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1.1 지각은 그저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 2
1.2 생리학적 접근 = 5
1.3 정신물리학적 접근 = 15
1.4 인지적 접근 = 24
1.5 이 책의 접근법 = 25
제2장 시각 입문 : 수용기와 신경처리 = 41
2.1 시각체계의 전반적 설계 = 42
2.2 빛의 초점형성 = 44
2.3 망막 = 46
2.4 외측 슬상체 = 52
2.5 시각 피질 = 52
2.6 이중이론과 지각 = 54
2.7 신경신호의 처리 = 63
2.8 신경처리와 지각경험 = 69
2.9 시각처리의 시작 = 83
제3장 시각 입문 : 중추과정 = 95
3.1 측면슬상핵에서의 정보처리 = 95
3.2 선조피질에서의 정보처리 = 98
3.3 생리와 지각 사이의 관계 = 106
3.4 선조피질 이후의 시각과정 = 108
3.5 생리학적 연구를 위한 몇 가지 도전 = 117
제4장 색채지각 = 133
4.1 색채시의 기능 = 133
4.2 색경험의 기술 = 134
4.3 감각부호의 탐색 = 140
4.4 색채지각의 정신물리학적 연구 = 142
4.5 색채지각의 생리학적 연구 = 154
4.6 색채시 결함 = 162
4.7 지각 항등성 = 164
4.8 지각의 원리 = 171
제5장 물체지각 = 183
5.1 물체지각의 문제 = 183
5.2 지각체제화 : 형태주의 접근 = 187
5.3 구성과정으로서 지각 : 구성주의 접근 = 201
5.4 물체지각의 처리단계 : 전주의와 주의 처리 = 204
5.5 3차원 형체의 재인 : 성분재인론 = 209
5.6 물체지각에 대한 계산론 접근 = 211
5.7 물체지각에 대한 공간주파수 접근 = 214
5.8 모든 것을 종합하기 : 다중 물음과 다중 접근 = 222
제6장 깊이와 크기에 대한 지각 = 235
6.1 단서 접근 = 235
6.2 안구운동 단서들 = 236
6.3 그림 단서들 = 237
6.4 운동 - 생성 단서들 = 242
6.5 양안 불일치와 입체시 = 243
6.6 크기 지각 = 255
6.7 크기의 착시들 = 261
6.8 생태적 접근 = 267
제7장 움직임 지각 = 289
7.1 움직임이 제공하는 정보 = 289
7.2 움직임 지각에 관한 연구 = 291
7.3 움직임 탐지기 = 296
7.4 안구 움직임을 참작하기 = 302
7.5 관공(觀孔)의 문제 = 305
7.6 생물성 움직임 지각 = 309
7.7 일치점의 문제 = 312
7.8 정보원으로서의 움직임 = 316
제8장 청각Ⅰ : 청각의 생리화 = 337
8.1 청각의 기능 = 337
8.2 청각의 자극 = 339
8.3 청각계의 구조와 기능 = 345
8.4 주파수의 부호 = 351
8.5 음 정위의 생리학 = 359
8.6 감각의 비교 : 청각과 시각 = 363
제9장 청각Ⅱ : 듣기 = 377
9.1 민감도와 소리의 크기 = 378
9.2 음높이 지각 = 383
9.3 음질 = 386
9.4 청각처리의 정신물리학적 접근 = 391
9.5 청각 풍경 분석 = 397
9.6 청각적 위치 확인 = 401
9.7 듣기의 정신물리학적 접근 = 406
제10장 언어지각 = 417
10.1 언어자극 = 418
10.2 언어지각의 이해라는 도전 = 421
10.3 언어지각을 위한 특별한 기제가 존재하는가? = 426
10.4 어떤 소리가 있는지를 나타내 주는 정보가 청각신호에 있는가? = 431
10.5 어떻게 청자가 화자의 목소리를 고려하게 되는가? = 436
10.6 어떻게 지식과 의미가 언어지각에 영향을 주는가? = 437
10.7 언어지각의 생리학 = 440
10.8 언어지각 : 복합현상들 - 일반이론들 = 443
제11장 체감각 = 455
11.1 체감각계의 해부 = 456
11.2 촉지각의 정신물리학과 생리학 = 459
11.3 온도 및 잠재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는 자극에 대한 신경반응 = 464
11.4 신경처리 과정 = 466
11.5 능동적 촉각 = 471
11.6 통증지각에 대한 중추적 영향 = 477
제12장 화학물질 감각 기관 = 493
12.1 후각의 용도 = 494
12.2 인간의 후각에 관한 몇 가지 사실 = 495
12.3 후각 체계의 구조 = 498
12.4 냄새 자극물과 냄새의 질 = 499
12.5 냄새의 질에 대한 신경부호 = 504
12.6 향미 지각 = 508
12.7 음식 선호에 작용하는 요인들 = 510
12.8 미각 체계 = 514
12.9 미각의 질 = 516
12.10 맛의 질에 대한 신경부호 = 517
제13장 시각과 청각의 임상적 측면 = 533
13.1 시각이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가? = 534
13.2 초점 문제 = 535
13.3 빛 전달의 감소 = 539
13.4 망막의 손상 = 542
13.5 시신경 손상 = 546
13.6 눈 검사 = 547
13.7 청각이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가? = 554
13.8 전도성 청력손실 = 555
13.9 감응성 청력손실 = 556
13.10 귀의 검사와 청력 평가 = 558
13.11 청력손실의 관리 = 561
부록 = 571
용어풀이 = 587
참고문헌 = 621
찾아보기 = 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