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형성
제1장 사회학적 상상력과 실천적 관심 = 17
1. 사회학과 상상력 = 17
1) 일상생활과 사회학적 상상력 = 17
2) 사회란 무엇인가 = 19
3) 사회학적 상상력의 세 가지 형태 = 21
2. 사회학적 연구의 관심과 방법들 = 25
1) 사회학의 연구대상 = 25
2) 사회학적 연구에서 이론적 관심과 가치판단 = 27
3) 구조와 행위, 거시와 미시 = 29
4) 사회의 다양한 영역들 = 31
3. 사회학적 연구에서 진보적 관심 = 32
1) 서양 근대사회와 맑스의 사회학 = 32
2) 이론과 실천 = 33
3) 진보의 사회학 = 34
4. 사회학의 연구방법들 = 36
1) 사회과학의 객관성과 가치판단 = 36
2) 사회학적 연구의 세 가지 입장들 = 36
제2장 서양 근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흐름 = 41
1. 사회학의 성립 = 41
1) 서양 근대사회의 태동과 '시민' '사회' = 41
2) 서양 계몽시대 사상과 과학주의 정신 = 43
2. 사회학 고전이론의 흐름 = 46
1) 콩트 = 46
2) 맑스 = 48
3) 뒤르켐 = 49
4) 베버 = 50
3. 현대 서구의 사회학과 한국사회학 = 52
1) 유럽과 미국의 사회학 = 52
2) 미국의 사회학 = 53
3) 유럽의 사회학 = 54
4. 한국의 사회학 = 55
제2부 문화와 지배
제3장 문화와 일상생활의 변화 = 61
1. 문화란 무엇인가 = 61
1)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 = 62
2) 문화,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 64
3) 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 = 67
4) 문화와 불평등의 재생산 = 68
2. 자본주의와 문화 = 71
1) 자본주의와 일상생활의 변화 = 71
2) 자본주의와 문화 및 여가의 상품화 = 74
3) 자본주의와 대중문화 = 76
3. 현대사회의 문화변동과 정체성 = 79
1) 소비사회와 문화 = 79
2) 신세대와 정체성 변화 = 82
3) 현대사회와 포스트모던 문화현상들 = 85
4. 문화적 평등과 문화적 민주화 = 86
제4장 사회화와 일탈, 그리고 지배 = 89
1. 사회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 89
1) 평생의 상호작용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 89
2) 사회화에 관한 이론적인 쟁점들 = 91
2. 보편적 과정에 주목하는 사회화 이론들 = 94
1) 쿨리의 '영상자아'이론 = 94
2)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 95
3) 사회통합의 사회화 이론들 = 96
3. 성적 억압과 성격 형성에 주목하는 사회화 이론 = 97
1) 성적 억압과 성격 형성 = 97
2)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초자아 = 100
4. 사회화의 차별적 성격에 주목하는 이론들 = 103
1) 프롬과 리즈먼의 '사회적 성격'이론 = 105
2)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이론 = 108
5. 사회화와 일탈 = 110
1) 일탈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11
2) '무규범상태'와 일탈 = 112
3) '차별교제'이론과 '낙인'이론 = 114
6. 갈등과 지배의 장으로서의 사회화 = 117
제5장 성, 여성, 가족 = 121
1. 성이란 무엇인가 = 121
1)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 = 121
2) 성적 특성과 성행위 = 122
2. 성별 차이와 지배 = 125
1) 여성과 성차별 = 125
2) 성차별과 여성문제를 보는 시각들 = 126
3. 결혼, 가족, 그리고 불평등 = 129
1) 가족의 기능 및 형태의 변화 = 129
2) 가부장제와 가족관계의 불평등 = 131
3) 성별 분업과 가사노동의 의미 변화 = 133
4. 경제활동에서의 성차별 = 137
1)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 137
2) 노동시장에서의 성적 불평등 = 138
3) 평등한 기회, 평등한 노동 = 142
5. 여성과 성문화 = 143
1) 이중적 성문화: 성문화는 변하고 있는가 = 143
