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제인권법

국제인권법 (1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찬운
서명 / 저자사항
국제인권법 / 박찬운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울아카데미 ,   1999.  
형태사항
455 p. : 연보 ; 26 cm.
ISBN
8946026677
일반주기
부록: 국제인권법 자료목록, 국제인권연표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000 00723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50177
005 20100806090244
007 ta
008 991109s1999 ulkj 000a kor
020 ▼a 8946026677 ▼g 94360 : ▼c \3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9094 ▼l 111139095 ▼l 111139096 ▼l 111172708 ▼l 111233280 ▼f 법학
082 0 4 ▼a 341.481 ▼2 21
090 ▼a 341.481 ▼b 1999a
100 1 ▼a 박찬운 ▼0 AUTH(211009)107700
245 1 0 ▼a 국제인권법 / ▼d 박찬운 지음.
246 0 1 ▼a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260 ▼a 서울 : ▼b 한울아카데미 , ▼c 1999.
300 ▼a 455 p. : ▼b 연보 ; ▼c 26 cm.
500 ▼a 부록: 국제인권법 자료목록, 국제인권연표
504 ▼a 서지적 각주 수록
950 0 ▼b \30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481 1999a 등록번호 1111390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481 1999a 등록번호 1111390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481 1999a 등록번호 111172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찬운(지은이)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20대에 법률가가 되었다. 지난 30년 이상 변호사, 인권행정가, 교수(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 살면서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을 위해 노력했다. 2020년 1월 임기 3년의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에 임명되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삶이 곧 배움이란 자세로 미국·일본·유럽을 오가며 전공인 인권법을 연구했고, 법률가의 좁은 시야를 극복하기 위해 여행과 독서를 생활화해왔다. 1999년 이래 『국제인권법』, 『인권법』, 『보편적 관할권과 국제범죄』(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 10여 권의 전공서를 냈고, 2010년 이후부터는 그간의 여행과 독서를 정리해 『책으로 세상을 말하다』(2011), 『문명과의 대화』(2013), 『로마 문명 한국에 오다』(2014), 『빈센트 반 고흐, 새벽을 깨우다』(2015), 『경계인을 넘어서』(2016), 『자유란 무엇인가』(2016) 등의 교양서를 꾸준히 집필해오고 있다. 『궁극의 독서』는 저자의 일곱 번째 교양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국제인권법의 기본문제

 제1장 국제인권법의 효용성 : 국제인권법은 과연 배울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 17

 제2장 국제인권법의 연원 = 21

 제3장 국제인권법의 법원 = 24

 제4장 국제인권조약의 몇 가지 이슈 = 29

  Ⅰ. Treaty Reservations(조약 유보) = 29

  Ⅱ. 인권조약의 직접적용성, 자기집행성 그리고 국내법과의 관계 = 33

   1. 직접적용성과 자기집행성 = 33

   2. 인권조약과 국내법의 관계 = 34

    (1) Treaty as part of a Member State's constitution(회원국 헌법의 일부로서의 조약) = 35

    (2) Treaty as superior to statutory law(회원국 법령에는 우위이나 헌법에는 후위인 조약) = 35

    (3) Treaty as having the rank of statutory law(국내법률과 같은 지위의 조약) = 35

   사례 연구(1) ICCPR, Art.9(3)과 한국의 영장실질심사제도 = 36

 제5장 인권의 보편성과 상대성 = 39

  Ⅰ. 주제와 관련된 몇 가지 사례 = 39

   참고자료(1) 미국 소년의 싱가포르에서의 수난 = 40

   참고자료(2) 이슬람 여성들의 인권 = 42

   참고자료(3) Female Genital Mutilation(여성 할례) = 44

   참고자료(4) 중국 정부의 인권에 관한 입장 = 46

  Ⅱ.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논쟁 = 49

  Ⅲ. 보편주의와 상대주의 논쟁의 한 단면 = 50

 제6장 경제적·사회적 권리 = 53

  Ⅰ. 경제적·사회적 권리의 역사적 배경 = 54

  Ⅱ. ICESCR의 성격에 관한 고찰 : 시민적·정치적 권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57

   1. 시민적·정치적 권리와의 구별 논쟁 = 57

   2. ICESCR에 관한 내용 검토 = 60

  Ⅲ. 경제적·사회적 권리에 관한 새로운 도전 = 62

제2부 국제인권 실시를 위한 시스템

 제1장 헌장에 기초한 UN의 국제인권 메커니즘 = 67

  Ⅰ. 내정불간섭의 원칙과 UN의 인권 메커니즘 = 67

  Ⅱ. 인권과 관련된 UN 조직의 일반적 이해 = 70

   1. General Assembly(총회, GA) = 70

   2. Economic and Social Council(경제사회이사회, ECOSOC) = 73

   3.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여성지위위원회) = 74

   4.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인권고등판무관)와 Center for Human Rights(인권센터) = 75

  Ⅲ. Commission on Human Rights(인권위원회)와 그 Sub-Commission(소위원회)을 중심으로 하는 UN의 인권 메커니즘 = 76

