정서비스와 행정문화 = 116 1. 행정문화, 행정윤리, 미래의 행정문화 = 117 1) 행정문화의 구성내용 = 117 2) 새로운 업무형태와 행정문화 = 118 3) 미래의 행정문화와 행정윤리 = 120 2. 새로운 업무형태 및 처리방식 = 125 1) 새로운 행정서비스의 동향 = 125 2) 정보사회의 새로운 행정업무형태 = 126 3) 새로운 행정업무처리에서 오는 부작용 = 128 4) 대응방향 = 131 3. 결론 : 새로운 행정정보시스템과 행정문화 = 134 제5장. 정보사회의 법·제도적 패러다임 = 136 1. 새로운 행정모형의 지향점 = 137 1) 행정이념적 차원 : 사회적 형평성 추구의 행정 = 138 2) 행정제도적 차원 : 민주적 절차 중시의 행정 = 138 3) 행정환경적 차원 : 고객지향적 행정 = 139 2. 법·제도 수용방향 = 141 1) 사회적 형평성 추구 = 142 2) 민주적 절차 중시 = 146 3) 고객지향적 행정 = 151 제6장.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 157 1. 행정정보화 = 157 1) 행정정보화 사업 = 158 2) 행정정보화 추진시책 = 162 3) 행정정보화 우수사례 = 165 4) 차세대 행정정보화 정책의 방향 = 168 2. 전자정부 = 169 1) 미국 = 171 2) 일본 = 175 3) 한국 = 179 4) 요약 및 평가 = 182 5) 함의 및 시사점 = 186 3. 결론 및 시사점 = 190 1) 변화방안 = 190 2)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 = 192 제7장. 에필로그 = 194 참고문헌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