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지방행정론 : 이론과 실제

한국지방행정론 : 이론과 실제 (Loan 9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규환
Title Statement
한국지방행정론 : 이론과 실제 / 이규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法文社 ,   1999.  
Physical Medium
xv, 639 p. ; 26 cm.
Series Statement
행정학총서
ISBN
8918021380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616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48264
005 20100806083730
007 ta
008 991025s1999 ulk 001a kor
020 ▼a 8918021380 ▼g 93350 :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7726 ▼l 111137726 ▼l 111137726
082 0 4 ▼a 352.140953
090 ▼a 352.140953 ▼b 1999
100 1 ▼a 이규환 ▼0 AUTH(211009)107940
245 1 0 ▼a 한국지방행정론 : ▼b 이론과 실제 / ▼d 이규환 지음.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1999.
300 ▼a xv, 639 p. ; ▼c 26 cm.
490 0 0 ▼a 행정학총서
500 ▼a 색인수록
950 0 ▼b \23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510707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510707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111377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510707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953 1999 Accession No. 1510707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지방행정의 일반이론

 제1장 지방행정론의 연구대상과 방법

  제1절 지방행정론의 연구대상과 범위 = 3

   Ⅰ. 지방행정의 기초이론 분야 3 = 3

   Ⅱ. 행정수요자로서의 행정한경 분야 = 5

   Ⅲ. 행정공급자로서의 지방행정체제 분야 = 6

   Ⅳ. 지방행정의 실제 = 10

  제2절 지방해정론의 연구방법 = 13

   Ⅰ. 상태론적 접근방법 = 14

   Ⅱ. 체제론적 접근방법 = 15

   Ⅲ. 비교론적 접근방법 = 17

   Ⅳ. 발전론적 접근방법 = 18

 제2장 지방행정수요와 행정환경

  제1절 지방행정과 행정환경변화 = 22

   Ⅰ. 지방행정과 환경체계 = 22

   Ⅱ. 장래 행정여건의 변화전망 = 24

  제2절 행정여건변화와 행·재정수요 = 34

   Ⅰ. 행정여건변화와 지방행정수요 = 34

   Ⅱ. 행정여건변화와 지방재정수요 = 37

 제3장 지방행정의 본질

  제1절 지방행정의 의의 = 39

   Ⅰ. 지방행정의 개념 = 39

   Ⅱ. 지방행정의 특징 = 40

  제2절 지방행정의 존재형태 = 44

   Ⅰ. 존재형태의 유형 = 44

   Ⅱ. 자치적 지방행정과 관치적 지방행정 = 45

  제3절 지방행정의 이념 = 48

   Ⅰ. 지방행정이념의 의의 = 48

   Ⅱ. 지방해정이념의 내용 = 49

   Ⅲ. 지방행정이념의 우선순위 = 55

제2편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주민과의 관계

 제1장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제1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본질 = 61

   Ⅰ.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개념 = 61

   Ⅱ. 지방분권의 필요성 = 62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비교 = 64

   Ⅰ.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장점 = 64

   Ⅱ.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조화 = 67

  제3절 지방분권의 유형 = 68

   Ⅰ. 자치적 분권 = 69

   Ⅱ. 행정적 분권 = 71

   Ⅲ. 미국 도시정부의 지방분권 = 72

  제4절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 74

   Ⅰ. 신중앙집권화 경향 = 75

   Ⅱ. 신지방분권화 경향 = 79

 제2장 지방차지와 자치권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83

   Ⅰ. 지방자치의 개념 = 83

   Ⅱ. 지방자치의 필요성 = 85

   Ⅲ.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 88

   Ⅳ. 주문자치와 단체자치 = 89

   Ⅴ.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관계 = 93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94

