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관찰 및 평가의 실제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관찰 및 평가의 실제 (2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남련
서명 / 저자사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관찰 및 평가의 실제 / 전남련 著.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   1999.  
형태사항
297 p. : 삽도 ; 26 cm.
ISBN
8942601332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07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50115
005 20100806090104
007 ta
008 991109s1999 ulka 000a kor
020 ▼a 8942601332 ▼g 9337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6455 ▼l 111136456
082 0 4 ▼a 372.21 ▼2 21
090 ▼a 372.21 ▼b 1999d
100 1 ▼a 전남련 ▼0 AUTH(211009)124650
245 2 0 ▼a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관찰 및 평가의 실제 / ▼d 전남련 著.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1999.
300 ▼a 297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950 0 ▼b \12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1999d 등록번호 1111364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1999d 등록번호 1111364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남련(지은이)

유아교육학 및 사회복지학계와 현장에서 탁월한 성과들을 내어 온 전남련 교수는 뜨거운 기도와 응답의 공간 속을 걸어온 분이기도 하다. 명성교회 집사로서 지금도 하루 두 시간 기도를 실천하고 있다. 위기의 시대를 극복할 길이 기도의 회복에 있음을 깨닫고 기도의 노하우를 나누는 장을 펼쳐가고 있다. [학력 및 경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석사) 평택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박사) 7감각 글로벌 영유아학교 통합프로그램 창시자 감각 글로벌 영유아학회 회장 남서울 대학교 아동복지융합학과 초빙교수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프로젝트 강사 프로젝트 1·2급 자격과정 지도교수 [주요저서] 창의성을 키우면 누구나 영재다 ( 생명의 말씀사), 멘토는 길을 알고있다 (양서원),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2014, 공저, 양서원), ProjectBased Learning 국가수준 교육과정 통합 프로젝트 만2~5세 40권전집(2017, 공저), 누리과정 통합 Project Based Learning(2017,공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의한 PBL 주제중심 통합교육 활동자료 만3~4세 20권 전집(2020, 공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의한유아·놀이중심 통합 Project&Play 만5세 10권 전집(2020, 공저)외 70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관찰법(Observation)

 1. 관찰의 정의 = 13

 2. 관찰의 의의 및 목적 = 15

 3. 관찰의 종류 = 17

  (1) 자연적 관찰 = 17

  (2) 통제된 관찰 = 17

  (3) 참여 관찰 = 17

  (4) 비참여 관찰 = 18

 4. 관찰의 일반적 절차 = 19

 5. 관찰 연구의 유형 = 21

  (1) 일화기록 = 21

  (2) 표본식 기술 = 21

  (3) 시간표집법 = 22

  (4) 사건표집법 = 22

  (5) 평정척도법 = 23

  (6) 행동목록법 = 24

 6. 관찰의 오류 = 25

제2장 일화기록(Anecdotal Records)

 1. 일화기록의 정의 = 29

 2. 일화기록의 특징 = 30

 3. 일화기록 관찰 양식의 작성 요령 = 32

 4. 일화기록의 장점과 단점 = 34

 5. 일화기록의 관찰 양식 = 35

 6. 일화기록 관찰의 실제 = 36

 7. 일화기록을 위한 관찰의 발달별 범주 = 41

  (1) 신체 발달 = 41

  (2) 언어 발달 = 43

  (3) 인지 발달 = 44

  (4) 사회성 발달 = 46

  (5) 정서 발달 = 46

  (6) 친사회적 행동 발달 = 47

제3장 표본식 기술(Specimen Description)

 1. 표본식 기술의 정의 = 51

 2. 표본식 기술의 특징과 목적 = 52

 3. 표본식 기술 관찰 양식의 작성 요령 = 53

 4. 표본식 기술의 장점과 단점 = 55

 5. 표본식 기술의 관찰 양식 = 56

 6. 표본식 기술의 실제 = 57

제4장 시간표집법(Time Sampling Method)

 1. 시간표집법의 정의 = 63

 2. 시간표집법의 절차 = 65

 3. 시간표집법의 지침 = 67

 4. 시간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 68

 5. 시간표집법의 관찰 양식 = 70

  (1) 적목놀이의 발달 단계 시간표집법 = 70

  (2) 사회적 놀이 = 74

  (3) 인지적 놀이 = 78

  (4) 사회·인지적 놀이 = 84

  (5) 시간표집법을 이용한 자유놀이 관찰지 = 89

  (6) 시간표집법을 이용한 놀이 활동 참여 관찰지 = 90

 6. 시간표집법의 실제 = 91

  (1) 적목놀이의 발달 단계 관찰 기록의 실제 = 91

  (2)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 관찰 기록의 실제 = 95

  (3) 인지적 놀이의 발달 단계 관찰 기록의 실제 = 99

  (4) 사회ㆍ인지적 놀이의 발달 단계 관찰 기록의 실제 = 103

제5장 사건표집법(Event Sampling Method)

