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4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一然, 1206-1289 리상호, 역 강운구 姜運求, 사진
서명 / 저자사항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 일연 ; 리상호 옮김 ; 강운구 사진
발행사항
서울 :   까치,   1999   (2004)  
형태사항
464 p. : 천연색삽화, 연표 ; 23 cm
총서사항
까치글방 ;156
원표제
三國遺史
ISBN
8972912255
일반주기
교열: 조운찬  
000 00833namcc2200277 c 4500
001 000000650035
005 20141030175807
007 ta
008 991108s1999 ulkaj 000c kor
020 ▼a 8972912255 ▼g 039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8696 ▼l 111138697 ▼l 111138698
082 0 4 ▼a 951.901 ▼2 23
085 ▼a 953.03 ▼2 DDCK
090 ▼a 953.03 ▼b 1999c
100 0 ▼a 一然, ▼d 1206-1289 ▼0 AUTH(211009)41254
245 2 0 ▼a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 ▼d 일연 ; ▼e 리상호 옮김 ; ▼e 강운구 사진
246 0 9 ▼a 三國遺史
260 ▼a 서울 : ▼b 까치, ▼c 1999 ▼g (2004)
300 ▼a 464 p. : ▼b 천연색삽화, 연표 ; ▼c 23 cm
440 0 0 ▼a 까치글방 ; ▼v 156
500 ▼a 교열: 조운찬
700 1 ▼a 리상호, ▼e▼0 AUTH(211009)67907
700 1 ▼a 강운구 ▼g 姜運求, ▼e 사진 ▼0 AUTH(211009)90564
900 1 0 ▼a 이상호,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1386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3320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4511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92052094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5210028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1386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691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691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708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708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1386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3320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4511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92052094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5210028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111386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691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691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708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953.03 1999c 등록번호 1510708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북한 학자의 삼국유사 역주본을 남한의 학자가 교열하고, 여기에 강운구의 사진을 곁들여 삼국유사의 이야기들을 현장과 함께 읽을 수 있게 했다. 이 역주본은 우리말을 잘 다듬은 덕택에 남한의 삼국유사 번역본에 비해 잘 읽힌다.

이 책의 가치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현장을 일급 사진작가가 100여장의 사진에 담아냈다는 데 있다. 본문과 사진을 함께 보는 것만으로도 '삼국유사 유적답사'가 가능하도록 꾸민 것이다. 사진작가 강운구씨가 지난 5년 동안 삼국유사 기록의 현장을 샅샅이 누비며 촬영한 사진들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일연(지은이)

고려 후기의 승려.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경북 경산(당시 경주의 속현이었던 장산군)에서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 출가하여 9세에 무량사에서 머리를 깎고 승려의 길로 들어섰다. 14세에 설악산 진전사에서 정식으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227년 22세에 승과에 뽑히고 그 후부터 여러 사찰을 돌며 선관(禪觀)을 탐구했다. 41세에 선사, 54세에 대선사가 되었다. 몽고의 침입이 계속되는 동안 남쪽의 포산, 남해 등지에서 수행에 전념하다 56세에 원종의 부름을 받고 강화도로 가서 선월사 주지로 있으면서 설법하며 지눌(知訥)의 법통을 이었다. 63세에 왕명으로 선종과 교종의 고승 100명을 모아 개경에서 대장경 낙성회향법회를 강론하여 선교의 맹주가 되었다. 72세에는 충렬왕의 명을 받아 청도 운문사의 주지가 되어 왕에게 법설을 강론했다. 1283년 국존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圓經沖照)라는 호를 받았다. 말년에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가 경북 군위의 인각사를 중축하여 그곳에 머무르며 《삼국유사》를 집필했다. 84세인 1289년에 인각사에서 입적했다. 저서로는 《삼국유사》 외에 《어록》《게송잡저》 《조정사원》 등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이 있다.