   Ⅰ. 자치권에 대한 학설 = 94

   Ⅱ. 자치권의 특성 = 96

  제3절 자치권의 내용 = 98

   Ⅰ. 자치입법권 = 98

   Ⅱ. 자치조직권 = 103

   Ⅲ. 자치행정권 = 104

   Ⅳ. 자치재정권 = 106

 제3장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기능배분

  제1절 국가와 지방간 기능배분 이론 = 109

   Ⅰ. 기능배분의 의의 = 109

   Ⅱ. 기능배분에 관한 주요이론 = 111

  제2절 국가와 지방간 기능배분의 본질 = 116

   Ⅰ. 기능배분의 원칙 = 116

   Ⅱ. 기능배분의 기준 = 118

   Ⅲ. 기능배분의 방식 = 121

  제3절 외국의 국가와 지방간 기능배분 = 124

   Ⅰ. 영국의 기능배분내용 = 124

   Ⅱ. 프랑스의 기능배분내용 = 126

   Ⅲ. 미국의 기능배분내용 = 127

   Ⅳ. 일본의 기능배분내용 = 128

  제4절 한국의 국가와 지방간 기능배분 = 130

   Ⅰ. 기능배분의 현황 = 130

   Ⅱ. 기능배분의 문제점 = 136

   Ⅲ. 기능배분의 발전방향 = 137

 제4장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통제

  제1절 중앙통제의 의의 = 140

   Ⅰ. 중앙통제의 개념 = 140

   Ⅱ. 중앙통제가 강화되는 이유 = 141

  제2절 중앙통제의 방식 = 143

   Ⅰ. 중앙통제의 일반적 방식 = 143

   Ⅱ. 우리나라의 중앙통제 방식 = 146

  제3절 중앙통제의 한계화 방향 = 150

   Ⅰ. 중앙통제의 한계 = 150

   Ⅱ. 중앙통제의 방향 = 151

 제5장 주민통제와 주민참여

  제1절 주민통제의 본질 = 154

   Ⅰ. 주민의 의의 = 154

   Ⅱ. 주민통제의 의의 = 155

   Ⅲ. 주민통제의 방법 = 156

   Ⅳ. 주민의 직접참정제도 = 158

  제2절 주민참여의 본질 = 160

   Ⅰ. 주민참여의 의의 = 160

   Ⅱ. 주민참여의 기능과 효과 = 168

   Ⅲ. 주민참여의 단체 = 173

   Ⅳ. 주민참여의 유형 = 176

   Ⅴ. 주민참여의 방법 = 181

  제3절 주민참여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 189

   Ⅰ. 주민참여의 현황과 문제점 = 189

   Ⅱ. 주민참여의 제약요인 = 192

   Ⅲ. 주민참여의 활성화 = 197

제3편 지방정부의 관리와 공급체제

 제1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본질 = 209

   Ⅰ. 지방자치단체의 개념 = 209

   Ⅱ. 기능배분의 방식 = 210

   Ⅲ. 지방자치단체의 특질 = 210

   Ⅳ.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212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 = 218

   Ⅰ. 기관통합형 = 219

   Ⅱ. 기관대립형 = 223

   Ⅲ. 절충형 = 233

  제3절 지방의회 = 236

   Ⅰ. 지방의회의 의의 = 236

   Ⅱ. 지방의회의 권한 = 236

   Ⅲ. 지방의회의 조직 및 운영 = 241

  제4절 집행기관 = 245

   Ⅰ. 집행기관의 의의 = 245

   Ⅱ. 자치단체장의 권한 = 248

   Ⅲ. 자치단체장의 행정기관 = 250

   Ⅳ. 교육학예에 관한 기관 = 252

  제5절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의 장과의 관계 = 255

   Ⅰ. 의회의 자치단체장에 대한 관계 = 255

   Ⅱ. 자치단체장의 의회에 대한 관계 = 256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능

  제1절 지방행정기능의 본질 = 259

   Ⅰ. 지방행정기능의 개념 = 259

   Ⅱ. 지방행정기능의 종류 = 260

   Ⅲ. 지방행정기능의 내용 = 263

  제2절 지방행정의 기능배분 현황 = 274

   Ⅰ. 세출구조별 기능배분 = 274

   Ⅱ. 사무성격별 기능배분 = 275

   Ⅲ. 기능배분의 문제점 = 277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능 정립 = 281

