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政治學 第6全訂版

政治學 第6全訂版 (36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극찬 李克燦
서명 / 저자사항
政治學 / 李克燦 著
판사항
第6全訂版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1999   (2010)  
형태사항
xxvii, 78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政治學叢書
ISBN
8918031246 9788918031705
서지주기
참고문헌(p. 765-772)과 색인수록
000 00866namcc2200265 c 4500
001 000000648344
005 20140512115437
007 ta
008 991025s1999 ulka 001c kor
020 ▼a 8918031246 ▼g 93340
020 ▼a 9788918031705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6499 ▼f 개가 ▼l 111136500 ▼f 개가 ▼l 111136501 ▼f 개가 ▼l 411464152 ▼f 개가 ▼l 111224941 ▼f 개가 ▼l 111224942 ▼f 개가
082 0 4 ▼a 320 ▼2 23
085 ▼a 320 ▼2 DDCK
090 ▼a 320 ▼b 1999
100 1 ▼a 이극찬 ▼g 李克燦
245 1 0 ▼a 政治學 / ▼d 李克燦 著
250 ▼a 第6全訂版
260 ▼a 서울 : ▼b 法文社, ▼c 1999 ▼g (2010)
300 ▼a xxvii, 786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政治學叢書
504 ▼a 참고문헌(p. 765-772)과 색인수록
830 0 ▼a 정치학총서 (법문사)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5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5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2249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2249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551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4114641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5210025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510661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510661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5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5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2249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136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2249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11551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4114641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5210025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510661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20 1999 등록번호 1510661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극찬(지은이)