리상호(옮긴이)

리상호는 북한의 조선 과학원 고전 연구실에 있으면서 《열하일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여러 고전 작품들을 국역했다. 리상호는 고전을 쉬운 우리 말로 번역하되 토박이말을 잘 살려 쓰고 운율감이 배어 있게 하여, 《열하일기》가 빼어난 국역 문학으로 새로 태어나게 하였다.

강운구(사진)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왔으며, 외국 사진 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학고재), 「모든 앙금」(1997, 학고재), 「마을 삼부작」(2001, 금호미술관), 「저녁에」(2008, 한미사진미술관), 「오래된 풍경」(2011, 고은사진미술관) 등의 개인전을 했으며 여러 그룹전에 참여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광장, 1978), 『경주남산』(열화당, 1987), 『우연 또는 필연』(열화당, 1994), 『모든 앙금』(학고재, 1997), 『마을 삼부작』(열화당, 2001), 『강운구』(열화당, 2004), 『저녁에』(열화당, 2008), 『오래된 풍경』(열화당, 2011)이 있다. 저서로 『강운구 사진론』(열화당, 2010)이,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문학동네, 2004), 『자연기행』(까치글방, 2008)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까치글방, 1999), 『능으로 가는 길』(창비, 2000), 『한국악기』(열화당, 2001) 등이 있다.

조운찬()

대학에서 한국사를, 대학원에서 한문학을 공부했다. 경향신문사에 입사해 사회부·문화부·국제부 등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베이징특파원과 문화부장, 문화에디터, 후마니타스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논설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수료했으며 틈틈이 한국과 중국의 오래된 글을 읽어왔다. 옛글을 인문학과 연계시켜 글을 쓰고 삶의 지혜를 찾는 일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문집탐독』, 번역서로는 『대동소학』(공역)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감사의 말 = 3