   Ⅰ. 행정기능의 방향모색 = 281

   Ⅱ. 행정기능배분의 발전방향 = 285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와 자치구역

  제1절 계층구조의 본질 = 287

   Ⅰ. 계층구조의 개념 = 287

   Ⅱ. 단충제와 이층제의 장·단점 = 288

   Ⅲ. 단층제와 이층제의 상호관계 = 292

   Ⅳ. 외국의 계층구조 = 294

  제2절 자치구역의 본질 = 301

   Ⅰ. 자치구역의 개념 = 301

   Ⅱ. 자치구역의 관련성 = 302

   Ⅲ. 구역설정기준에 관한 학설 = 304

  제3절 계층구조와 자치구역의 현황 = 310

   Ⅰ. 계층구조의 실태와 문제점 = 310

   Ⅱ. 자치구역의 실태와 문제점 = 314

  제4절 계층구조와 자치구역의 발전방향 = 322

   Ⅰ. 개편 필요성과 기준 = 322

   Ⅱ. 계층구조와 자치구역 정립 = 325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구와 공무원제도

  제1절 지방행정기구의 본질 = 327

   Ⅰ. 행정기구의 의의 = 327

   Ⅱ. 외국의 지방행정기구 = 328

  제2절 지방공무원제도의 본질 = 346

   Ⅰ. 지방공무원의 개념 = 346

   Ⅱ. 지방공무원의 종류 = 347

   Ⅲ. 기능배분의 방식 = 347

  제3절 지방행정기구와 공무원현황 = 348

   Ⅰ. 지방행정기구의 실태 = 348

   Ⅱ. 지방공무원의 실태 = 357

   Ⅲ. 지방행정기구와 공무원제도의 문제점 = 359

  제4절 지방행정기구와 공무원제도의 발전방향 = 361

   Ⅰ. 개편의 필요성과 기준 = 361

   Ⅱ. 지방행정기구와 공무원제도의 발전방향 = 362

 제5장 광역행정체제

  제1절 광역행정의 본질 = 365

   Ⅰ. 광역행정의 개념 = 365

   Ⅱ. 광역도시권 형성의 요인 = 366

   Ⅲ. 광역행정의 촉진요인 = 368

   Ⅳ. 광역행정체제의 유형 = 369

  제2절 광역행정처리 현황 = 376

   Ⅰ. 구역재편성 방법 = 376

   Ⅱ. 사무위탁제도 = 377

   Ⅲ. 행정협의회제도 = 380

   Ⅳ. 지방자치단체조합 = 385

   Ⅴ. 광역행정의 문제점 = 390

  제3절 광역행정체제의 발전방향 = 393

   Ⅰ. 현행제도의 개선방안 = 393

   Ⅱ. 광역행정체제의 모색 = 398

제4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과 경영관리

 제1장 지방재정제도와 지방예산

  제1절 지방재정의 본질 = 407

   Ⅰ. 지방재정의 개념 = 407

   Ⅱ. 지방재정의 특징 = 408

   Ⅲ. 지방재정의 기능 = 412

  제2절 지방재정의 새입·세출구조 = 415

   Ⅰ. 지방재정의 세입구조 = 415

   Ⅱ. 지방재정의 세출구조 = 419

  제3절 지방재정의 현황 = 422

   Ⅰ. 중앙정부의 재정규모 = 422

   Ⅱ. 중앙재정과 지방재정의 비교 = 424

   Ⅲ. 지방정부의 재정규모 = 426

   Ⅳ. 지방재정의 문제점 = 428

   Ⅴ. 지방세의 발전방향 = 432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제1절 지방세 = 435

