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감각과 지각

감각과 지각 (Loan 18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Goldstein, Bruce E. 정찬섭
Title Statement
감각과 지각 / E. Bruce Goldstein 원저 ; 정찬섭 ...[외]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   1999.  
Physical Medium
xiii, 656 p. : 삽도 ; 26 cm.
Varied Title
Sensation and perception, 4th ed.
ISBN
8985922564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621]-651
000 00765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650674
005 20100806091442
007 ta
008 991115s1999 ulka 001a kor
020 ▼a 8985922564 ▼g 93180 :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132821 ▼l 111132822 ▼l 111132823
082 0 4 ▼a 152.1 ▼2 21
090 ▼a 152.1 ▼b 1999
100 1 ▼a Goldstein, Bruce E.
245 1 0 ▼a 감각과 지각 / ▼d E. Bruce Goldstein 원저 ; ▼e 정찬섭 ...[외]역.
246 1 9 ▼a Sensation and perception, 4th ed.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 ▼c 1999.
300 ▼a xiii, 656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 [621]-651
700 1 ▼a 정찬섭
950 0 ▼b \2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152.1 1999 Accession No. 1111328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1 1999 Accession No. 1111328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E. Bruce Goldstein(지은이)

피츠버그 대학교 심리학과 명예 부교수이며 애리조나 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이다. 강의와 교재 집필의 공을 인정받아 피츠버그 대학교 최우수 강의상을 수상했다. Goldstein 교수는 터프스 대학교에서 화공학 학사를 받았고, 브라운 대학교에서 실험심리학으로 박사를 받았다. 이어서 하버드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박사 후 연수과정을 밟고, 피츠버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Goldstein 교수는 망막과 피질 생리학, 시각적 주의, 그리고 그림 지각 등 다방면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는 『감각과 지각』9판(Wadsworth/Cengage, 2014)을 저술하였고, Blackwell Handbook of Perception(Blackwell, 2001)과 두 권으로 된 Sage Encyclopedia of Perception(Sage, 2010)의 편집을 맡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지각은 그저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 2

