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조석준 = 3
머리말 / 민진 = 4
제1장 정부조직론의 이론적 위상 / 김태수 = 21
Ⅰ. 서론 = 21
Ⅱ. 정부조직(구조)론의 조직이론적 위상 = 23
1. 보편조직이론으로서 정부조직론 = 23
2. 특수조직이론으로서 정부조직론 = 24
Ⅲ. 정부보조직론의 행정이론적 위상 = 27
1. 제도론적 정부조직론 = 27
2. 관료제도록적 정부조직론 = 27
3. 행정사적 정부조직론 = 28
4. 비교행정론적 정부조직론 = 28
Ⅳ. 정부조직론의 방법론적 위상 = 28
1. 정부조직론의 연구대상 = 28
2. 정부조직론의 연구방법 = 35
Ⅴ. 정부조직론의 당위론적 위상 = 38
1. 하위이론의 검토와 도입 = 38
2. 상위조직의 선행적 연구 = 39
3. 정부조직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 39
4. 저시적 시각의 도입 = 39
Ⅵ. 결론 = 40
제2장 중앙행정기구의 분화에 관한 연구 / 민진 = 44
Ⅰ. 서론 = 44
1. 연구의 목적 = 44
2. 연구의 방법 = 45
Ⅱ. 중앙행정기구의 분화에 관한 이론과 분석의 틀 = 46
1. 조직구조 분화에 관련된 이론 = 46
2. 중앙행정기구 분화를 분석하기 위한 틀 = 48
Ⅲ. 중앙행정기구의 분화 정도 : 총 부처수 = 49
1. 총 부처수 개관 = 49
2. 주요 변수별 총 부처수의 관계 = 49
Ⅳ. 중앙행정기구의 분화 내용 = 52
1. 행정기능의 확인과 분류 = 52
2. 중앙행정기구 분화와 행정기능의 연계 = 53
3. 주요 변수와 행정기능의 관계 = 55
Ⅴ. 결론 = 58
제3장 대통령실의 조직, 정책, 관리 기능 비교연구 / 최평길 ; 박석희 = 61
Ⅰ. 서론 = 61
Ⅱ. 대통령 조직관리 분석을 위한 방법과 분석틀 = 63
Ⅲ. 한국 대통령비서실의 과거, 현재, 미래 = 67
Ⅳ. 미국 대통령비서실의 과거, 현재, 미래 = 73
Ⅴ. 결론 = 84
제4장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신설, 폐지, 승계 / 김근세 ; 최도림 = 90
Ⅰ. 서론 = 90
Ⅱ. 정부조직 변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 91
1. 정부조직 변화에 관한 이론적 개관 = 91
2. 정부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및 가설 형성 = 94
Ⅲ. 연구설계 = 97
1. 연구모형 = 97
2. 변수의 측정 = 98
3.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 98
Ⅳ. 분석 결과 및 토론 = 99
1. 우리나라 정부조직 변화의 개관 = 99
2. 가설 1 : 정부조직의 승계와 폐지 = 101
3. 가설 2 : 정부조직의 행정환경에 대한 대응 = 103
4. 가설 3 : 조직유형별 변화 = 105
5. 가설 4 : 국가기구별 변화 = 106
Ⅴ. 결론 = 107
제5장 중앙정부조직 개편에 관한 연구 : 1994년 12월 중앙행정기구 개편사례를 중심으로 / 민진 = 111
Ⅰ. 서론 = 111
Ⅱ. 정부조직 개편이론과 분석의 틀 = 113
1. 정부보직 개편사례의 의미와 이에 적용할 이론 = 113
2. 행정개혁 과정의 단계 = 113
3. 행정개혁의 내용과 전략 = 114
4. 행정개혁의 참여자 = 115
Ⅲ. 정부조직 개편의 과정 = 115
1. 개혁의 인지 = 115
2. 개혁안의 입안 = 116
3. 개혁안의 법제화 = 117
4. 개혁의 실행 = 118
Ⅳ. 정부조직 개편사례의 분석 = 119
1. 행정개혁의 과정 분석 = 119
2. 개혁안의 내용과 전략의 분석 = 122
3. 행정조직 개편과저에서 주요 참여자 분석 = 124
Ⅴ. 결론 = 127
제6장 정부조직 개편과정에 관한 분석 : 경기도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상묵 ; 이성복 = 131
Ⅰ. 서론 = 131
Ⅱ. 조직 개편과정에 대한 분석틀 = 133
Ⅲ. 조직개편 과정 분석 = 134
1. 전반적 과정 = 134
2. 외부적 상황 = 135
3. 내부적 상황 = 137
4. 참여자의 목표 = 139
5. 개편과정 = 141
6. 개편 내용 = 145
7. 조직개편에 대한 평가 = 147
Ⅳ. 결론 = 149
제7장 조직경제학에 대한 전통적 조직이론의 비판적 논거 / 박우순 = 154
Ⅰ. 서론 = 154
Ⅱ. 조직이론가의 비판 = 156
1. 논쟁의 일반적 분위기 = 156
2. 온건한 비판 = 157
3. 극렬한 비판 = 160
Ⅲ. 조직경제학자의 반격 = 169
1. 온건한 비판에 대한 반응 = 169
2. 부정적인 비판에 대한 반응 = 174
Ⅳ. 결론 = 179
제8장 행정의 조직경제학적 접근 : 대리인 이론의 행정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 권순만 ; 김난도 = 183
Ⅰ. 대리인 이론 = 184
1. 위임자―대리인 관계의 본질 = 184
2. 비대칭적 정보 = 185
3. 불확실성과 위험 부담 = 188
4. 대리인 이론연구 = 189
Ⅱ. 대리인 이론의 행정학적 적용 = 191