   1. 개관 = 76

   2. 인권침해 사건을 다루는 절차와 방법 = 77

    (1) 1235 절차에 의한 공개토론 = 78

   참고자료 (5) ECOSOC Resolution 1235 (XLII) (1967) = 79

    (2) 1503 절차에 의한 비공개조사 = 80

   참고자료 (6) ECOSOC Resolution 1503 (XLVIII) (1970) = 85

   참고자료 (7) Sub-Commission Resolution 1 (XXIV) (1971) = 86

    (3) Thematic Mechanism(주제별 인권장치) = 88

 제2장 조약에 기초한 UN의 인권실시 시스템 = 92

  Ⅰ. ICCPR Committee(자유권규약위원회)의 일반적인 메커니즘 = 93

  Ⅱ. State Reporting(국가보고제도) = 96

   사례연구 (2) Human Rights Committee Forth - fifth session Summary Record of the 1154th Meeting = 99

   사례연구 (3)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0 of the Covenant = 104

  Ⅲ. General Comments(일반의견) = 106

  Ⅳ. Individual Communications(개인통보제도) = 107

   1. 일반적 이해 = 107

   2. 개인통보제도의 이용과 구체적 메커니즘 = 109

    (1) 제소권자 = 109

    (2) 이 절차의 대상국가 = 109

    (3) Communication(통보)의 적격성 = 110

    (4) 절차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114

    (5) Means of Investigation(사실조사방법) = 114

    (6) 결정과 집행 = 116

    (7) 1503 절차와의 차이 = 117

   참고자료 (8) Model Communication = 118

   사례연구 (4) 손종규 결정문 = 121

   사례연구 (5) Annual Report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 : 13/04/97. A/51/40. (Sessional / Annual Report of Committee) = 130

   사례연구 (6) 상반되는 한국 법원의 태도 = 131

 제3장 인권보장을 위한 지역적 시스템 = 135

  Ⅰ. 유럽의 인권 시스템 = 136

   1. 기초적 인식 = 136

   2. European Convention(유럽인권협약)의 역사적 배경 = 136

   3. 유럽의 인권장치와 관련된 주요 기구 = 137

    (1) The Council of Europe(유럽이사회) = 138

    (2) The European Union(유럽연합) = 139

    (3) The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국가안보협력기구, OSCE) = 140

