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1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650297 | |
005 | 20100806090608 | |
007 | ta | |
008 | 991111s1999 ulk 001a kor | |
020 | ▼a 893201079X ▼g 93300 : ▼c \2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38748 ▼l 111138749 ▼l 111138750 |
082 | 0 4 | ▼a 321.8 ▼2 21 |
090 | ▼a 321.8 ▼b 1999c | |
100 | 1 | ▼a Dahl, Robert A. |
245 | 1 0 | ▼a 민주주의와 그 비판자들 / ▼d 로버트 달 지음 ; ▼e 조기제 옮김. |
246 | 1 9 | ▼a Democracy and its critics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 ▼c 1999. | |
300 | ▼a 682 p. ; ▼c 23 cm. | |
490 | 0 0 | ▼a 현대의 지성 ; ▼v 101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 634-653 | |
950 | 0 | ▼b \25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510821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510821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111387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510821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8 1999c | 등록번호 1510821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로버트 달은 미국 정치학계를 주도해 온 학자일 뿐만 아니라 현대 정치학의 방향을 정립한 거장이다. 그는 엘리트 이론가들의 서구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이라든지 좌파 이론가들의 부르주아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에 맞서 서구, 특히 미국의 민주주의를 다원 민주주의라는 관점에서 옹호하였다.
<민주주의와 그 비판자들>은 민주주의에 대한 달의 연구의 결정판이다. 달은 그 동안의 자신의 저작들에서 서술한 내용을 자유로이 인용하면서, 민주주의의 연원, 대안적 주장, 민주적 결정 과정의 정당화 근거, 현실 민주주의 국가의 한계와 가능성, 민주주의의 미래 등을 서술한다.
달은 이 책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자들 가운데서도 무정부주의적 비판은 무정부주의가 추구하는 강압의 완전한 폐지가 이루어진 사회를 전세계적으로 실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리고 수호자주의적 비판은 수호자주의가 전제하는 수호자의 이타주의적 지식과 덕을 신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거부한다. 반면 민주주의는 실행 가능한 자유를 최대한 실행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 이익을 보호하고 나아가 인간 발달의 도구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민주주의를 완전한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 민주적 과정을 통해 결정을 내림에 있어 결정 방법의 문제, 과정과 실질의 문제, 민주적 과정에 앞서 지켜져야 하는 기본권의 문제, 민주적 단위의 문제 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보았다. 이에 달은 이상적 형태의 민주주의와 구분하여 미완성의 모습이나마 민주주의 일정한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현실의 민주주의를 '폴리아키'라고 이름한다.
그는 이 책의 마지막에서 현재의 폴리아키가 지닌 관료제와 과두제를 넘어 참여와 자유, 권력을 그 구성원들에게 보장하는 질적 전환이 앞으로 일어날 수 있을 것인지를 진지하게 탐색하고 있다.
로버트 달은 이 책으로 1990년 우드로 윌슨 재단이 후원하고 미국 정치학회에서 수여하는 최우수 저작상을, 1991년에는 정치사상연구협의회로부터 자유주의 이론과 민주주의 이론 부문에서 최우수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로버트 달(지은이)
1915년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태어나, 1940년 예일 대학교에서 “사회주의 프로그램과 민주정치 사이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6년부터 1986년 은퇴할 때까지 예일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와 집필에 매진했고, 특히 1964년에는 예일 대학교에서 수여하는 가장 명예로운 스털링 교수직에 올랐다. 명예교수로 은퇴한 이후에도 2014년 타계할 때까지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치며 민주주의에 대한 고민을 내려놓지 않았다. 대표 저작으로는 『누가 통치하는가?』(1961), 『폴리아키』(1971), 『다원민주주의의 딜레마』(1982), 『경제 민주주의에 관하여』(1986), 『민주주의와 그 비판자들』(1989), 『미국 헌법과 민주주의』(2001), ??정치적 평등에 관하여??(2007) 등이 있다.
