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문학의 이해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3
1) 문학의 정의 = 13
2) 문학의 기원 = 16
(1) 모방본능설 = 16
(2) 유희본능설 = 18
(3) 실용도구유래설 = 20
2. 문학의 요소 = 22
1) 문학과 언어 = 22
2) 문학의 4요소 = 26
(1) 정서 = 26
(2) 상상 = 30
(3) 사상 = 33
(4) 형식 = 35
3. 문학의 기능 = 37
1) 교시적 기능 = 37
2) 쾌락적 기능 = 40
4. 문학의 갈래 = 43
1) 장르의 개념 = 43
2) 장르의 구분과 역사 = 45
(1) 서구의 경우 = 45
(2) 우리나라의 경우 = 48
시의 이해
1. 시란 무엇인가 = 53
1) 시란 무엇인가 = 53
2) 시의 일반적 특징 = 57
(1) 정서와 상상력 = 57
(2) 운율과 형식미 = 59
3) 시의 두 관점 = 62
(1) 주정적 관점의 시 = 62
(2) 주지적 관점의 시 = 65
2. 시의 요소와 방법 = 67
1) 시와 언어 = 67
(1) 정서적 언어 = 67
(2) 시어의 함축성 = 69
(3) 애매성 = 70
(4) 언어의 문맥성 = 73
2) 비유 = 74
(1) 직유 = 75
(2) 은유(병치·치환) = 77
(3) 의인·풍유 = 79
(4) 제유와 환유 = 82
(5) 인유 = 84
(6) 반어와 역설 = 86
3) 이미지 = 89
(1) 이미지의 개념 = 89
(2) 이미지의 유형 = 91
4) 상징 = 97
(1) 상징의 개념 = 97
(2) 상징의 유형 = 99
3. 시의 어조와 화자 = 106
1) 어조 = 106
2) 화자 = 108
3) 융의 퍼소나 = 108
4) 화자와 청자의 존재형태 = 110
4. 시의 갈래 = 111
1) 형태상 분류 = 111
(1) 정형시 = 111
(2) 자유시 = 112
(3) 산문시 = 114
2) 내용상 분류 = 116
(1) 서정시 = 116
(2) 서사시 = 118
소설의 이해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123
1) 소설의 정의 = 123
2) 소설의 기원 = 125
3) 소설의 특질 = 129
(1) 허구와 진실 = 129
(2) 인간탐구와 인생표현 = 131
2. 소설의 유형 = 133
3. 소설의 구성요소 = 140
1) 구성 = 141
(1) 플롯의 개념 = 141
(2) 플롯의 단계 = 143
(3) 플롯의 유형 = 149
(4) 플롯의 진행방식 = 152
(5) 플롯의 강조법 = 153
2) 인물 또는 성격 = 154
(1) 평면적인 인물과 입체저 인물 = 156
(2)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 = 158
(3) 성격 창조의 방법 = 159
3) 주제 = 161
(1) 주제의 중요성과 개념 = 161
(2) 주제의 구분 = 163
(3) 주제의 설정 = 164
4. 소설의 방법 = 165
1) 시점 = 166
(1) 1인칭 주인공 시점 = 167
(2) 1인칭 관찰자 시점 = 168
(3) 작가 관찰자 시점 = 170
(4) 전지적 작가 시점 = 172
2) 배경 = 174
3) 거리와 어조, 반복 = 180
희곡의 이해
1. 희곡의 기원 = 189
2. 희곡의 특성 = 192
3. 희곡의 종류 = 195
1) 비극 = 195
2) 희극 = 200
3) 멜로드라마 = 205
4) 소극 = 206
4. 희곡의 구성요소 = 208
1) 인물 = 208
2) 언어 = 215
(1) 대화 = 217
(2) 독백 = 221
(3) 방백 = 222
3) 행동 = 223
4) 구성 = 227
(1) 발단 = 228
(2) 상승 = 230
(3) 절정 = 231
(4) 하강 = 233
(5) 파국 = 233
시나리오 이해
1.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 239
2. 시나리오의 특성 = 242
1) 영화의 특성 = 243
2) 시나리오와 소설 = 247
3) 시나리오와 희곡 = 248
3. 시나리오의 종류 = 250
4. 시나리오의 구성 = 254
1) 시나리오의 단계 = 254
2) 신과 시퀀스 = 255
3) 시나리오의 구성 = 258
4) 플롯의 종류 = 266
5) 조르쥬 포르티에의 36개의 국면 = 267
5. 시나리오의 표현 방법 = 271
1) 대사 = 271
2) 인물 = 273
3) 각색 = 275
4) 시나리오작가의 요건 = 276
수필의 이해
1. 수필이란 무엇인가 = 281
2. 수필의 특성 = 287
1) 개성적인 문학 = 287
2) 무형식의 문학 = 289
3) 유모어, 위트의 문학 = 292
4) 다양한 제재 = 296
3. 수필의 종류 = 297
1) 경수필 = 298
2) 중수필 = 299
4. 수필의 구성 = 300
1) 전개식 구성 = 300
2) 종합적 구성 = 301
(1) 단계식 구성 = 301
(2) 포괄식 구성 = 301
(3) 열거식 구성 = 301
(4) 점층식 구성 = 302
(5) 인과식 구성 = 302
5. 수필의 표현 방식 = 302
1) 설명 = 302
2) 논증 = 303
3) 묘사 = 304
4) 서사 = 304
비평의 이해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309
1) 비평의 개념 = 309
2) 비평의 기준과 영역 = 315
(1) 비평의 기준 = 315
(2) 비평의 영역 = 323
3) 비평의 기능 = 326
2. 비평의 역사와 종류 = 334
1) 비평의 역사 = 334
(1) 그리스와 로마의 비평 = 334
(2) 중세시대의 비평 = 336
(3) 르네상스 시기의 비평 = 337
(4) 근대의 비평 = 338
2) 비평의 종류 = 340
(1) 티보데의 비평 유형 = 341
(2) 쉬프리의 비평 유형 = 341
(3) 와트슨의 비평 유형 = 341
(4) 프라이의 비평 유형 = 342
(5) 웰렉의 비평 유형 = 342
(6) 그레브스타인의 비평 유형 = 342
3. 비평의 방법 = 345
1) 역사주의 비평 = 345
2) 형식주의 비평 = 352
3) 사회·문화적 비평 = 359
4) 신화·원형 비평 = 363
5) 구조주의 비평 = 368
인명보기 = 373
찾아보기 =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