   Ⅰ. 지방세의 의의 = 435

   Ⅱ. 지방세의 원칙 = 436

   Ⅲ. 지방세의 체계 = 438

   Ⅳ. 지방세제의 문제점 = 440

   Ⅴ. 지방세의 발전방향 = 442

  제2절 세외수입 = 447

   Ⅰ. 세외수입의 의의 = 447

   Ⅱ. 세외수입의 특질 = 449

   Ⅲ. 세외수입의 실태 = 450

   Ⅳ. 세외수입의 문제점 = 452

   Ⅴ. 세외수입의 발전방향 = 456

  제3절 지방채 = 461

   Ⅰ. 지방채의 의의 = 461

   Ⅱ. 지방채의 특질 = 462

   Ⅲ. 지방채의 기능 = 464

   Ⅳ. 지방채 운용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465

  제4절 지방교부세 = 467

   Ⅰ. 지방교부세의 의의 = 467

   Ⅱ. 지방교부세의 기능 = 468

   Ⅲ. 지방교부세의 종류 = 470

   Ⅳ. 지방교부세의 문제점 = 471

   Ⅴ. 지방교부세의 발전방향 = 473

  제5절 국고보조금 = 474

   Ⅰ. 국고보조금의 의의 = 474

   Ⅱ. 국고보조금의 종류 = 475

   Ⅲ. 국고보조금의 문제점 = 478

   Ⅳ. 국고보조금의 발전방향 = 479

  제6절 지방양여금 = 480

   Ⅰ. 지방양여금의 의의 = 480

   Ⅱ. 지방양여금의 재원과 대상사업 = 482

   Ⅲ. 지방양여금의 문제점 = 483

   Ⅳ. 지방양여금의 발전방향 = 485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지출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정 = 487

   Ⅰ. 예산의 편성 = 488

   Ⅱ. 예산의 심의 = 491

   Ⅲ. 예산의 집행 = 493

   Ⅳ. 결산 = 498

  제2절 지방예산제도의 개혁방안 = 501

   Ⅰ. 현행 지방예산제도의 문제점 = 501

   Ⅱ. 기획예산제도의 도입·확대 = 505

   Ⅲ. 영기준예산제도의 도입·확대 = 510

   Ⅳ. 자본예산제도의 도입·확대 = 514

  제3절 합리적 재정지출방안 = 521

   Ⅰ. 지방재정의 계획적 운용 = 521

   Ⅱ. 경비지출의 효율화 = 524

   Ⅲ. 투자심사분석기법의 사례 = 528

 제4장 지방재정운용과 경영관리

  제1절 지방재정운용전략 = 533

   Ⅰ. 재정운용의 정책적 과제 = 533

   Ⅱ. 재정운용제도의 기본적 틀 = 535

   Ⅲ. 재정운용 개선을 위한 전략 = 537

   Ⅳ. 계획적 재정운용제도 = 544

  제2절 중기재정계획제도 = 545

   Ⅰ. 중기재정계획제도의 의의 = 545

   Ⅱ. 중기재정계획의 기능 = 550

   Ⅲ. 중기재정계획의 기대효과와 제약성 = 552

   Ⅳ. 중기재정계획의 수립방법 = 556

  제3절 지방공기업 = 558

   Ⅰ. 지방공기업의 의의 = 558

   Ⅱ. 지방공기업의 범위 = 559

   Ⅲ. 지방공기업의 경영형태 = 561

   Ⅳ. 지방공기업의 현황 = 563

   Ⅴ. 지방공기업의 문제점 = 566

   Ⅵ. 지방공기업의 발전방향 = 569

  제4절 제3섹터 = 574

   Ⅰ. 제3섹터의 개념 = 574

   Ⅱ. 제3섹터의 필요성 = 576

   Ⅲ. 제3섹터의 유형 = 577

   Ⅳ. 제3섹터의 현황 = 579

   Ⅴ. 제3섹터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 580

참고문헌 = 585

부록 = 599

색인 = 6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