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순수법학

순수법학 (Loan 15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elsen, Hans, 1881-1973 변종필, 卞鍾弼, 1963- 최희수
Title Statement
순수법학 / 한스 켈젠 지음 ; 변종필 ; 최희수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吉安社,   1999.  
Physical Medium
659 p. ; 23 cm.
Varied Title
Reine Rechtslehre : mit einem Anhang, Das Problem der Gerechtigkeit
ISBN
8987561844
General Note
색인수록  
정의의 문제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47864
005 20230531113335
007 ta
008 991020s1999 ulk 001a kor
020 ▼a 8987561844 ▼g 93360 : ▼c \2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49 1 ▼l 111135394 ▼l 111135395 ▼l 111135396 ▼l 111233230 ▼f 법학
082 0 4 ▼a 340.1 ▼2 21
090 ▼a 340.1 ▼b 1999c
100 1 ▼a Kelsen, Hans, ▼d 1881-1973 ▼0 AUTH(211009)18878
245 1 0 ▼a 순수법학 / ▼d 한스 켈젠 지음 ; ▼e 변종필 ; ▼e 최희수 [공역].
246 1 9 ▼a Reine Rechtslehre : mit einem Anhang, Das Problem der Gerechtigkeit
260 ▼a 서울 : ▼b 吉安社, ▼c 1999.
300 ▼a 659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0 ▼a 정의의 문제
700 1 ▼a 변종필, ▼g 卞鍾弼, ▼d 1963- ▼0 AUTH(211009)48716
700 1 ▼a 최희수
950 0 ▼b \20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23323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8-09-2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510708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510708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135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1123323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8-09-2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510708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1999c Accession No. 1510708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한스 켈젠(지은이)

1881-1973.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1881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1973년 오린다(캘리포니아)에서 사망했다. 1901년부터 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1906년에 박사학위를, 1911년에 국가법과 법철학 교수자격을 취득했다. 1918년부터 1930년까지 빈 대학 법과대학의 국가법, 행정법 및 법철학 담당교수, 1930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 쾰른 대학 법과대학의 국제법 담당교수를 역임했다. 나치에 의해 강제 해직당한 이후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스위스 제네바와 프라하 대학에서 국제법을 가르쳤으며, 1940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1942년까지 하버드 로스쿨 교수, 1942년부터 1952년까지 버클리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를 지냈다.

변종필(옮긴이)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형법, 형사소송법, 법철학을 강의하고 있다. 사법시험 등 국가고시 출제위원과 한국비교형사법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형사소송의 진실개념��, '법치국가와 시민불복종��(공저), '법치국가와 형법��(공저), '형법연습��(공저), '형법��(객관식, 공저), '형법해석과 논증��, '세상을 지키는 순수한 법의 힘��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순수법학��(공역), '법철학의 기본개념들��(공역), '법적 논증 이론��(공역), '규범․인격․사회��(공역), '회복적 정의의 비판적 쟁점��이 있다. 논문으로는 「결과적 가중범에서 기본범죄가 미수인 경우의 법해석」, 「형벌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형법해석과 정당화」, 「법의 효력과 형법의 장소적 효력범위」, 「사회윤리와 정당화사유」 등 다수가 있다.

최희수(옮긴이)

