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학과 인문학

언어학과 인문학 (Loan 5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재일
Title Statement
언어학과 인문학 / 권재일 ... [등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9.  
Physical Medium
v, 362 p. ; 23 cm.
Series Statement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총서 ; 4
ISBN
895210093X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329-354
000 00666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49897
005 20100806085539
007 ta
008 991105s1999 ulk AK 001a kor
020 ▼a 895210093X ▼g 9470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9122 ▼l 111139123 ▼l 111139124
082 0 4 ▼a 410 ▼2 21
090 ▼a 410 ▼b 1999a
245 1 0 ▼a 언어학과 인문학 / ▼d 권재일 ... [등저].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 ▼c 1999.
300 ▼a v, 362 p. ; ▼c 23 cm.
490 0 0 ▼a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총서 ; ▼v 4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 329-354
700 1 ▼a 권재일 ▼0 AUTH(211009)41372
950 0 ▼b \1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1999a Accession No. 1111391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1999a Accession No. 1111391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1999a Accession No. 1111391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학의 이론 모형, 언어학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문학을 감싸 안으려는 시도. 구조주의 언어학, 촘스키 언어학, 택스트 언어학 외에 정신분석학에 근거를 둔 심리언어학 등에 대한 분석을 인문학 연구에 연관시키고 있다.

언어와 인간, 언어와 세계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인문학의 전통적 관심이 되어 왔다. 그것은 언어가 가지고 있는 지극히 규칙적이며 자율적인 구조와 언어가 문화의 구성을 맡고 있는 근본적인 역할 때문일 것이다. 언어는 인간을 인간되게 해 주는 가장 근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언어학이 인문학을 통합할 수 있게 하는 유력하고도 가치 있는 이론이 된 것이다. 여러 이론모형을 분석하여, 언어연구가 발전해 온 과정을 단계별로 고찰하고, 이러한 제 모형들이 구체적으로 인문학의 여러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밝혀, 앞으로의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권재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동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역임,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 국어심의회 위원, 남북공동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장, 국립국어원 원장, 한글학회 회장 역임. 저서로 <한국어 문법론>,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사강의>, <세계언어의 이모저모>, <남북언어의 문법 표준화>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ⅲ

제1장 서설 / 문양수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내용 = 2

제2장 구조주의 언어학과 인문학 / 김윤환 = 5

 2.1. 문제의 제기 = 5

 2.2. 언어이론의 정립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 7

 2.3. Saussure의 구조주의 언어학 = 31

 2.4. 인문학 연구방법 모델로서의 구조주의 언어학 = 78

제3장 촘스키 언어학과 인문학 / 문양수 = 111

 3.1. 문제의 제기 = 111

 3.2. 촘스키 언어학의 성격 = 112

 3.3. 촘스키 언어학이 인문학에 끼친 영향 = 153

 3.4. 촘스키 언어학과 인문학의 전망 = 194

제4장 텍스트 언어학과 인문학 / 권재일 = 197

 4.1. 문제의 제기 = 197

 4.2. 텍스트와 텍스트 언어학 = 198

 4.3. 텍스트의 본질 = 207

 4.4. 텍스트 언어학과 인문학의 발전 = 223

 4.5. 텍스트 언어학과 인문학의 전망 = 233

제5장 정신분석학과 언어학, 그리고 인문학 / 허창운 = 235

 5.1. 문제의 제기 = 235

 5.2. 정신분석학과 심리언어학 = 239

 5.3. 정신분석학과 인문학으로서의 문예학 = 246

 5.4. 정신분석학의 기본개념과 문예학 = 260

 5.5.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학적 문예학 = 269

 5.6. 라캉의 구조주의적 정신분석학과 프로이트의 재해석 = 272

제6장 해체주의 이론의 한국적 수용 / 김효중 = 287

 6.1. 문제의 제기 = 287

 6.2. 해체주의 이론의 본질 = 288

 6.3. 한국 문학에서 해체주의의 실체 = 296

 6.4. 해체시의 방법적 전략 및 그 전개양상 = 302

 6.5. 해체주의 이론의 한계와 극복 = 322

 6.6. 해체주의 이론의 전망 = 324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