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통계로 본 독일 교육

통계로 본 독일 교육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덕규.
단체저자명
교육부
서명 / 저자사항
통계로 본 독일 교육 / 교육부 ; 한국교육개발원 [공편].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97  
형태사항
x, 237 p. ; : 삽도 ; 30 cm
총서사항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7-46
원표제
Basic and structural data, 1996/1997
ISBN
898388035x
일반주기
독일연방교육과학부가 발간한 "교육기본통계집 (Basic and structural data 1996/1997)"을 번역한 것임  
원저자명: Germany (West). Bundesministerium f? Bildung und Wissenschaft.  
일반주제명
Education --Germany --Statistics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50728
005 20230425113158
007 ta
008 991116s1997 ulka 000a kor
020 ▼a 898388035x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72 ▼2 21
090 ▼a 370.72 ▼b 1981a ▼c 97.46
110 ▼a 교육부
245 1 0 ▼a 통계로 본 독일 교육 / ▼d 교육부 ; ▼e 한국교육개발원 [공편].
246 1 9 ▼a Basic and structural data, 1996/1997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개발원, ▼c 1997
300 ▼a x, 237 p. ; : ▼b 삽도 ; ▼c 30 cm
440 0 0 ▼a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 ▼v CR 97-46
440 0 0 ▼a 한국교육개발원 ; ▼v CR 97-46
500 ▼a 독일연방교육과학부가 발간한 "교육기본통계집 (Basic and structural data 1996/1997)"을 번역한 것임
500 ▼a 원저자명: Germany (West). Bundesministerium f? Bildung und Wissenschaft.
650 0 ▼a Education ▼z Germany ▼v Statistics
700 1 ▼a 박덕규.
710 ▼a 한국. ▼b 교육부.
710 ▼a 한국교육개발원 ▼0 AUTH(211009)18674
910 1 ▼a 독일 ▼b 교육과학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참고 청구기호 R 370.72 1981a 97.46 등록번호 141004997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1자료실(2층)/참고 청구기호 R 370.72 1981a 97.46 등록번호 111100939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개요
Ⅰ. 일반 통계
 1. A지역의 인구, 취업 인구, 실업 인구, 학생 인구 = 16
 2. A지역의 직업 교육생, 학생수, 졸업자수, 직업자격취득 교육생수, 학위취득자수, 직원수 현황 = 20
 3. A지역의 재정 지출, 세입, 부채 및 국내총생산 = 22
 4. 성별, 연령별, 학교 유형별 인구 및 학생수(1995) = 24
Ⅱ. 유치원
 1. 주별, 연령별 자녀를 보호소에 맡기는 취업 부모의 수 = 33
 2. 주별 유치원과 방과 후 보육기관수 = 34
Ⅲ. 학교
 1. 학교 유형 및 단계별 일반학교 학생수 = 38
 2. 학교 유형 및 단계별 직업학교 학생수 = 40
 3. 학교 수준 및 유형에 따른 일반학교 여학생수 = 42
 4. 학교 수준 및 유형에 따른 직업학교 여학생수 = 44
 5. 일반 및 직업학교별 학생수 추정 = 46
 6. 주별, 학교 유형별 일반학교의 외국 학생수 = 48
 7. 주별, 학교 유형별 직업학교의 외국 학생수 = 49