1. 국민―국회―정부관료제 = 191
2. 정부관료제 내에서의 대리인 문제 = 196
3. 정부규제 및 공기업 관리에서의 대리인 문제 = 199
4. 기타 논점들 = 202
Ⅲ. 대리인 이론의 행정학적 함의 = 203
제9장 지방장치단체 환경행정조직의 개편 방안 / 이시경 = 210
Ⅰ. 서론 = 210
Ⅱ. 지방자치단체 환경해정조직의 구성방식과 개편 논의 = 211
1. 지방환경해정조직의 구성방식 = 211
2. 지방자지단체 환경행정조직 개편의 기준과 쟁점 = 213
Ⅲ.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조직의 분석 = 216
1.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조직 = 217
2. 환경행정 기구의 분석 = 217
3. 환경행정 기능의 분석 = 219
Ⅳ.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조직의 개편 방안 = 223
1. 환경행정조직 개편의 기본 방향 = 223
2. 환경행정 기구의 개편 방안 = 223
3. 환경해정 기능의 조정 방향 = 225
Ⅴ. 결론 = 228
제10장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자율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임도빈 = 231
Ⅰ. 문제 제기 = 231
Ⅱ. 피상적 농논의 = 233
1. 내무부의 자치단체 통제전략 변화 = 233
2. 조직 감량의 당위성과 내무부 전략의 비판 = 235
3. 단체장의 조직개편 전략 : 재량권과 그 현실 = 239
Ⅲ. 실질적 논의 : 왜 근본적인 조직개편을 못하는가? = 243
1. 관료제와 승진 = 244
2. 일반행정직의 저항 = 245
Ⅳ. 결론 : 조직자율권 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246
제11장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효과성 평가 / 이차원 ; 최창현 ; 권해수 = 251
Ⅰ. 서론 = 251
Ⅱ. 이론적 배경 = 253
1. 경쟁적 가치 접근법 = 253
2. 경쟁적 가치 접근법을 근거로 한 평가모형의 정립 = 256
Ⅲ. 연구방법 = 260
1. 기존조직효과성 평가모형의 현황 및 문제점 = 260
2. 지방자치단체 조직효과성 평가모형의 특성 = 261
3. 전문가 의견조사의 대상 및 평가모형의 구조 = 261
Ⅳ. 연구결과 = 262
1. 연구 결과의 신뢰성 = 262
2. 평가 영역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 = 264
3. 평가 항목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 = 265
4. 평가요소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복합 가중치) = 267
Ⅴ. 결론 = 269
제12장 행정조직의 레드테이프 : 민간조직과의 비교 / 김병섭 = 272
Ⅰ. 서론 = 272
Ⅱ. 문헌연구 및 연구문제의 정립 = 273
1. 레드테이프의 정의 = 273
2. 레드테이프의 기능 = 274
3. 레드테이프의 정도 : 공사조직 비교 = 277
4. 레드테이프의 영향 요인 = 278
5. 가설 구성 = 282
Ⅲ. 조사설계 및 분석 = 283
1. 조사대상 = 283
2. 변수의 조작화 = 284
3. 분석 결과 = 285
Ⅳ. 결론 = 289
(부록) 척도 = 293
제13장 가상조직의 등장과 조직연구에의 이론적·실천적 함의 / 김난도 = 295
Ⅰ. 서론 = 295
Ⅱ. 가상조직의 개념 = 296
1. 가상공간 = 297
2. 인지적 조직 = 298
Ⅲ. 가상조직의 이론 = 300
1. 가상조직의 이론적 이슈들 = 300
2. 메타포로서의 기상조직 = 305
Ⅳ. 가상조직의 실제 = 308
1. 가상조직의 증가와 그 효용 = 308
2. 가상화의 조건 = 310
3. 가상조직의 미래 = 311
Ⅴ. 결론 = 312
제14장 가상조직 : 조직모형에 대한 새로운 접근 / 권기성 ; 최진석 = 316
Ⅰ. 서론 : 조직모형의 보편성 논리와 한계 = 316
Ⅱ. 가상조직이란 무엇인가? = 318
1. 사이버 공간상의 전자공동체로서 가상조직 = 319
2. 조직의 지각적 영역으로서 가상조직 = 321
3. 전자적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가상조직 = 322
Ⅲ. 가상조직의 조직모형 정체성은 존재하는가? = 323
Ⅳ. 결론 = 330
제15장 준정부조직의 성장 원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 / 임학순 = 334
Ⅰ. 서론 = 334
Ⅱ. 준정부조직의 개념 정의와 유형 = 335
1. 개념 규정 논의 = 335
2. 준정부조직의 개념과 유형 = 337
Ⅲ. 준정부조직의 성장원인론 = 339
1. 효율적인 행정수단으로서의 준정부조직 특성 = 340
2. 정부관료제의 이해 = 342
Ⅳ. 결론 : 논의의 종합 = 344
저자 약력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