   4. European Convention(유럽인권협약)의 실시 메커니즘 : 개인통보제도를 중심으로 = 142

    (1) European Convention(유럽인권협약)에서 보호하는 권리 = 142

    (2) Art.25의 개인통보제도 = 144

  Ⅱ. 미주 인권보장 메커니즘 = 149

   1. 미주 인권보장 메커니즘의 이해를 위한 배경적 지식 = 149

   2. 미주 인권기구의 내용 = 151

   3. American Convention(미주인권협약)의 내용과 특징 = 152

   4. American Convention(미주인권협약)의 인권보장 메커니즘 = 153

  Ⅲ. 아프리카의 인권장치 = 156

   1. 서설 = 156

   2.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아프리카공동체)에 대한 이해 = 157

   3. African Charter(아프리카인권헌장)상의 권리와 의무 : 다른 인권장치와의 비교 = 157

    (1) 권리 = 158

    (2) 의무 = 159

   4. African Charter(아프리카인권헌장)의 실시조치 : African Commission(아프리카인권위원회)의 기능과 역할 = 159

    (1) 서설 = 159

    (2) 개인통보제도 = 160

 제4장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비정부기구)의 역할 = 162

  Ⅰ. 서설 = 162

  Ⅱ. NGO의 조직과 활동 = 163

   1. 조직 = 163

   2. 활동 = 164

    (1) 정보수집활동 = 164

    (2) 자료출판활동 = 165

    (3) 인권기구에의 제소단체로서의 활동 및 입법절차에서의 활동 = 166

    (4) 압력단체로서의 활동 = 166

    (5) 인권침해의 예방활동 = 166

  Ⅲ. 사례연구 = 167

   참고자료 (9) Statute of Amnesty International = 167

  Ⅳ. NGO의 UN에서의 지위와 과제 = 169

   1. 서설 = 169

   2. UN에서의 협의자격을 얻기 위한 조건 = 170

   3. 문제점과 과제 = 172

 제5장 국가인권기구 = 175

  Ⅰ. 서설 = 175

  Ⅱ. UN을 중심으로 한 국가인권기구의 연혁 = 176

   1. 초기의 ECOSOC에서의 국가인권기구의 논의 = 176

   2. 국가인권기구의 기준과 목표의 설정 = 176

   3. 1991년의 Paris Principles(파리원칙) = 178

   4. 1993년의 비엔나세계인권회의 = 179

  Ⅲ. 국가인권기구의 형태 : 국가인권위원회와 옴부즈맨 = 180

   1. 서설 = 180

   2. 인권위원회 = 182

   3. 옴부즈맨 = 183

  Ⅳ. 효과적인 국가인권기구를 위한 요소 = 184

   1. 독립성 = 185

    (1) 법적·업무적 독립성 = 185

    (2) 재정의 독립 = 186

    (3) 신분의 독립 = 186

    (4) 구성상의 독립 = 187

   2. 명확한 관할과 적절한 권한 = 187

   3. 접근성 = 188

   4. 다른 기관과의 협력 = 189

   5. 업무의 효율성 = 190

   6. 책임성 = 191

  Ⅴ. 국가인권기구의 주요 기능 = 192

   1. 인권의식의 고양과 인권교육기능 = 192

   2. 정부에 대한 인권관련 권고기능 = 194

   3. 인권침해 사건의 조사기능 = 195

  Ⅵ. 몇 가지 토론주제 = 198

   참고자료 (10) Principles relating to the Status of National Instituitions = 199

   참고자료 (11) 호주의 국가인권위원회 = 202

제3부 국제인권법의 최근 이슈

 제1장 국제범죄와 보편적 관할 = 215

  Ⅰ. 몇 가지 사례를 통한 기초적 이해 = 215

  Ⅱ. 국제범죄와 보편적 관할 = 217

   1. 국제범죄의 개념 = 217

    (1) 국제범죄의 속성 = 217

    (2) 국제범죄에 해당하는 행위 = 219

    (3) 국제범죄의 부정 = 221

   2. Universal Jurisdiction(보편적 관할) = 222

    (1) 관할의 일반원칙 = 222

    (2) Universal Jurisdiction(보편적 관할)의 개념 = 224

    (3) Universal Jurisdiction(보편적 관할)을 허용하는 입법례 = 229

    (4) 한국의 범죄관할에 관한 원칙 = 231

   사례연구 (7) 한국의 노예제에 대한 국제형사법적인 비판 = 231

 제2장 국제형사재판 = 234

  Ⅰ. 국제상설형사재판소와 국제인권 = 235

   1. 몇 가지 주제 = 235

   2. 왜 국제사회는 PICC를 요구하는가? = 237

    (1) PICC는 불처벌의 전철을 막기 위해 설치되어야 한다. = 237

    (2) PICC는 피해자들의 구제를 위하여 필요하다. = 237

    (3) PICC는 국내적 사법체계가 파괴되었을 때 이를 보충한다. = 238

    (4) PICC는 Universal Jurisdiction(보편적 관할)에 속하는 범죄의 처벌을 쉽게 한다. = 238

    (5) PICC는 ad boc tribunal(임시재판소)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 238

    (6) 마지막으로 PICC는 국제적 차원과 국내적 차원에서 모델적 사법체계를 구현할 수 있다. = 239

   3. PICC의 역사적 배경 = 239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논의 = 239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변화 = 241

    (3) 두 개의 ad boc tribunal(임시재판소)의 설립 = 242

    (4) 1994년 ILC의 Draft Statute(국제형사재판소법초안) = 243

    (5) 최근의 동향 = 244

   4. ILC Draft Statute(국제형사재판소법초안)와 Rome Statute(로마법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44

    (1) 쟁점판단을 위한 고려사항 = 244

    (2) 어떤 절차로 PICC를 만들 것인가? = 246

    (3) Jurisdiction(관할) = 248

    (4) Trigger Mechanism(사건개시 메커니즘) = 256

   5. 결론 = 259

    (1) PICC 설치와 국제정치적 고려 = 259

    (2) PICC의 subject matter jurisdiction(사물관할) = 260

    (3) PICC의 관할권 행사와 관련국의 동의 = 260

    (4) 국내형사사법절차와 PICC의 관계 = 260

    (5) PICC의 독립성 = 260

    (6) PICC 절차가 국내사법절차에 미치는 영향 = 260

   참고자료 (12) Draft Statute for an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261

   참고자료 (13)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266

  Ⅱ. ICTY의 설치와 그 메커니즘 = 283

   1. 역사 = 283

   2. ICTY의 설치과정상에서의 이슈와 그 메커니즘 = 284

    (1) ICTY의 설치근거 = 284

    (2) ICTY의 권한 = 286

    (3) ICTY의 수사 및 재판절차 = 287

 제3장 발전권 = 291

  Ⅰ. 새로운 개념의 권리의 등장 = 291

  Ⅱ. 발전권의 내용 = 293

   1. 발전권은 개인의 권리인가 아니면 집단의 권리인가? = 293

   2. 발전권은 특정 국가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293

   3. 발전권은 개별 국가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294

   4. 발전권은 모든 국가의 협조의무에서 이루어진다. = 294

   참고자료 (14) Declaration on the Right to Development = 295

   참고자료 (15) 발전의 권리와 개발 = 299

제4부 자료편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 305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315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 321

 Protocols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 334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 337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 345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 = 355

 Protocols to the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 366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 370

 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 385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Treaty = 393

 Human Rights Committee, General Comment 24 (52) = 396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ral Comment 3 = 405

찾아보기 = 411

부록Ⅰ: 국제인권법 자료목록 = 425

부록Ⅱ: 국제인권연표 = 44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