 8. 국적별, 학교 유형별 일반학교의 외국 학생수(1995) = 50
 9. 국적별, 학교 유형별 직업학교의 외국 학생수(1995) = 51
 10. 이수 자격별 학교 졸업자수 = 52
 11. 동일 연령 인구 중 자격 종류에 따른 학교 졸업자 = 54
 12. 자격 유형별 여성 졸업자의 비율 = 56
 13. 학교급별, 학교 유형별 일반학교의 교원수 = 58
 14. 학교급별, 학교 유형별 직업학교의 교원수 = 60
 15. 학교급별, 학교 유형별 일반학교 교원 1인당 학생수 = 62
 16. 학교급별, 학교 유형별 직업학교 교원 1인당 학생수 = 64
Ⅳ. 직업교육 및 훈련
 1. 훈련 영역별 훈련생 = 68
 2. 직업 훈련 영역 및 연수별 직업훈련생 = 70
 3. 25개 인기 직업의 훈련생수(1995) = 71
 4. 남성에게 인기있는 25개 직업의 훈련생수(1995) = 72
 5. 여성에게 인기있는 25개 직업의 훈련생수(1995) = 73
 6. 주별 신규훈련계약 체결 건수 = 74
 7. 훈련 분야 및 교육 배경에 따른 신규훈련계약 훈련생수 비율(1995) = 75
 8. 주별, 훈련 영역별 자격 시험 = 76
Ⅴ. 고등교육
 1. 주별, 기관 유형별 고등교육기관수 = 82
 2. 고등교육기관별 학생수 = 84
 3. 고등교육기관별 입학 자격자수 및 신입생수 추정 = 88
 4. 대학별 학생수 및 졸업생수 추정 = 90
 5. 고등교육기관별, 성별, 전공별 재학생 및 신입생수(1995) = 92
 6. 고등교육기관별, 입학 자격 유형별 독일 및 외국인 신입생수 = 94
 7. 고등교육기관 유형 및 성별, 입학 자격 취득 형태 및 연도별 독일인 신입생수(1994) = 98
 8. A지역의 입학 자격 취득 소요 연수별 입학 자격 취득 고교 졸업자수 = 102
 9. 부모의 직업 및 교육 정도별 대입 신입생수 = 104
 10.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입학 자격별 1학기 학생수 = 105
 11. 대학별, 국적별 외국 학생수 = 106
 12. 1992/93학년도 국가별 대학 재학생수 = 108
 13. 시험 유형별 합격자수 = 110
 14. 전공 집단별, 시험 유형별 합격자수 = 112
 15. 시험 유형별, 성별, 주별 합격자수(1993) = 116
 16. 대학별, 학위별 교직원수 = 118
 17. 대학별, 전공 영역별 교원수 = 122
 18. 주별, 전공 영역별 강사 자격자수 = 124
 19. 대학별, 성별, 연령별 졸업 시험 합격을 위한 대학 재학 기간 = 126
 20. A지역의 대학별, 전공별 학생 1인당 교수 및 연구비 지출액 = 127
 21. 전공 영역별, 교수 및 연구 영역별, 지출 영역별 고등교육기관 지출액(1994) = 128
Ⅵ. 직업교육지원
 1. 교육 훈련 기관별, 지원 형태별, 거주지별 수혜자수 = 132
 2. 결혼 여부, 교육 훈련 기관별 지출 = 134
Ⅶ. 계속교육
 1. 교육목적과 강좌별 계속교육과정의 참여자 = 138
 2. 1993년부터 직업계속교육 참여자(1995년) = 139
 3. 성인교육센터(민중대학)의 기관수, 직원수, 학생수 = 140
 4. 기독교나 카톨릭, A지역의 성인교육센터에서 조직한 주제별 성인교육 활동 = 141
Ⅷ. 교육재정
 1. 지출 영역에 따른 공·사 부문별 연구·개발 지출 = 144
 2. 국내 총생산 비율로 표시한 지출 영역에 따른 공·사적 부문별 교육·연구 지출 = 145
 3. 지출 영역별 연방·주·지방 행정청의 교육비 지출 = 146
 4. 지출 영역과 지출 유형에 따른 교육비 지출 = 147
 5. 지출 영역, 연도별 증가율, 1인당 지출액에 따른 교육비 지출 = 148
 6. 국내 총생산과 총공공지출·비율로 표시한 영역별 교육비 지출 = 149
Ⅸ. 연구·개발을 위한 자원
 1. 투자 분야별 연구·개발비 = 152
 2. 집행 분야별 총연구·개발비 = 153
 3. 정부 부처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154
 4. 재원 분야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155
 5. 장려 유형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156
