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2
서론 = 15
1. 연구의 대상과 목적 = 15
2. 조선로동당은 어떤 정당인가 = 19
1) 조선로동당의 정당 분류상의 위치 = 19
2) 조선로동당의 기초 :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 = 23
제1부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 : 주체사상, 그 이론과 역사
제1장 주체사상의 이론구조 = 29
1. 주체사상의 이원적 구조 = 29
2. 주체사상의 기본체계(좁은 의미의 주체사상) = 30
3. 김일성주의 = 37
4. 주체사상과 맑스-레닌주의 : 차별화의 논리와 문제점 = 44
제2장 주체사상의 사회적 규정력 = 52
1.새로운 인간형('주체형의 공산주의자')의 창출 = 52
2. 정치(사상) 우선 당 사업방식의 제도화 = 56
1) 정치(사상) 우선 당 사업방식의 내용과 현황 = 56
2) '사상론' : 진통적인 정치(사상) 우선 사업방식으로부터의 일탈 = 59
3. 정치경제에서의 대외적 자주성 견인 = 61
제3장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 = 65
1. 주체사상의 형성·발전과정의 단계구분 : 의미와 특징 = 65
2. 주체사상 이전의 지도사상 : 맑스-레닌주의 = 67
3. 주체확립의 문제제기 : 1950년대 = 70
4. 자주성선언 테제로서의 주체사상 : 1960년대 초·중반 = 74
1) 중·소분쟁과 주체노선의 확립 = 74
2) 주체사상의 대두·발전 :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천명 = 82
5. "김일성 동지의 혁명사상"으로의 굴절 :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 86
6. 김일성주의 대두와 주체사상의 '보편적 이론화'(=굴절) 시도 : 1970년대 중반 이후 = 89
제4장 주체사상 대두·발전·굴절의 역사적 조건과 배경 = 93
제2부 조선로동당의 기본구조 : 유일지도체계
제1장 유일지도체계의 이론적 기초 = 101
1. 혁명적 수령관 = 101
2.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내용·특질·형성과정 = 106
3. 혁명적 수령관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의 문제점 = 115
보론 : 후계자론 = 121
제2장 유일지도체계의 현황과 문제 = 124
제3장 유일지도체계의 정치사회적 기반 = 134
1. 유일사상체계와 개인숭배 = 134
1) 유일사상체계와 개인승배 현상 = 134
2) 개인숭배의 조건(배경) = 138
2. 권력의 1인집중과 사회체계의 동원화 = 141
제4장 수령 호칭과 수령 개념의 변화과정 : 개인숭배 현상과 관련하여 = 144
제3부 조선로동당의 구조변화과정 : 유일지도체계의 형성과정
제1장 정치연합과 단일지도체계를 향한 출발 = 157
1. 해방 직후 좌파세력 지형 = 157
1) 국내 공산주의 출신 = 159
2) 항일유격대 출신 = 160
3) 소련계 한인들 = 163
4) 연안독립동맹계열 출신들 = 165
2.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창설 = 168
3. 김일성의 책임비서 취임과 종파문제의 제기 = 173
4. 연안독립동맹의 독자 정당화 : 조선신민당의 결성 = 180
5. 북조선로동당의 창립과 당내 권력구조의 변화 = 184
1) 북조선로동당의 창립 : 북조선로동당과 조선신민당의 합당 = 184
2) 북조선로동당의 창립 배경과 의미 = 188
3) 북조선로동당의 성격 = 192
4) 북조선로동당의 조직체계와 권력구조 = 194
5) 북조선로동당의 발전과 당내종파 비판 = 199
6. 남북로동당의 합당 : '1949년 6월 질서'의 형성과 갈등요인의 내재 = 204
보론 : 조선로동당 전사(前史) - 일제하 공산주의운동 = 214
1. 일제하 공산주의운동 : 초기 조선로동당 이해의 전제 = 214
2. 한국공산주의운동의 출발 : 고려공산당 시기 = 215
1) 한인사회당 : 최초의 한인공산주의단체 = 216
2) 연해주 한인사회당과 대한국민의회 = 217
3) 두 개의 고려공산당 결성과 통일운동의 실패 = 219
3. 조선공산당 결성과 국내 공산주의운동 : 1920년대 = 222
1) 제1·2차 조선공산당의 결성과 붕괴 = 222
2) 제3·4차 조선공산당의 실패와 코민테른 「12월테제」 = 224
4. 한국공산주의운동의 분지(分枝) : 1930∼1945 = 227
1) 국내운동 = 227
2) 만주에서의 항일무장투쟁 = 231
3) 화북조선독립동맹의 활동 = 234
5. 해방과 다원적 세력의 분화와 통합 = 236
제2장 한국전쟁과 '반종파투쟁' = 238
1. 한국전쟁중의 당내정치 : '1949년 6월 질서'의 해체과정 = 238
1) 인민군의 패퇴와 당의 동요, 중공군의 참전과 무정 숙청 = 238
2) 김일성의 당 장악과 허가이의 해임 = 244
3) 박헌영과 남로당계열의 몰락 : '1949년 6월 질서'의 해체 = 250
4) 1949년·1953년 김일성 권력의 차이 = 257
2. 전후 당의 재구조화와 당내 갈등의 내연(內燃) = 261
1) 전후 복구건설노선과 당내 갈등 = 261
2) 공산주의적 계급교양사업의 강화 = 266
3)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화와 김일성 지도부의 대응 = 269
3. 당내 갈등의 폭발과 귀결 : '8월 종파사건'과 '반종파투쟁' = 275
1) '8월 종파사건'의 경과 = 275
2) '8월 종파사건'의 귀결 : '반종파투쟁'과 당내 정치적 역동성의 탈각 = 279
제3장 유일지도체계의 사회적 동의기반 확보과정 = 285
1. 단일 권력블록의 형성과 유일지도자의 이미지 강화 = 285
1) 단일 권력블록의 형성과 유일적 권력의 강화 = 285
2) 광범한 사상학습의 전개 : 빨찌산 회상기와 김일성 저작의 학습 = 291
2. 새로운 파행 : 항일혁명전통의 희석화와 유일지도성의 이미지 동요 = 294
3. 개인숭배의 고조와 사회문화적 공간의 굴절이동 = 296
1) 당 제2차 대표자회와 대외적 위기의 국내 삼투 = 297
2) 개인숭배 물결의 고조와 사회체계의 동원화 가속 = 300
3) 당 제4기 제15차 전원회의와 유일사상체계의 확립문제 제기 = 303
4) 1967년의 북한사회 : 사회문화적 공간의 굴절이동 = 311
4. 유일사상체계의 확립과 당지도부의 변동 = 315
제4장 유일지도체계의 확립과 후계체제의 등장 = 324
1. 유일지도체계의 확립 = 324
2. 김정일 후계체제의 등장 = 327
1) 당내 세대교체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등장 = 327
2) 당 제6차 대회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 = 335
제5장 유일지도체계 형성과정상의 문제점 = 340
보론 : 조선로동당의 성격 및 조직원칙, 권력기구의 변천 = 344
결론 : 평가와 전망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