 1. 사건표집법의 정의 = 109

 2. 사건표집법을 위한 지침 = 110

 3. 사건표집법의 종류 = 111

  (1) ABC 서술식 사건표집법 = 111

  (2) 빈도 사건표집법 = 112

 4. 사건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 113

  (1) 서술식 사건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 113

  (2) 빈도 사건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 114

 5. 사건표집법의 관찰 양식 = 115

  (1) 서술식 사건표집법 관찰지 = 115

  (2) 빈도 사건표집법 관찰지 = 116

 6. 사건표집법의 실제 = 117

  (1) 서술식 사건표집법의 실제 = 117

  (2) 빈도 사건표집법의 실제 = 121

제6장 평정척도법(Rating Scale Method)

 1. 평정척도법의 정의 = 127

 2. 평정척도법의 종류 = 128

  (1) 기술 평정척도 = 128

  (2) 숫자 평정척도 = 129

  (3) 도식 평정척도 = 130

  (4) 표준 평정척도 = 131

 3. 평정척도법을 위한 지침 = 132

 4. 평정척도법의 장점과 단점 = 133

 5. 평정자의 오류 = 134

 6. 평정척도법의 관찰 양식 = 135

  (1) 기술 평정척도의 관찰 양식 = 135

  (2) 숫자 평정척도의 관찰 양식 = 144

  (3) 도식 평정척도의 관찰 양식 = 151

  (4) 표준 평정척도의 관찰 양식 = 158

 7. 평정척도법의 실제 = 160

제7장 행동목록법(Check List)

 1. 행동목록법의 정의 = 187

 2. 행동목록법 작성을 위한 지침 = 188

 3. 행동목록법의 장점과 단점 = 189

 4. 행동목록법의 관찰 양식 = 190

  (1) 언어 발달 체크리스트 = 190

  (2) 인지 발달 체크리스트 = 193

  (3) 신체 발달 체크리스트 = 196

  (4) 사회성 발달 체크리스트 = 197

  (5) 정서 발달 체크리스트 = 198

 5. 행동목록법의 실제 = 199

  (1) 언어 발달 체크리스트 = 199

  (2) 인지 발달 체크리스트 = 202

  (3) 신체 발달 체크리스트 = 205

  (4) 사회성 발달 체크리스트 = 206

  (5) 정서 발달 체크리스트 = 210

 6. 연령별 유아의 발달 과업 = 214

  (1) 3세 유아의 발달 과업 = 214

  (2) 4세 유아의 발달 과업 = 216

  (3) 5세 유아의 발달 과업 = 218

  (4) 6세 유아의 발달 과업 = 220

제8장 면담(Interview)

 1. 면담의 정의 = 225

 2. 면담의 형태 = 226

 3. 면담의 절차 = 227

  (1) 사전 준비 = 227

  (2) 면담 자료 준비 = 227

  (3) 면담 시간과 장소 정하기 = 228

  (4) 면담 장소 준비 = 228

  (5) 면담하기 = 231

 4. 면담의 진행 = 232

 5. 면담법의 장점과 단점 = 234

 6. 학부모 면담 평가 = 236

 7. 면담의 실제 = 237

제9장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

 1. 질문지법의 정의 = 241

 2. 질문지의 작성 = 242

  (1) 문장의 작성 = 242

  (2) 문항의 수와 배열 = 244

  (3) 질문지의 체제 구성 = 245

 3. 질문지의 유형 = 246

  (1) 개방식 질문 = 246

  (2) 찬부 형식 = 247

  (3) 선다 형식 = 247

  (4) 평정척도 형식 = 248

  (5) 순위 형식 = 249

 4. 질문지의 수집 방법 = 251

 5. 질문지의 장점과 단점 = 253

 6. 질문지의 양식 = 255

  (1) 개방식 질문지 = 255

  (2) 찬부 질문지 = 256

  (3) 선다 질문지 = 257

  (4) 평정척도 질문지 = 258

  (5) 순위형 질문지 = 260

 7. 질문지의 실제 = 262

  (1) 개방식 질문지 = 262

  (2) 찬부형 질문지 = 263

  (3) 선다형 질문지 = 264

  (4) 평정척도 질문지 = 265

  (5) 순위형 질문지 = 266

제10장 보존 개념(Concept of Conservation)

 1. 보존 개념의 정의 = 271

  (1) 보존 개념 형성의 세 가지 원리 = 271

  (2) Piaget 이론 검토 = 272

 2.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 273

 3. 감각 운동 발달 1단계∼6단계 = 275

 4. 대상 영속성 개념 1단계∼6단계 = 279

 5. 전 조작기 유아의 인지적 사고의 특징 = 282

  (1) 상징적 사고 = 282

  (2) 직관적 사고 = 282

 6. 보존 개념 실험의 예 = 284

 7. 보존 개념 실험 양식지 = 286

 8. 보존 개념 실험의 실제 = 288

참고 문헌 = 29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