2) 성희롱, 성폭력, 강간 = 145
3) 자본주의와 성 상품화 = 147
6. 평등한 사회를 향하여 = 150
제6장 대중매체와 이데올로기 = 155
1. 대중매체의 시대 = 155
2. 대중매체의 위상과 기능 = 156
1) 대중매체의 위상 = 156
2) 대중매체의 기능 = 157
3.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대중매체와 지배 = 159
1)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159
2) 대중매체와 세력관계 = 160
3) 대중매체와 이데올로기 = 162
4. 대중매체의 역사적 형성과 세계화 = 166
1) 서구사회에서의 대중매체의 형성과정 = 166
2) 한국에서의 대중매체의 형성과 전개 = 169
3) 대중매체의 세계화와 문화제국주의 = 173
5. 대중매체의 민주화를 위하여 = 175
제3부 사회구조와 일상생활
제7장 사회불평등과 계층, 계급 = 183
1. 사회불평등을 바라보는 관점: 계층론과 계급론 = 183
1) 사회적 불평등의 양상 = 183
2) 계층론과 계급론의 비교 = 184
3) 기능주의 계층이론과 베버의 이론 = 186
4) 맑스의 계급이론 = 188
2. 사회불평등과 사회계층 = 189
1) 사회계층의 지표 = 189
2) 계층화의 결과 = 190
3) 사회이동의 개념 = 191
4) 사회이동의 유형과 이동거리 = 192
3. 사회불평등과 사회계급 = 193
1)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 구조 = 193
2)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계급 = 196
4. 사회불평등의 양상과 재생산 = 198
1) 교육과 계급·계층 = 198
2) 소비와 계급·계층 = 198
3) 취향과 계급·계층 = 201
5. 한국사회의 계급과 계층 = 202
1) 한국사회 계급구성의 변화 = 202
2) 한국사회의 계층분석 = 203
제8장 정치, 국가와 민주주의 = 207
1. 정치란 무엇인가 = 207
2. 서양 근대사회와 정치사상의 형성 = 208
1) 고전 정치사상 = 208
2) 맑스의 계급국가론 = 210
3) 베버의 지배사회학 = 211
3. 국가에 관한 이론들 = 213
1) 국가란 무엇인가 = 213
2) 국가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 = 214
4. 민주주의의 이론과 역사 = 216
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216
2)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 = 217
3) 민주적 권리의 확대와 사회민주주의 = 219
4) 신자유주의와 새로운 민주주의의 이론 = 221
5. 한국의 국가와 민주주의 = 223
1) 주변부국가와 한국의 국가 = 223
2) 한국의 민주주의 = 225
제9장 노동과 노동과정 = 231
1. 노동이란 무엇인가 = 231
2.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노동계약 = 233
3. 분업과 노동과정의 역사적 전개 = 235
1) 아담 스미스의 분업론 = 235
2) 맑스의 소외론 = 238
3)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 240
4) 테일러주의와 포드주의 = 242
5) 테일러주의의 극복을 위한 대안 = 245
4. 한국의 산업화와 테일러주의 = 247
1) 한국의 테일러주의 = 247
2) 테일러주의의 문제 = 249
제10장 도시와 지역사회, 그리고 공간 = 253
1. 도시와 도시화 = 253
1) 도시란 무엇인가 = 253
2) 도시화 = 254
2. 도시의 문제 = 256
1) 주택문제 = 256
2) 교통문제 = 259
3) 환경문제 = 260
3. 지역간 불균등의 문제 = 262
1) 도시와 농촌 = 262
2) 지역간의 경제격차 = 263
3) 수도권의 인구집중 = 266
4) 지역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 268
4. 도시공간의 사회학 = 272
1) 고전적 도시사회학 = 272
2) 인간생태학 = 273
3) 도시관리주의 = 275
4) 정치경제학 = 277
5) 새로운 도시이론의 전망 = 279
제4부 사회문제와 사회운동
제11장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 285
1. 시민사회의 부활 = 285
2.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 287