<정치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현대에 있어서의 인간과 정치
 제1절 현대사회의 정치화와 인간생활 = 1
  1. 인간과 정치 = 1
  2. 현대는「정치화의 시대」이다 = 8
  3. 야경국가관과 정치의 극소화사상 = 9
  4. 복지국가관과 현대사회의 정치화 = 15
 제2절 현대사회의 특질 = 21
  1. 변혁기에 처한 현대사회 = 21
  2. 기술 = 23
   (ⅰ) 기술의 경이적 발달 = 23
   (ⅱ) 기술시대의 지도원리 = 24
   (ⅲ) 기술시대의 문제점 = 24
   (ⅳ) 기술의 인간화 = 41
  3. 대중 = 44
   (ⅰ) 대중사회의 도래 = 44
   (ⅱ) 대중의 특질 = 55
   (ⅲ) 대중의 정치화 = 61
   (ⅳ) 대중을 보는 올바른 시각 = 62
  4. 신화적 사고 = 63
   (ⅰ) 현대정치와 신화적 사고 = 63
   (ⅱ) 소렐과 맥키버의 신호관 = 64
   (ⅲ) 정치이론과 이데올로기의 신화화 = 66
   (ⅳ) 신화와 의식 = 66
   (ⅴ) 정치적 신화의 기능 = 67
 제3절 현대의 위기와 현대정치의 과제 = 68
  1. 위기의 특징 = 68
  2. 위기의 원인 = 70
   (ⅰ) 윌터 리프만의 견해 = 71
   (ⅱ) 크리스토퍼 도슨으 견해 = 72
   (ⅲ) 마틴 부버의 견해 = 74
   (ⅳ) 할로웰의 견해 = 75
  3. 위기의 징조 = 76
  4. 현대정치의 과제 = 79
  5. 정치와 행복 = 81
제2장 정치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제1절 정치의 세계 - 세 개의 정치권 = 89
 제2절 투쟁과 통합 - 권력과 자유와의 조화 = 91
  1. 정치 = 「야누스 신」의 두 얼굴 = 91
  2. 권력과 자유와의 조화 = 94
  3. 정치가 바라는 올바른 사회질서와 지도성 = 100
 제3절 「정치적인 것」의 특질 = 102
  1. 정치를 보는 시각의 다양성 = 102
  2. 국가형상설과 집단형상설과의 대립 = 104
   (ⅰ) 국가형상설의 견해 = 104
   (ⅱ) 집단현상설의 견해 = 105
   (ⅲ) 국가현상설과 집단현상설의 비교고찰 = 107
  3. 「정책결정과정」에 관련시켜서 본 정치개념-이스톤의 견해 = 109
  4. 그 밖의 정치개념 = 112
   (ⅰ) 칼 슈미트의 정치개념 = 112
   (ⅱ) 아렌트의 정치개념 = 114
   (ⅲ) 막스 베버의 정치개념 = 119
   (ⅳ) 칼 도이취의 정치개념 = 121
  5. 정치개념의 변천과 발전 = 125
 제4절 정치학의 성격과 사명 = 126
  1. 권력비판의 학으로서의 정치학 = 127
  2. 사회경영의 학으로서의 정치학 = 130
 제5절 정치학 연구방법 = 132
  1. 정치학 연구방법의 기본적 경향 = 132
   (ⅰ) 정치학 연구의 곤란성 = 132
   (ⅱ) 오늘날의 정치학 연구방법의 기본적 경향 = 135
  2. 형태(행동)과학의 정치학에의 도입 = 143
  3. 체계분석·구조­기능분석 = 149
   (ⅰ) 정치체계와 체계분석 = 149
   (ⅱ) 사회체계의 기능 = 151
   (ⅲ) 알몬드의 정치기능론 = 152
  4. 그 밖의 연구방법 = 155
 제6절 정치과학과 정치철학 = 158
제3장 정치권력
 제1절 정치권력의 의의 = 163
  1. 정치학에 있어서의 권력의 의의 = 163
  2. 인간과 권력욕 = 166
  3. 매저키즘과 새디즘 = 168
  4. 권력의 실체개념(실체설)과 관계개념(관계설) = 172
  5. 권력의 제로 섬(zero-sum)개념과 비(非)제로 섬(non zero-sum)개념 = 178
  6. 권력발생의 조건과 근거 = 179
  7. 권력·세력(영향력)·권우 = 180
   (ⅰ) 세력과 권력 = 180
   (ⅱ) 권력과 권위 = 182
  8. 정치권력의 특질과 구조 = 184
   (ⅰ) 정치권력의 특질 = 184
   (ⅱ) 정치권력의 구조 = 186
 제2절 정치권력의 발동 = 189
  1. 소수자지배의 원칙 = 189
   (ⅰ) 「정치엘리트」의 등장 = 190
   (ⅱ) 모스카의 엘리트론(論) = 191
   (ⅲ) 파레토의 엘리트 순환론 = 192
   (ⅳ) 미헬스의 과두제의 철칙 = 196
  2. 지배와 복종의 상호제약적 관계 = 198
