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7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선우현
서명 / 저자사항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 선우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백의 ,   1999.  
형태사항
352 p. ; 23 cm.
총서사항
백의신서 ; 62
ISBN
8980260490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341]-350
000 00673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50572
005 20100806091241
007 ta
008 991115s1999 ulk 001a kor
020 ▼a 8980260490 ▼g 9316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6338 ▼l 111136339 ▼l 111136340
082 0 4 ▼a 301.01 ▼2 21
090 ▼a 301.01 ▼b 1999b
100 1 ▼a 선우현 ▼0 AUTH(211009)121014
245 1 0 ▼a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 ▼b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 ▼d 선우현 지음.
260 ▼a 서울 : ▼b 백의 , ▼c 1999.
300 ▼a 352 p. ; ▼c 23 cm.
490 0 0 ▼a 백의신서 ; ▼v 62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341]-350
950 0 ▼b \13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1 1999i 등록번호 15107742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1-05-2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510774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11136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1 1999i 등록번호 15107742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1-05-2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청구기호 301.01 1999b 등록번호 1510774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하버마스 사회철학에 관한 전문 연구서. 이 책은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이 '합리성이론'의 형태로 기획된 것임을 밝히면서, 이러한 관점에서 하버마스의 전후기 사상을 일관되게 해석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서들이 주로 '의사소통행위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하버마스의 철학을 다룸으로써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그의 후기 사상, 곧 '사실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개진된 '심의정치이론'을 주요 탐구 대상으로 삼아 상세한 논의를 펼친다.

합리성이론의 관점에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을, 베버(합리화이론), 맑스(역사유물론), 푸코(권력/지식론), 루만(체계이론)의 그것과 비교 검토하여 논의 영역을 '사회철학사' 전반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읽는이에게 보다 폭넓은 사회철학적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 책은 하버마스의 이론을 비롯한 서구의 주요 사회철학 유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데 상당 부분을 할애하고 있지만, 실천을 소홀히한 채 이론사적 고찰에만 머무르는 작업을 하진 않는다. 이 책이 시도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서구의 사회이론 유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론적 강점들을 모아 재구성함으로 한국사회를 제대로 분석하고 해명하는 데 적합한 실천적인 사회이론을 확립하는 데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선우현(지은이)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합리성이론으로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철학의 여러 분과학문들 가운데 특히 사회철학을 전공으로 삼아 공부하게 된 것은, 철학이란 단지 순수 이론 차원에 머무는 학문이 아니라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실천적 학문이며 이 점에서 사회철학이 철학(함)의 본령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적어도 사회철학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나 문제점들을 제대로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할 지침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믿음이 오늘까지 철학함에 매달리게 하고 있지 않나 싶다. 학위 취득 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특별연구원, 통일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대한철학회 부회장,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IMF체제라는 어려운 상황에서 연구소에 적을 두었던 것은, 분단과 통일의 문제가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점에서 참으로 고마운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론에 매몰된 철학이 아닌 철저히 실천의 지평에서 이루어지는 철학함의 중요성을 북한과 통일 문제를 다루는 현장에서 다시금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 사회를 위해 철학이 해야 할 역할에 관해서도 조금은 분명히 깨닫게 되었으며, 아마도 이러한 문제의식이 북한의 철학을 지금까지 연구하도록 이끌지 않았나 싶다. 앞으로도 북한의 정치철학, 특히 인간중심철학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남북한 간 사상적 통합의 문제 등에 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생각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위기시대의 사회철학》, 《주체사상과 인간중심철학》(공저), 《평등》, 《다문화사회의 이해》(공저), 《한반도의 분단, 평화, 통일 그리고 민족》(편집), 〈공동체주의의 그림자, 신보수주의의 정당화 논리〉, 역서로는 발터 레제-쉐퍼의 《하버마스: 철학과 사회이론》, 마이클 왈쩌의 《정의와 다원적 평등》(공역)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들어가는 말 = 13

1장 새로운 비판적 사회이론 기획 : 합리성이론 = 23

 고전적 비판이론의 좌초와 비판적 사회이론의 새로운 정립 시도 = 23

 합리성이론 :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 형태 = 31

2장 주요 사회이론 유형 : 비판적 검토와 반성적 수용 = 51

 비판적 사회이론 기획을 위한 예비적 탐구 = 51

 베버의 합리화 이론 = 55

 맑스의 실천유물론 = 65

 푸코의 권력/지식론 = 75

 루만의 자기준거적·자기생산적 체계이론 = 82

 주요 사회이론 유형의 한계와 비판적 수용 = 91

3장 의사소통행위이론 단계 : 사회비판의 규범적 토대 정초 = 123

 사회비판의 규범적 척도 모색 = 123

 의사소통합리성의 정초 기획 = 128

 이원적 사회이론의 정식화 = 155

 합리성이론으로서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성과와 한계 = 169

4장 심의정치이론 단계 : 정치적 실천력 확보 = 209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정치이론적 재편 기획 = 209

 정치이론적 재편 토대 : 절차적 합리성 = 215

 심의정치이론의 정립 = 227

 생활세계/공론영역/체계의 삼원적 정치이론 기획 = 254

 심의정치이론 기획의 의의와 한계 = 262

5장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 가능성 = 277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 형태로서 합리성이론의 수용 가능성 = 277

 합리성이론으로서 비판적 사회이론 기획은 성공적인가 = 290

 이론기획의 보완과 수정의 필요성 = 292

맺는말 = 329

참고 문헌 = 341

찾아보기 = 35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