1) 유럽 시민사회의 형성 = 288
2) 시민사회 개념의 발전 = 289
3)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 293
3. 사회운동 = 294
1) 사회운동이란 무엇인가 = 295
2) 사회운동은 왜 일어나고 발전하는가 = 296
3) 구사회운동과 신사회운동 = 297
4. 한국의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 299
1) 한국의 시민사회: 무정형의 시민사회에서 시민사회의 분화로 = 299
2) 한국의 사회운동 = 301
5. 새로운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 308
제12장 환경위기와 녹색대안 = 313
1. 현대사회와 환경문제 = 313
1) 새로운 사회문제로서의 환경문제 = 313
2) 사회학과 환경문제 = 314
3) 환경문제와 근대성의 위기 = 316
4) 환경문제, 민주주의, 경제정의 = 318
2. 환경문제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접근 = 320
1) 종교문화와 환경문제 = 320
2) 과학기술과 환경문제 = 321
3) 인구와 환경문제 = 321
4) 지속적 경제성장과 환경문제 = 322
5) 소비사회와 환경문제 = 322
6) 세계체제와 환경제국주의 = 323
3. 환경오염의 피해자와 환경운동 = 323
1) 환경오염의 피해구조 = 323
2) 환경운동의 발생 = 325
4. 생태주의 패러다임과 환경문제에 대한 담론 = 327
1) 심층생태주의 = 330
2) 생태사회주의 = 330
3) 환경관리주의 = 331
4) 지속가능한 개발론 = 332
5. 지구환경 위기와 세계시민의식 = 332
6. 환경 선진국을 향하여 = 334
제13장 민족과 통일문제 = 337
1. 민족과 민족문제 = 337
2. 민족과 민족주의 = 338
1)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이론 = 339
2) 민족주의에 대한 접근방법 = 341
3) 제3세계의 민족주의 = 343
4) 세계화 시대의 민족주의 = 346
3. 한국의 민족문제: 분단과 통일 = 347
1) 해방의 민족사적 자리매김 = 348
2) 분단의 유산과 비용 = 350
3) 북한사회의 이해 = 350
4. 민족의 통일을 위하여 = 355
제5부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학
제14장 세계화란 무엇인가 = 361
1. 세계화의 구조와 동학 = 361
1) 세계화의 개념 = 362
2) 세계화와 지역화 = 363
2. 세계화와 국민국가 = 365
1) 국민국가를 바라보는 시각들 = 365
2) 세계화의 양면성 = 370
3. 세계화와 문화적 정체성 = 372
1) 근대화론과 문화제국주의론 = 372
2) 보편적인 지구문화는 존재하는가 = 373
3) 오리엔탈리즘과 문화의 세계화 = 375
4) 문화의 세계화와 민족문화 = 376
4. 세계화와 한국사회 = 379
제15장 정보사회와 지식/권력 = 383
1. 정보사회의 지식과 권력 = 383
1) 정보사회의 기원과 성격 = 384
2) 베니저의 '제어혁명'론 = 384
3) 웹스터의 '사회적 테일러주의'론 = 385
4) 새로운 자유를 확보할 출구 = 387
2. 뉴미디어와 정보사회 = 388
1) 정보통신산업의 재편성과 융합 = 389
2) 뉴미디어의 앞날 = 393
3. 전자민주주의의 허상 = 395
1) 표현의 자유와 사이버 공간 = 396
2) 공적 접근과 전자민주주의 = 398
4. 정보화와 사이버 공간 = 400
1)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현실 = 400
2) 정보화와 새로운 계급 = 402
3) 자본의 지배를 넘어서 = 403
제16장 대안사회를 향한 사회학의 전망 = 407
1. 위기 속의 사회학 = 407
2. '사회'의 새로운 지평 = 409
3. 새로운 사회문제와 공동체의 와해 = 412
1) 빈곤 = 412
2) 인권의 위협 = 414
3) 지구적 사회문제들과 새로운 행위자들 = 416
4. 사회주의, 자본주의 및 새로운 인간공동체 = 419
1)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 419
2) 새로운 생활공동체의 전망 = 421
3) 가족의 재구조화 = 422
5. 사회학의 진로 = 424
1) 국가간 질서와 사회학 = 424
2) 근대의 극복과 사회학 = 425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