  3. 지배의 수단 = 201
   (ⅰ) 「사탕과자」와 「채찍」­당근과 채찍 = 201
   (ⅱ) 설득적 방법과 강제적 방법 = 202
   (ⅲ) 입체적 공작의 필요성 = 209
  4. 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 = 210
   (ⅰ) 「미란다」와 「크레덴다」의 의미 = 210
   (ⅱ) 권력의 「미란다」와 정치적 상징조각 = 212
   (ⅲ) 권력의 「크레덴다」와 정치권력의 정통(당)성 = 215
   (ⅳ) 정치권력의 정통성과 막스 베버의 세 가지 지배유형 = 217
   (ⅴ) 정치권력의 정통성의 현대적 문제점 = 219
 제3절 정치권력의 변동 = 221
  1. 정치권력의 기능화과정 = 221
   (ⅰ) 정치권력의 획득 = 222
   (ⅱ) 물리적 강제력의 독점 = 223
   (ⅲ) 정통성의 획득 = 223
   (ⅳ) 기치의 배분 = 224
   (ⅴ) 제도의 기능화 = 224
  2. 정치권력변동의 양식 = 225
   (ⅰ) 쿠데타 = 227
   (ⅱ) 혁명 = 229
   (ⅲ) 반혁명 = 238
  3. 혁명의 진행과정 = 240
   (ⅰ) 심각한 경제적 위기에서 생겨지는 대중의 불만의 증대 = 240
   (ⅱ) 지식인의 이반(離反) = 242
   (ⅲ) 지배수단의 마비 = 243
   (ⅳ) 폭력 일변도와 통치조직 내부의 분열 = 244
  4. 혁명의 전개과정과 그 순환의 문제 = 245
 제4절 권력의 억제와 순화 = 247
  1. 정치적 조건 = 250
  2. 경제적 조건 = 252
  3. 선전적 조건 = 253
  4. 심리적·교육적 조건 = 254
제4장 정치적 리더십
 제1절 정치에 있어서의 리더십의 의의 = 259
 제2절 정치적 리더의 자질 = 262
  1. 정치적 리더십의 연구동향 = 262
  2. 정치적 인간 = 264
  3. 정치적 리더의 자질 = 268
   (ⅰ) 로버트 미헬스의 견해 = 268
   (ⅱ) 메리암의 견해 = 269
   (ⅲ) 막스 베버의 정치가의 자질론 = 269
   (ⅳ) 로버트 다알의 통치자의 자격요건 = 271
  4. 정치적 리더의 역할 = 273
 제3절 리서십의 유형 = 276
  1. 전통적(신분적) 리더십 = 276
  2. 대표적 리더십 = 277
  3. 투기적(선동적) 리더십 = 277
  4. 창조적 리더십 = 278
  5. 현대정치에 있어서의 리더십의 유형 = 279
   (ⅰ) 민주적 리더십 = 279
   (ⅱ) 전체주의적 리더십 = 279
   (ⅲ) 권위주의적 리더십 = 280
   (ⅳ) 관료주의적 리더십 = 282
 제4절 현대에 있어서의 리더십의 문제 = 282
  1. 정치적 리더십의 문제 = 282
  2. 서브 리더(sub-leader) = 283
 제5절 정치적 엘리트의 충원문제 = 284
제5장 정치의식·정치문화·정치사회화
 제1절 정치의식의 의미 = 287
 제2절 정치의식의 구조분석 = 288
  1. 분석의 방법 = 289
  2. 정치의식의 유형 = 290
 제3절 정치문화의 의미와 유형 = 291
  1. 정치문화의 의미 = 291
  2. 정치문화의 유형 = 294
   (ⅰ) 지방형 정치문화 = 295
   (ⅱ) 신민형(복종형) 정치문화 = 295
   (ⅲ) 참가형 정치문화 = 295
 제4절 정치사회화의 의미와 연구과제 = 297
  1. 정치사회화의 의미 = 297
  2. 잠재적 정치사회와 현재적(顯在的) 정치사회화 = 299
  3. 연구과제 = 301
 제5절 사회적 인간의 유형과 정치의식 = 302
  1. 전근대적 전통사회의 인간형과 정치의식 = 302
  2. 근대생산사회의 인간형과 정치의식 = 304
   (ⅰ) 내부지향형 인간의 기본적 특징 = 305
   (ⅱ) 재부지향형 인간의 정치의식의 특징 = 306
  3. 현대대중소비사회의 인간형과 정치의식 = 307
   (ⅰ) 타인지향형 인간의 기본적 특징 = 307
   (ⅱ) 시장지향형 인간의 기본적 특징 = 308
   (ⅲ) 타인(시장)지향형 인간의 정치의식의 특징 = 311
 제6절 정치적 무관심 = 313
  1. 정치적 무관심의 의미 = 313
  2.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시키는 요인 = 317