일러두기 = 12

해제 = 13

권 제1

 왕력(王曆) 제1 = 27

 기이(紀異) 제2 = 50

  머리말 = 50

  고조선 = 51

  위만조선 = 53

  마한 = 55

  2부 = 56

  78국 = 57

  낙랑국 = 57

  북대방 = 58

  남대방 = 58

  말갈과 발해 = 58

  이서국 = 60

  5가야 = 61

  북부여 = 61

  동부여 = 62

  고구려 = 62

  변한과 백제 = 64

  진한 = 65

  사철 놀이택 = 66

  신라 시조 혁거세왕 = 66

  제2대 남해왕 = 73

  제3대 노례왕 = 77

  제4대 탈해왕 = 77

  김알지 = 85

  연오랑과 세오녀 = 88

  미추왕과 댓잎 군사 = 89

  내물왕과 김제상 = 95

  제18대 실성왕 = 102

  거문고집을 쏘다 = 102

  지철로왕 = 103

  진흥왕 = 106

  도화녀와 비형랑 = 107

  하늘이 준 옥대 = 110

  선덕여왕이 세 가지 일을 미리 알다 = 112

  진덕여왕 = 116

  김유신 = 121

  태종 춘추공 = 124

  장춘랑과 파랑 = 142

권 제2

 문무왕 법민 = 147

 거센 물결을 잠재우는 잣대 = 154

 효소왕 시대의 죽지랑 = 157

 성덕왕 = 161

 수로부인 = 161

 효성왕 = 162

 경덕왕, 충담 스님, 표훈 스님 = 163

 혜공왕 = 168

 원성대왕 = 169

 이른 눈 = 174

 흥덕왕과 앵무새 = 174

 신무대왕, 염장, 궁파 = 175

 제48대 경문대왕 = 176

 처용랑과 망해사 = 179

 진성여대왕과 거타지 = 182

 효공왕 = 185

 경명왕 = 185

 경애왕 = 185

 김부대왕 = 186

 남부여, 전백제, 북부여 = 194

 무왕 = 199

 후백제와 견훤 = 203

 가락국기 = 218

권 제3

 흥법(興法) 제3 = 243

  순도가 고구려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다 = 243

  난타가 백제의 불교를 개척하다 = 244

  아도가 신라 불교의 기초를 닦다 = 245

  원종이 불교를 진흥시키고 염촉이 몸을 희생하다 = 254

  법왕이 살생을 금하다 = 261

  보장왕이 도교를 신봉하자 보덕이 절을 옮기다 = 262

  동경 흥륜사 금당의 열 분 성인 = 266

 탑과 불상 제4 = 267

  가섭불의 연좌석 = 267

  요동성의 육왕탑 = 269

  금관성의 파사 석탑 = 271

  고구려의 영탑사 = 273

  황룡사의 장륙 부처 = 274

  황룡사의 구층탑 = 276

  황룡사의 종, 분황사의 약사 부처, 봉덕사의 종 = 279

  영묘사의 장륙 부처 = 280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 = 280

  생의사의 돌미륵 = 285

  홍륜사 벽에 그린 보현보살 = 285

  삼소 관음과 중생사 = 286

  백률사 = 289

  민장사 = 291

  앞뒤에 가지고 온 사리 = 292

  미륵신화, 미시랑, 진자사 =  300

  남백월의 두 성인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 303

  분황사의 천수보살과 눈을 뜨게 된 맹아 = 310

  낙산의 두 성인 관음, 정취와 조신 = 311

  어산의 부처 그림자 = 319

  오대산의 5만 부처의 산 형체 = 325

  명주 오대산의 보질도 태자 전기 = 333

  오대산 월정사와 오류 성중 = 336

  남월산 = 337

  천룡사 = 339

  무장사의 미타전 = 341

  백엄사 석탑의 사리 = 342

  영취사 = 344

  유덕사 = 344

  오대산 문수사의 석탑기 = 345

권 제4

 의해(義解) 제5 = 349

  원광의 서방 유학 = 349

  보양과 배나무 =  358

  양지가 지팡이를 부리다 = 361

  천축에 갔던 여러 스님들 = 363

  혜숙과 혜공이 속세에 들어가 민중을 교화하다 = 364

  자장이 계율을 정하다 = 368

  원효의 대담성 = 375

  의상의 불교 전도 = 380

  말 않는 사복 = 383

  진표가 패쪽을 전하다 = 385

  관동 풍악 발연수 돌에 새긴 기록 = 390

  승전과 머리 해골 = 396

  심지가 유업을 계승하다 = 397

  대현의 유가와 법해의 화엄 = 400

권 제5

 신주(神呪) 제6 = 407

  밀본이 사특한 도를 부수다 = 407

  혜통이 용을 굴복시키다 = 409

  명랑과 신인종 = 412

 감통(感通) 제7 = 416

  선도 성모가 불교 행사를 좋아하다 = 416

  계집종 욱면이 염불을 하여 극락으로 가다 = 420

  광덕과 엄장 = 422

  경흥이 성인을 만나다 = 423

  부처의 산 형체가 공양을 받다 = 425

  월명사의 도솔가 = 428

  선율이 다시 살아나다 = 430

  김현이 범을 감동시키다 = 431

  융천사의 혜성가 = 435

  정수사가 추위에 언 연인을 구원하다 = 436

 피은(避隱) 제8 = 437

  낭지가 구름을 탄 사실과 보현보살 나무 = 437

  공명을 피하던 연회와 문수점 = 440

  혜현이 정적을 구하다 = 441

  신충이 벼슬을 그만두다 = 442

  포산의 두 성인 = 445

  영재가 도적을 만나다 = 449

  물계자 = 450

  영여사 = 451

  포천산의 다섯 붕 = 452

  염불사 = 452

 효도와 선행 제9 = 453

  진정사의 효도와 선행 = 453

  대성이 두 세상 부모에게 효도하다 = 454

  향득 사지가 다리살을 베어 아버지를 공양하다 = 456

  손순이 아이를 묻다 = 457

  가난한 여자가 어머니를 봉양하다 = 458

발문 = 459

교열을 마치고 = 460

사진을 마치고 = 46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