조기제(옮긴이)
1958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과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진주교육대학교 도덕교육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책으로 『국가 계급 사회 운동』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연구'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옮긴이의 말 = 8 서문 = 23 제1부 근대 민주주의의 근원 제1장 제1차 변환 : 민주적 도시국가로 = 39 1. 그리스인의 시각 = 40 2. 한계 = 53 제2장 제2차 변환을 향하여 : 공화중의, 대의, 평등의 논리 = 62 1. 공화주의 전통 = 62 2. 대의 정부 = 68 3. 정치적 평등의 논리 = 74 제2부 부정적 비판자들 제3장 무정부주의 = 83 1. 주장 = 84 2. 월프의 무정부주의 변호론 = 93 3. 무정부주의 비판 = 95 4. 월프의 주장에 대한 비판 = 103 5. 복종에 대하여 = 107 제4장 수호자주의 = 112 1. 수호자주의의 관점 = 113 2. 세 가지 공통된 가정 = 117 3. 수호자주의와 능력자 통치제 = 120 4. 능력 있는 자의 자질 = 122 5. 도덕적 능력 = 127 6. 도구적 능력 = 130 7. 전문화의 필요성 = 132 8. 역사적 경험 = 134 제5장 수호자주의 비판 = 138 1. 지식 = 139 2. 지식 : 일반선 = 149 3. 위험성, 불확실성, 대체성 = 158 4. 덕 = 160 5. 역사적 경험 = 162 6. 왜 철학자는 왕이 되어서는 안 되며 왕도 철학자가 되어서는 안 되는가? = 163 제3부 민주적 과정 이론 제6장 정당화 : 가치의 본질적 평등 사상 = 169 1. 전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최선의 체계를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는 민주주의 = 170 2. 본질적 평등 사상 = 172 3. 실행 가능한 자유를 최대한 실현하는 도구로서의 민주주의 = 180 4. 인간 발달의 도구로서의 민주주의 = 186 5. 개인적 이익 보호의 도구로서의 민주주의 = 189 제7장 개인적 자율 = 196 1. 강한 평등 원칙 = 196 2. 강한 평등 원칙 : 예비적 해석 = 197 3. 개인적 자율의 추정 = 201 4. 불리한 입장에 선 타인 = 204 5. 이익과 인간 경험 = 207 6. 개인적 자율과 개인적 발달 = 210 7. 개인적 자율과 자기 결정 = 210 8. 강한 평등 원칙의 재론 = 211 제8장 민주적 과정 이론 = 213 1. 정치 질서의 여러 가정 = 214 2. 민주적 정치 질서를 정당화하는 가정들 = 216 3. 민주적 과정의 기준 = 218 4. 왜 동등한 기회인가? = 229 5. 이론적 문제들 = 230 제9장 포함의 문제 = 236 1. 완전히 우연적인 시민권 = 238 2. 정언적 권리로서의 시민권 = 242 3. 능력에 따라 가언적으로 결정되는 시민권 = 246 4. 포함의 기준 = 250 5. 수정된 정언적 원칙? = 252 6. 포함의 정당화 = 255 7. 민주적 과정의 이론 = 257 제4부 민주적 과정의 여러 문제 제10장 다수결과 민주적 과정 = 263 1. 준비 = 265 2. 다수결의 정당화 방법 네 가지 = 268 3. 결점들 = 280 제11장 더 좋은 대안이 있는가? = 297 1. 중다수 = 297 2. 제한적 민주주의 = 299 3. 의사(擬似) 수호자주의 = 301 4. 다수 독재와 소수 독재 = 302 5. 민주적 국가에서의 다수결 = 303 6. 왜 다수결이 민주주의 이론보다 민주주의 실제에서 덜 일반적인가? = 310 제12장 과정과 실질 = 314 1. 약간의 잘못된 관념들 = 315 2. 민주적 과정 대(對) 동등한 고려 = 321 3. 민주적 과정에 내재된 선의 요구 = 322 4. 이익, 계몽, 자유 토론 = 333 제13장 과정과 과정 = 338 1. 민주주의를 실행할 때 불가피한 결점 = 340 2. 민주적 과정의 외부에 있지만 민주적 과정에 필요한 권리와 선의 위배 = 341 3. 민주적 과정에 필수적이지 않은 이익들 = 345 4. 몇 가지 과정들 = 352 제14장 하나의 국민이 민주적 과정을 운영할 권리는 언제 생겨나는가? = 371 1. 단위의 문제 = 372 2. 두 가지 무해법 = 376 3. 연방주의 = 378 4. 클수록 더 좋다? = 392 5. 민주적 단위 형성의 기준들 = 397 제5부 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 제15장 제2차 민주 변환 : 도시국가에서 민족국가로 = 405 1. 변환 = 406 2. 여덟 가지 결과 = 408 3. 폴리아키 = 419 4. 폴리아키에 대한 평가 = 421 제16장 민주주의, 폴리아키, 참여 = 425 제17장 어떻게 폴리아키는 어떤 국가들에서는 발달했고, 다른 국가들에서는 그렇지 못했는가? = 437 1. 폴리아키의 성장 = 440 2. 이론적 고려 사항 = 450 제18장 왜 폴리아키는 어떤 국가에서는 발전했고, 다른 국가에서는 그렇지 못했는가? = 455 1. 폭력적 강압의 문민 통제 = 456 2. 현대의 조직적 다원 사회 = 467 3. 하부 문화 집단 다양성의 귀결 = 474 4. 정치적 활동가들의 신념 = 486 5. 외국의 영향과 통제 = 490 6. 세계의 민주주의 전망 = 492 제19장 소수 지배는 불가피한가? = 494 1. 소수 지배의 원인과 방법 = 499 2. 누가 누구를, 어떻게 , 왜 지배하는가? = 501 3. 비판 = 506 제20장 다원주의, 폴리아키, 공동선 = 523 1. 공동선의 이념 = 524 2. 예비적 논의 = 525 3. 규범적 이상으로서의 공동선 = 527 4.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공동선 = 535 5. 다원주의와 공동선 = 541 제21장 과정과 실질로서의 공동선 = 561 1. 잃어버린 전통으로의 복귀 = 561 2. 소규모 공동체로의 회귀 = 565 3. 경제 구조의 변화 = 568 4. 탐구의 포기 : 사회적, 문화적 상대주의 = 569 5. 실질과 과정으로서의 공동선 = 575 제6부 제3의 변환을 향하여 제22장 미래의 민주주의 = 581 1. 비민주적 국가에서 민주주의의 전망 = 584 2. 정치 생활의 규모 변화 = 592 제23장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스케치 = 599 1.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경제적 질서에 대한 고찰 = 602 2. 민주주의, 소수 지배, 현대의 수호자 = 617 부록 = 633 참고문헌 = 634 찾아보기 =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