  3. 정치적 무관심이 가져오는 것 = 331
  4. 정치적 무관심에 대한 찬반론 = 332
 제7절 정치의 이데올로기 = 336
  1. 정치와 이데올로기 = 336
   (ⅰ) 이데올로기의 시대 = 336
   (ⅱ) 이데올로기 개념의 정치성 = 337
  2. 정치적 이데올로기으 구조와 기능 = 339
   (ⅰ)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구조 = 340
   (ⅱ)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기능 = 343
  3. 이데올로기를 규정하는 것 = 344
  4. 이데올로기의 종언 = 345
제6장 정치과정
 제1절 정치과정의 의의 = 349
  1. 정치과정의 의미 = 349
  2. 정치과정의 파악 = 350
 제2절 집단의 현대적 기능과 현대정치과정의 특질 = 351
  1. 집단의 현대적 기능 = 351
  2. 현대정치과정의 특징 = 352
 제3절 정당 = 354
  1. 대의제민주주의와 정당의 존재이유 = 354
  2. 정당의 개념 = 356
  3. 정당의 발생과 분립 = 360
   (ⅰ) 근대정당의 발생 = 361
   (ⅱ) 정당의 분립 = 362
  4. 정당의 기능 = 365
   (ⅰ) 여론의 형성과 조직화 = 365
   (ⅱ) 민중에 대한 정치교육 = 366
   (ⅲ) 정부의 조직 = 367
   (ⅳ) 의회정치의 조직적·능률적 운영 = 367
   (ⅴ) 지도자의 선택 = 368
  5. 정당제도 = 369
   (ⅰ) 정당제의 새로운 유형화­살토리의 정당제의 유형 = 369
   (ⅱ) 알몬드의 정당제의 유형 = 373
   (ⅲ) 정당제의 성립요인 = 375
   (ⅳ) 양대정당제의 장단점 = 376
   (ⅴ) 다당제의 장단점 = 377
  6. 정당의 조직 = 378
   (ⅰ) 간부정당의 특징 = 379
   (ⅱ) 대중정당의 특징 = 379
   (ⅲ) 당내 과두제와 당내 민주제 = 380
  7. 정당의 자금 = 381
  8. 계급관의 변화와 포괄정당(包括政黨)의 출현 = 382
  9. 이데올로기와 정책의 한계분화 = 385
  10. 탈정당화현상 = 387
 제4절 압력단체 = 389
  1. 압력단체의 의미 = 389
  2. 압력단체의 발생요인 = 390
  3. 정당과 압력단체와의 차이 = 392
  4. 압력단체의 분류 = 393
  5. 압력행사의 방법 = 394
  6. 압력단체의 플러스의 면과 마이너스의 면 = 394
  7. 이익집단의 정치적 발언권의 증대와「코포라티즘」의 등장 = 397
   (ⅰ) 「코포라티즘」이란 어떤 것인가? = 397
   (ⅱ) 「코포라티즘」의 성립조건 = 398
   (ⅲ) 「네오 코포라티즘」논의의 활발화 = 399
  8. 파벌의 생리와 병리 = 400
 제5절 대중운동 = 401
  1. 대중운동의 의미와 발생계기 = 401
  2. 불안과 역행적(逆行的) 대중운동 = 403
   (ⅰ) 대중과 지도자와의 일체화 = 405
   (ⅱ) 역행적 대중운동과 Scape goats의 설정 = 405
  3. 스튜던트 파워의 문제 = 407
 제6절 관료제 = 410
  1. 관료제의 개념 = 410
  2. 관료제의 역사적 형태 = 412
   (ⅰ) 절재제적 관료제 = 412
   (ⅱ) 공무원적 관료제 = 412
   (ⅲ) 현대적 관료제 = 413
  3. 현대관료제의 문제점 = 413
  4. Ad-hocracy의 문제 = 416
 제7절 선거의 문제 = 417
  1. 선거의 의의 = 417
  2. 선거구의 문제 = 419
   (ⅰ) 소선거구제의 장단점 = 420
   (ⅱ) 대선거구제의 장단점 = 421
   (ⅲ) 중선거구제의 장단점 = 422
  3. 대표제의 문제 = 423
   (ⅰ) 다수대표제 = 423
   (ⅱ) 소수대표제 = 423
   (ⅲ) 비례대표제 = 424
  4. 투표형태의 문제 = 425
   (ⅰ) 투표형태의 연구방법 = 426
   (ⅱ) 투표형태의 타입 = 426
  5. 오늘날의 선거과정의 변모와 문제점 = 428
제7장 정치기구
 제1절 정치기구의 분류 = 431
 제2절 삼권분립제의 문제 = 435
  1. 권력분립의 원칙 = 435
  2. 권력분립론의 실제 = 438
 제3절 의회제민주정치형 = 440
  1. 의회주의의 원리 = 440