<순수 법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3

제1판 서문 = 7

제2판 서문 = 13

Ⅰ. 법과 자연

 1. "순수성" = 23

 2. 행위와 그 법적 의미 = 24

 3. 행위의 주관적 의미와 객관적 의미 ; 의미에 대한 자기해석 = 26

 4. 규범 = 27

  a) 해석양식으로서의 규범 = 27

  b) 규범과 규범창조 = 28

  c) 규범의 효력과 적용범위 = 36

  d) 적극적 규율과 소극적 규율 ; 명령, 수권, 허용 = 43

  e) 규범과 가치 = 45

 5. 사회질서 = 57

  a) 제재를 확정하는 사회질서 = 57

  b) 제재 없는 사회질서가 있는가? = 61

  c) 초월적 제재와 사회내재적 제재 = 63

 6. 법질서 = 66

  a) 법 : 인간행위의 질서 = 66

  b) 법 : 강제질서 = 69

  c) 규범적 강제질서로서의 법. 법공동체와 "강도집단" = 85

  d) 제재 없는 법의무? = 94

  e) 비독립적 법규범 = 99

Ⅱ. 법과 도덕

 7. 사회규범으로서의 도덕규범 = 109

 8. 내적 행위를 규율하는 도덕 = 111

 9. 강제의 성격 없는 실정질서로서의 도덕 = 115

 10. 도덕의 일부로서의 법 = 116

 11. 도덕가치의 상대성 = 116

 12. 법과 도덕의 분리 = 120

 13. 도덕에 의한 법의 정당화 = 123

Ⅲ. 법과 과학

 14. 법학의 대상으로서의 법규범 = 129

 15. 정적 법이론과 동적 법이론 = 130

 16. 법규범과 법명제 = 130

 17. 인과과학과 규범과학 = 137

 18. 인과관계와 귀속 : 자연법칙과 법적 법칙 = 139

 19. 원시적 사유에서의 귀속의 원칙 = 148

 20. 응보원칙으로부터 인과원칙의 발생 = 151

 21. 인과적 사회과학과 규범적 사회과학 = 152

 22. 인과원칙과 귀속원칙의 차이 = 158

 23. 의사자유의 문제 = 160

 24. 인간의 행위와는 다른 사실들 : 사회규범의 내용 = 174

 25. 정언규범 = 175

 26. 당위의 거부 : "이데올로기"로서의 법 = 178

Ⅳ. 법정태학

 27. 제재 : 불법과 불법효과 = 189

  a) 국내법상의 제재와 국제법상의 제재 = 189

  b) 불법(범죄) : 법의 부정이 아니라 법의 조건 = 192

 28. 법의무와 책임 = 198

  a) 법의무와 제재 = 198

  b) 법의무와 당위 = 201

  c) 책임 = 204

  d) 개별책임과 집단책임 = 206

  e) 행위책임과 결과책임 = 208

  f) 배상의무 = 209

  g) 결과책임으로서의 집단책임 = 211

 29. 주관적 권리 : 권한과 수권 = 212

  a) 권리와 의무 = 212

  b) 대인권과 물권 = 218

  c) 법적으로 보호된 이익으로서의 주관적 권리 = 221

  d) 법적 권능으로서의 주관적 권리 = 23

  e) (관계당국의) 적극적인 허가로서의 주관적 권리 = 228

  f) 정치적 권리 = 229

 30. 행위능력 ; 권한 ; 기관성 = 238

  a) 행위능력 = 238

  b) 권한 = 242

  c) 기관성 = 243

 31. 권리능력 ; 대리 = 254

 32. 법률관계 = 262

 33. 권리의 주체 - 인(人) = 268

  a) 권리주체 = 268

  b) 인 : 자연인 = 273

  c) 법인(단체) = 276

  d) 행위주체로서의 법인 = 279

  e) 의무와 권리의 주체로서의 법인 = 281

  f) 법학의 보조개념으로서의 법인 = 296

  g) 객관적 법과 주관적 권리의 이원론의 해체 = 297

Ⅴ. 법동태학

 34. 규범질서의 효력근거 : 근본규범 = 301

  a) 효력근거에 관한 물음의 의미 = 301

  b) 정적 원리와 동적 원리 = 303

  c) 법질서의 효력근거 = 308

  d) 신험적·논리적 전제로서의 근본규범 = 312

  e) 법질서의 논리적 통일성과 규범충돌 = 319

  f) 정당성과 유효성 = 324

  g) 효력과 실효성 = 327

  h) 국제법의 근본규범 = 335

  i) 근본규범이론과 자연법론 = 339

  j) 자연법의 근본규범 = 342

 35. 법질서의 단계구조 = 344

  a) 헌법 = 344

  b) 입법과 관습 = 348

  c) 법률과 명령 = 354

  d) 실체법과 절차법 = 355

  e) 이른바 "법원" = 358

  f) 법창조, 법적용 및 법준수 = 360

  g) 재판 = 363

  h) 법률행위 = 389

  i) 행정 = 397

  j) 상이한 단계의 규범들 상호간의 충돌 = 402

  k) 무효와 폐지가능성 = 416

Ⅵ. 법과 국가

 36. 법형식과 국가형식 = 421

 37. 공법과 사법 = 422

 38. 공·사법 이원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 424

 39. 전통적인 국가·법 이원론 = 427

 40. 국가·법 이원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 428

 41. 국가와 법의 동일성 = 429

  a) 법질서로서의 국가 = 429

  b) 법인으로서의 국가 = 435

  c) 국가의 이른바 자기의무부담 ; 법치국가 = 463

  d) 집중화와 탈집중화 = 464

  e) 법·국가 이원론의 해체 = 470

Ⅶ. 국가와 국제법

 42. 국제법의 본질 = 475

  a) 국제법의 법적 성격 = 475

  b) 원시적 법질서로서의 국제법 = 478

  c) 국제법의 단계구조 = 479

  d) 국제법에 의한 단순히 간접적인 의무부과와 권한부여 = 480

 43. 국제법과 국내법 = 485

  a) 국제법과 국내법의 통일성 = 485

  b) 국제법과 국내법 사이의 충돌의 부존재 = 488

  c) 양 규범체계 상호간의 관계 = 490

  d) 일원론적 구상의 불가피성 = 492

 44. 법관과 세계관 = 505

Ⅷ. 해석

 45. 해석의 본질 : 유권해석과 비유권해석 = 513

  a) 법적용행위의 상대적 불확정성 = 514

  b) 법적용행위의 의도된 불확정성 = 515

  c) 법적용행위의 의도되지 않은 불확정성 = 515

  d) 적용대상인 법 : 다양한 적용가능성을 내포하는 테두리 = 516

  e) 이른바 해석방법 = 518

 46. 인식행위 또는 의사행위로서의 해석 = 519

 47. 법학적 해석 = 522

부록 : 정의의 문제

 Ⅰ. 정의의 규범들 = 527

 Ⅱ. 자연법론 = 588

색인

 사항색인 = 645

 인명색인 = 65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양천수 (2022)
박주영 (2023)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