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서양 시의 이해

동.서양 시의 이해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병한, 李炳漢, 1933-
서명 / 저자사항
동.서양 시의 이해 / 이병한 외편.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형태사항
411 p. ; 19 cm.
총서사항
대학교양총서 ;78
ISBN
8970963774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47644
005 20221117140120
007 ta
008 991019s1999 ulk AK 000ap kor
020 ▼a 8970963774 ▼g 93890 : ▼c \9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a chi ▼a ger
049 1 ▼l 111137339 ▼l 111137340 ▼l 111137341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79 ▼c 78
245 1 0 ▼a 동.서양 시의 이해 / ▼d 이병한 외편.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 출판부, ▼c 1999.
300 ▼a 411 p. ; ▼c 19 cm.
440 0 0 ▼a 대학교양총서 ; ▼v 78
700 1 ▼a 이병한, ▼g 李炳漢, ▼d 1933- ▼0 AUTH(211009)44917
950 0 ▼b \9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79 78 등록번호 1111373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79 78 등록번호 1111373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089.97 1979 78 등록번호 111137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병한(엮은이)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중국고전시 및 문학이론을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漢詩批評體例의 연구》, 《中國古典詩學의 이해》 외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하였고, 詩學 전반에 걸쳐 많은 논문을 저술하였다. 2014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자연