  2. 의회정치의 발달과정 = 441
   (ⅰ) 제1단계­참여의회의 시기 = 441
   (ⅱ) 제2단계­입헌의회의 시기 = 442
   (ⅲ) 제3단계­의회제민주정치의 확립기 = 443
  3. 의회제민주정치의 특징 = 443
  4. 의회정치운영의 문제점 = 444
   (ⅰ) 의회의 정치적 기능 = 444
   (ⅱ) 의회정치운영을 저해하는 견해 = 444
  5. 의회제도의 위기와 그 대책 = 453
   (ⅰ) 직접민주제의 도입 = 455
   (ⅱ) 직능대표제의 실시 = 460
   (ⅲ) 의회제도의 내부개혁 = 463
   (ⅳ) 옴부즈만제도의 도입문제 = 465
 제4절 대통령중심제 = 468
  1. 대통령중심제의 특징 = 468
  2.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중심제와의 차이 = 476
  3. 대통령중심제의 변형­신대통령제 = 477
 제5절 최고회의제 1당정치형 = 479
  1. 소비에트제도의 발생 = 479
  2. 소연방 정치기구의 특징 = 480
   (ⅰ) 최고회의 = 481
   (ⅱ) 최고회의 간부화 = 481
   (ⅲ) 각료회의 = 482
  3. 소련의 새로운 대통령제 = 484
 제6절 정치기구에 대한 평가태도 = 486
제8장 자유민주주의체제와 전체주의체제
 Ⅰ. 정치체제의 개념 = 489
 Ⅱ. 자유민주주의체제 = 492
 Ⅲ. 민주주의의 이론 = 495
  제1절 민주주의의 의미 = 495
   1. 민주주의의 다의성 = 495
   2. 민주주의의 의미 = 498
  제2절 민주주의의 본질과 조건 = 501
   1. 민주주의의 본질 = 501
   2. 민주주의의 조건 = 504
  제3절 민주주의의 저해요인과 위기대책 = 511
   1. 민주주의의 저해요인 = 511
   2. 민주주의의 위기대책 = 515
  제4절 민주주의의 보편적 지표 = 520
   1. 민주주의 참과 거짓을 식별하는 방법 = 520
   2. 민주주의의 보편적 지표 = 523
  제5절 대중민주주의의 현실상 = 526
   1. 근대민주주의의 변질과정 = 526
   2. 민주주의의 경쟁이론(競爭理論)의 새로운 전개 = 535
    (ⅰ) 슘페터의 민주주의의 경쟁이론 = 535
    (ⅱ) 로버트 다알의 폴리아키론(論) = 539
    (ⅲ) 사르토리의 민주주의론 = 547
   3. 현대 대중민주주의 이율배반성과 새로운 진로의 모색 = 555
    (ⅰ) 맥퍼순의 「참가민주주의」 = 556
    (ⅱ) 레이프할트의 「컨소시에이셔날 데모크라시」 = 559
   4. 대중민주주의의 수호 = 563
    (ⅰ) 제도의 활용을 통한 정치과정의 통제 = 563
    (ⅱ) 국민의 정치의식의 아양 = 565
   5. 지방자치의 활성화 = 567
 Ⅳ. 전체주의체제 = 568
  제1절 전체주의 = 568
  제2절 독재의 의미 = 570
  제3절 독재의 유형 = 572
   (ⅰ) 위임독재(합헌법적 독재)와 주권독재(초헌법적 독재) = 572
   (ⅱ) 질서독재와 혁명독재 = 573
   (ⅲ) 전체주의적 독재 = 574
  제4절 파시즘의 본질 = 575
   (ⅰ) 파시즘의 의미 = 575
   (ⅱ) 파시즘 대두의 일반적 배경 = 577
   (ⅲ) 파시즘의 발전형태와 기능 = 579
   (ⅳ) 파시즘의 이데올로기 = 582
   (ⅴ) 파시즘 비판 = 583
   (ⅵ) 파시즘과 「자유로부터의 도피」 = 585
 Ⅴ. 권위주의체제 = 587
 Ⅵ. 사회주의의 퇴조와 좌절 = 589
제9장 정치발전
 제1절 정치발전의 개념 = 593
 제2절 정치발전의 단계 = 597
  1. 초기통일의 정치 = 598
  2. 공업화의 정치 = 598
  3. 국민복지의 정치 = 600
  4. 풍부의 정치 = 601
 제3절 정치적 안정과 정치발전 = 602
  1. 정통성과 효율성의 문제 = 602
  2. 정치문화와 정치적 안정 = 606
 제4절 발전도상국과 정치발전 = 609
  1. 발전도상국의 근대화 = 609
   (ⅰ) 발전도상국 정치적 당면과제 = 609
   (ⅱ) 발전도상국의 특징 = 610
   (ⅲ) 근대화의 척도 = 613
   (ⅳ) 근대화의 방향 = 616
   (ⅴ) 「복수문명의 시대」에 있어서의 근대화의 서구화 = 617
  2. 발전도상국과 의회제민주주의 = 619