 6. 수탁 집단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157
 7. 연구 대상별 정부의 연구·개발비(예산 충당) = 158
 8. 산업별 연구·개발비 = 159
 9. 학문 분야별 교수 및 연구를 위한 고등교육기관 내부 지출 = 160
 10. 정부 내의 연구·개발비 = 161
 11. 고용 집단 및 직무별 연구·개발 인력 = 163
 12. 산업별 연구·개발 인력 = 164
 13. 직무 및 연구 분야별 고등교육기관의 연구·개발 인력 = 165
 14. 학술 기관 및 연구 분야별 대학 외 학술 기관의 연구·개발 인력 = 166
 15. 학술 기관 및 직무별 대학 외 학술 기관의 연구·개발 인력 = 167
 16. 주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 재정 = 169
 17. 주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 수행 실적 = 170
 18. 주별, 산업 내의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 수행 실적 = 171
 19. 주별 대학 외 학술 기관의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 수행 실적 = 172
 20. 주별 고등교육 부문의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 수행 실적 = 173
 21. 주별 연방 정부의 연구·개발 인력 = 174
 22. 주별 산업별 연구·개발 인력 = 175
 23. 주별 고등교육부문의 연구·개발 인력 = 176
 24. 주별 대학 외 학술 기관의 연구·개발 인력 = 177
 25. 외국의 연구·개발비 = 178
 26. 유럽연합 회원국별 연구·개발 총충당금 = 181
 27. 유럽연합 회원국별 정부의 연구·개발 총충당금 = 183
 28. OCED 회원국의 직무별, 분야별 연구·개발 인력 = 185
Ⅹ. 인구, 경제 및 공공지출
 1. 인구 통계학적 특징 = 188
 2. 연령별 인구수 = 189
 3. 연령별 인구수(남) = 190
 4. 연령별 인구수(여) = 191
 5. A지역의 연령별 거주 인구 = 192
 6. B지역의 연령별 거주 인구 = 194
 7. 통일 독일의 연령별 거주 인구 = 195
 8. 통일 독일의 거주 인구 추정수 = 196
 9. A지역의 연령별 거주 인구 추정수 = 198
 10. B지역의 연령별 거주 인구 추정수 = 199
 11. 취업자별 거주 인구 = 200
 12. 연령별 노동 인구, 노동 참여 비율 = 201
 13. A지역의 일반학교 졸업자의 자격 유형별 노동 인구 및 거주 인구(1993) = 202
 14. B지역의 일반학교 졸업자의 자격 유형별 노동 인구 및 거주 인구(1993) = 204
 15. 국민 총생산, 국민 소득, 총임금 및 봉급 소득 = 206
XI. 국제 비교
 1. OECD 회원국의 실업자수(1995) = 211
 2. 국가별 지역, 인구, 생계비 지수 및 국내 총생산(1994) = 212
 3. 국가별, 교육 수준별 학생수와 교원수 = 214
 4. 25-64세 노동 인구 중 학력별 실업자 비율(1994) = 222
 5. 교육에 대한 정부 유형별 공공재원(1993) = 223
 6. 대학별, 남여별 이론적 졸업 연령상의 인구 중 졸업자 비율(1994) = 224
 7. 재원별, 교육 수준별 교육비 지출이 국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1993) = 226
 8. 교육 관련 인구 및 등록률에 따른 교육비 지출이 국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 = 227
 9. 교육 수준별 공·사립 교육기관의 학생 1인당 교육비(1993) = 228
 10. 교육 수준별, 공·사립 교육기관별 국민 1인당 국내 총생산 중 학생 1인당 교육비(1993) = 229
 11. 총공공지출 중 공교육비(1993) = 230
XII. 지역 통계
 1. 주별 기본 통계(1995) = 232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