 1.2 생리학적 접근 = 5

 1.3 정신물리학적 접근 = 15

 1.4 인지적 접근 = 24

 1.5 이 책의 접근법 = 25

제2장 시각 입문 : 수용기와 신경처리 = 41

 2.1 시각체계의 전반적 설계 = 42

 2.2 빛의 초점형성 = 44

 2.3 망막 = 46

 2.4 외측 슬상체 = 52

 2.5 시각 피질 = 52

 2.6 이중이론과 지각 = 54

 2.7 신경신호의 처리 = 63

 2.8 신경처리와 지각경험 = 69

 2.9 시각처리의 시작 = 83

제3장 시각 입문 : 중추과정 = 95

 3.1 측면슬상핵에서의 정보처리 = 95

 3.2 선조피질에서의 정보처리 = 98

 3.3 생리와 지각 사이의 관계 = 106

 3.4 선조피질 이후의 시각과정 = 108

 3.5 생리학적 연구를 위한 몇 가지 도전 = 117

제4장 색채지각 = 133

 4.1 색채시의 기능 = 133

 4.2 색경험의 기술 = 134

 4.3 감각부호의 탐색 = 140

 4.4 색채지각의 정신물리학적 연구 = 142

 4.5 색채지각의 생리학적 연구 = 154

 4.6 색채시 결함 = 162

 4.7 지각 항등성 = 164

 4.8 지각의 원리 = 171

제5장 물체지각 = 183

 5.1 물체지각의 문제 = 183

 5.2 지각체제화 : 형태주의 접근 = 187

 5.3 구성과정으로서 지각 : 구성주의 접근 = 201

 5.4 물체지각의 처리단계 : 전주의와 주의 처리 = 204

 5.5 3차원 형체의 재인 : 성분재인론 = 209

 5.6 물체지각에 대한 계산론 접근 = 211

 5.7 물체지각에 대한 공간주파수 접근 = 214

 5.8 모든 것을 종합하기 : 다중 물음과 다중 접근 = 222

제6장 깊이와 크기에 대한 지각 = 235

 6.1 단서 접근 = 235

 6.2 안구운동 단서들 = 236

 6.3 그림 단서들 = 237

 6.4 운동 - 생성 단서들 = 242

 6.5 양안 불일치와 입체시 = 243

 6.6 크기 지각 = 255

 6.7 크기의 착시들 = 261

 6.8 생태적 접근 = 267

제7장 움직임 지각 = 289

 7.1 움직임이 제공하는 정보 = 289

 7.2 움직임 지각에 관한 연구 = 291

 7.3 움직임 탐지기 = 296

 7.4 안구 움직임을 참작하기 = 302

 7.5 관공(觀孔)의 문제 = 305

 7.6 생물성 움직임 지각 = 309

 7.7 일치점의 문제 = 312

 7.8 정보원으로서의 움직임 = 316

제8장 청각Ⅰ : 청각의 생리화 = 337

 8.1 청각의 기능 = 337

 8.2 청각의 자극 = 339

 8.3 청각계의 구조와 기능 = 345

 8.4 주파수의 부호 = 351

 8.5 음 정위의 생리학 = 359

 8.6 감각의 비교 : 청각과 시각 = 363

제9장 청각Ⅱ : 듣기 = 377

 9.1 민감도와 소리의 크기 = 378

 9.2 음높이 지각 = 383

 9.3 음질 = 386

 9.4 청각처리의 정신물리학적 접근 = 391

 9.5 청각 풍경 분석 = 397

 9.6 청각적 위치 확인 = 401

 9.7 듣기의 정신물리학적 접근 = 406

제10장 언어지각 = 417

 10.1 언어자극 = 418

 10.2 언어지각의 이해라는 도전 = 421

 10.3 언어지각을 위한 특별한 기제가 존재하는가? = 426

 10.4 어떤 소리가 있는지를 나타내 주는 정보가 청각신호에 있는가? = 431

 10.5 어떻게 청자가 화자의 목소리를 고려하게 되는가? = 436

 10.6 어떻게 지식과 의미가 언어지각에 영향을 주는가? = 437

 10.7 언어지각의 생리학 = 440

 10.8 언어지각 : 복합현상들 - 일반이론들 = 443

제11장 체감각 = 455

 11.1 체감각계의 해부 = 456

 11.2 촉지각의 정신물리학과 생리학 = 459

 11.3 온도 및 잠재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는 자극에 대한 신경반응 = 464

 11.4 신경처리 과정 = 466

 11.5 능동적 촉각 = 471

 11.6 통증지각에 대한 중추적 영향 = 477

제12장 화학물질 감각 기관 = 493

 12.1 후각의 용도 = 494

 12.2 인간의 후각에 관한 몇 가지 사실 = 495

 12.3 후각 체계의 구조 = 498

 12.4 냄새 자극물과 냄새의 질 = 499

 12.5 냄새의 질에 대한 신경부호 = 504

 12.6 향미 지각 = 508

 12.7 음식 선호에 작용하는 요인들 = 510

 12.8 미각 체계 = 514

 12.9 미각의 질 = 516

 12.10 맛의 질에 대한 신경부호 = 517

제13장 시각과 청각의 임상적 측면 = 533

 13.1 시각이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가? = 534

 13.2 초점 문제 = 535

 13.3 빛 전달의 감소 = 539

 13.4 망막의 손상 = 542

 13.5 시신경 손상 = 546

 13.6 눈 검사 = 547

 13.7 청각이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가? = 554

 13.8 전도성 청력손실 = 555

 13.9 감응성 청력손실 = 556

 13.10 귀의 검사와 청력 평가 = 558

 13.11 청력손실의 관리 = 561

부록 = 571

용어풀이 = 587

참고문헌 = 621

찾아보기 = 65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