   (ⅰ) 정치적 독립과 서구적 의회제민주주의의 도입 = 619
   (ⅱ) 의회제민주주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 622
  3. 발전도상국과 민족주의 = 627
   (ⅰ) 민족과 민족주의 = 627
   (ⅱ) 서구적 민족주의와 비서구적 민조주의의 차이 = 630
   (ⅲ) 민족주의와 애국심의 문제 = 633
   (ⅳ)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문제 = 639
   (ⅴ) 민족주의의 이데올로기적 구성요소와 종교성 = 641
 제5절 발전도상국에 있어서의 군부와 정치 = 644
  1. 군부의 정치참여 = 644
   (ⅰ) 객관적 조건 = 645
   (ⅱ) 주체적 조건 = 648
  2. 발전도상국에 있어서의 군부의 기능 = 648
 제6절 근대국가의 발전과 자유 = 652
  1. 국가권력과 자유 = 652
  2. 자유의 역사적 한정성과 자유의 가치의 보편성 = 653
  3. 근대국가의 발전과 자유 = 658
제10장 국가
 제1절 국가론의 복권 = 667
 제2절 우리들에게 있어서 국가란 무엇인가? -국가와 개인- = 670
 제3절 국가의 본질 - 인공적 산물 = 672
  1. 국가의 명칭 = 672
  2. 근대국가 형성의 기본원리 = 674
  3. 국가의 기능과 구성요소 = 675
  4. 국가와 정부의 차이 = 676
 제4절 오늘날의 주요 국가관 = 677
  1. 일원적 국가관 = 677
  2. 다원적 국가관 = 679
  3. 계급국가관 = 681
  4. 최소국가옹호론 = 683
 제5절 국가의 건강관리 = 689
제11장 국제정치
 제1절 국제관계의 변화 = 691
  1. 국내정치와 국제정치 = 691
  2. 국제관계의 기본적 특질 = 694
  3. 초(탈)국가적 국제주체의 출현 = 696
  4. 양극화로부터 다극화에로 = 698
   (ⅰ) 냉정과 양극화 = 698
   (ⅱ) 긴장완화와 다극화 = 701
   (ⅲ) 남북문제-제3세계와 비동맹국가 = 706
  5. 냉전의 종식-탈냉전의 세계질성의 형성 = 708
 제2절 냉전 종식후의 국제사회의 동향 = 710
  1. 「상호의존」의 현저한 진전 = 710
  2. 서유럽의 통합 = 712
  3. 민족분쟁의 발생 = 713
  4. 「남북문제」의 변화 = 713
  5. 인권의 국제화 = 714
  6. Power-game으로부터 Wealth-game에로의 변화 = 715
   (ⅰ) 경제와 경영분야에 있어서의 세계화 = 716
   (ⅱ) 지역주의의 대두 = 716
   (ⅲ) 전략적 무역정책론의 적용 = 717
 제3절 국력 = 718
  1. 국제관계에 있어서의 파워(Power)의 의의 = 718
  2. 국력의 의미 = 719
  3. 군사력 = 720
  4. 모겐소의 국력관 = 722
  5. 정치적 자원과 국제적 영향력 = 724
 제4절 세력균형정책의 기본원리와 그 문제점 = 726
  1. 그 기본원리 = 726
  2. 세력균형정책의 유형 = 728
  3. 그 문제점 = 729
 제5절 전쟁과 평화 = 732
  1. 전쟁의 본질 = 732
  2. 칸트의 영구평화론 = 735
  3. 평화에의 접근 = 742
   (ⅰ) 집단안전보장체제와 집단방위조약 = 742
   (ⅱ) 평화공존의 의미와 조건 = 746
   (ⅲ) 군비축소-「치킴게임」과 「죄수의 딜레마」 = 749
   (ⅳ) 기능적 국제협력 = 753
   (ⅴ) 중립주의 = 755
 제6절 위기에 처한 「우주선 지구호」 = 757
  1. 정보의 세계화-급진전하는 인터넷 = 757
  2. 지구환경의 위기 = 758
  3. 「인류와 자연」의 공생 = 760
 책을 끝맺는 말 : 「공포의 균형」으로부터 「희망의 균형」에로 = 761
참고문헌 = 765
인명색인 = 773
사항색인 = 777


관련분야 신착자료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2023)
McCormick, John (2023)
강원택 (2023)
Larmore, Charles E (2023)
篠田英朗 (2023)
Hobbes, Thoma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