 오세영

  산유화(山有花) / 김소월 = 3

  윤사월(閏四月) / 박목월 = 5

  호수(湖水)는 조용히 있고 싶어한다 / 이수익 = 7

  그 먼 나라를 아십니까 / 신석정 = 9

 심재기

  가야산에 부처(題伽倻山) / 최치원 = 12

  산 속에 살며(山居) / 이인로 = 13

  늦가을 국화를 노래함(詠殘菊) / 윤 증 = 14

  매를 노래함(鷹) / 이서주 =16

 이병한

  바다로 나아가니(人海) / 장열 = 17

  여산폭포를 바라보다(望廬山瀑布) / 이백 = 20

  이른 매화(早梅) / 장 위 = 22

  가을의 노래(秋訶) / 유우석 = 24

  연 따는 아가씨(采蓮曲) / 왕창령 = 25

  하늘에서(夢天) / 이 하 = 27

 류종목

  무산일단운 - 박연폭포 - (巫山一段雲-朴淵瀑布-) / 이제현 = 30

  소군원 - 연못 위의 소낙비 - (昭君怨-詠荷上雨-) / 양만리 = 32

 이영주

  죽리관(竹里館) / 왕 유 = 34

  산 속 집의 가을 저녁(山居秋溟) / 왕 유 = 36

 이상옥

  이니스프리 섬(The Lake Isle of Innisfree) / 예이츠 = 39

 김명렬

  구름처럼 외로이 나 방황하였네(I Wandered Lonely As a Cloud) / 워즈워즈 = 42

 송동준

  오월의 축제(Maifest) / 괴 테 = 46

  보리수(Der Lindenbaum) / 뮐 러 = 52

  이른 봄(Vorfruhling) / 호프만스탈 = 56

  표범-파리 식물원에서(Der Panther-Im Jardin des Plantes, Paris) / 릴 케 = 62

 황윤석

  호수에서(Auf dem See) / 괴 테 = 66

  연꽃(Die Lotosblume) / 하이테 = 69

  여름밤(Die Sommermacht) / 클롭슈톡 = 72

 오생근

  비둘기들(Les Colombes) / 고티에 = 75

  씨뿌리는 계절, 저녁에(Saison des Semailles, Le Soir) / 위 고 = 78

 김춘진

  성십자일 아침의 발라드(Balada de la Manana de la Cruz) / 히메네스 = 82

  소리아의 들(Campos de Soria) / 마차도 = 86

  고독(Soledades) / 공고라 = 88

사랑

 부활(復活) / 서정주 = 93

 추억 / 조병화 = 95

 낙화 / 이형기 = 97

 5월 / 오세영 = 99

 심재기

  님 그리는 시(戀君詩) / 정철 = 101

  가을밤(秋夜) / 이옥봉 = 103

  가을비(秋雨) / 혜정 = 104

  가을은 깊은데(秋深) / 억춘 = 105

  송별(送別) / 난향 = 106

  이별(離別) / 일지홍 = 107

  규원(閨怨) / 허난설헌 = 108

 이병한

  강릉에서 님 그리워(江陵愁望有寄) / 어현기 = 110

 류종목

  보살만(菩薩蠻) / 무명씨 = 112

  답사행(踏莎行) / 구양수 = 115

 이영주

  여인의 시름(閨怨) / 왕창령 = 117

  봄 시름(春怨) / 유방평 = 119

 이상옥

  우리 두 사람 헤어지던 날(When We Two Parted) / 바이런 = 121

  첫사랑(First Love) / 클레어 = 126

  벼룩(The Flea) / 단 = 130

 김명렬

  포르투갈어(語)로부터 번역한 소네트(From Sonnets from the Portuguese) / E. 브라우닝 = 134

  노래(Song) / 윌러 = 137

  깊은 맹세(A Deep-Sworn Vow) / 예이츠 = 140

 송동준

  '밤의 찬가 5'에서(Aus: Hymnen an die Nacht 5) / 노발리스 = 142

  아마릴리스(Amaryllis) / 뤼케르트 = 146

  트리스탄(Tristan) / 플라텐 = 149

 황윤석

  물레 짓는 여인의 노래(Der Spinnerin Lied) / 브렌타노 = 152

  조각난 반지(Das zerbrochene Ringlein) / 아이헨도르프 = 156

 오생근

  내일 새벽에(Demain des l'aube.....) / 위고 = 160

  여행에의 초대(L'invitation au Voyage) / 보들레르 = 162

  미라보 다리(Le Pont Mirabeau) / 아폴리네르 = 168

  사랑하는 여인(L'Amoureuse) / 엘뤼아르 = 172

 김춘진

  소네트(Soneto)23 / 가르실라소 = 175

삶과 죽음

 오세영

  유리창(琉璃窓) / 정지용 = 81

  풍장(風葬)1 / 황동규 = 182

  가을 저녁의 시(詩) / 김춘수 = 184

  생명(生命)의 서(書) / 유치환 = 186

 심재기

  황매화송(黃梅話頌) / 혜심 = 188

  한가로움을 즐기며(閑中自慶) / 충지 = 189

  죽지사(竹枝詞) 3수 / 이근수 = 190

  오도송(梧道頌) / 한용운 = 192

  제야(除夜) / 윤집 = 193

  심양의 감옥에서 아내(남씨)에게 (瀋獄奇內南氏) / 오달재 = 194

 이병한

  의만가사(擬挽歌辭) / 도연명 = 195

  눈벌판 위의 새 발자욱(和子由) 민池(懷舊) / 소식 = 198

  덧없는 영화(擬行路難) / 포조 = 200

 류종목

  보살만(菩薩蠻) / 위장 = 203

  무릉춘 - 늦봄 - (武陵春 - 春晩 - ) / 이청조 = 205

  청평악(淸平樂) / 황정견 = 207

 이영주

  떠도는 밤에 감회를 적다(旅夜書懷) / 두보 = 209

  강남에서 이구년을 만나다(江南逢李龜年) / 두보 = 211

  부용루에서 신점을 보내며(芙蓉樓送辛漸) / 왕창령 = 213

  여름 날 남정에서 신대를 그리워하며(夏日南亭懷辛大) / 맹호연 = 215

  파산 길에서 한 해 마지막 밤을 보내며(巴山道中除夜有懷) / 최도 = 218

 이상옥

  혈통과 지위의 영광(The Glories of Our Blood and State) / 셜리 = 221

  유명한 장군의 죽음에 대한 풍자적 만가(A Satirical Elegy on the Death of a Late Famous General) / 스의프트 = 225

  눈물, 하염없는 눈물(Tears, Idle Tears) / 테니슨 = 230

 김명렬

  노철학자의 마지막 말(Dying Speech of an Old Philosopher) / 랜더 = 234

  실성한 제인이 주교와 얘기하다(Crazy Jane Talks with the Bishop) / 예이츠 = 236

  소네트(Sonnet) 65 / 셰익스피어 = 239

 송동준

  모든 것 허무하도다(Es ist alles eitel) / 그리피우스 = 242

  나그네의 밤노래(Wandrers Nachtlied) / 괴테 = 245

  나그네의 밤노래(Ein Gleiches) / 괴테 = 246

  작은 과꽃 한 송이(Kleine Aster) / 벤 = 248

  아름다운 청춘(Schone Jugened) / 벤 = 251

 황윤석

  덧없는 아름다움(Verganglichkeit der Schonheit) / 호프만스◆UFFFD◆U다우 = 253

  운명의 여신들께(An die Parzen) / 휠덜린 = 256

  공자의 금언(Spruche des Konfuzius) / 실러 = 259

  여행(Reisen) / 벤 = 262

 오생근

  가을의 노래(Chant d'automne) / 보들레르 = 265

  취하십시요(Enivrez-vous) / 보들레르 = 268

 김춘진

  달의 발라드(Romance de la Luna, Luna) / 로르카 = 271

사회

 오생근

  걸 레 / 고은 = 279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 28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 283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 286

 심재기

  집에 와 보니(還家) / 이상적 = 288

  출정한 님을 사모하며(征歸怨) / 정몽주 = 90

  세상을 하직하며(辭世歌) / 황현 = 292

  대마도에 잡혀 와서(對馬島述懷) / 최익현 = 293

 이병한

  전원으로 돌아가다(歸圓田去) / 도연명 = 294

  은사를 찾아가다(招隱) / 좌사 = 298

 류종목

  심원춘-정유년 유감-(沁圓春-丁酉歲感事-) / 진인걸 = 301

  행향자-달밤의 명상-(行香子-述懷-) / 소식 = 306

 이영주

  두릉의 노인(杜陵受) / 백거이 = 309

 이상옥

  물방앗간(The Mill) / 로빈슨 = 313

  굴뚝 청소부(The Chimney Sweeper) / 블레이크 = 317

 김명렬

  쉬용성에서(On the Castle of Chillon) / 바이런 = 322

 송동준

  몰다우 강의 노래(Das Lied von der Moldau) / 브레히트 = 325

  지도자께서 모르고 계신 것(Was der Fuhrer nicht weiB) / 브레히트 = 328

 황윤석

  미뇽(Mignon) / 괴테 = 333

 오생근

  야간 통행금지(Couvre-Feu) / 엘뤼아르 = 336

  자유(Liberte) / 엘뤼아르 = 338

 김춘진

  탈속(脫俗)의 삶(Vida Retirada) / 레온 = 349

동·서양 시의 전통

 한시(漢詩)를 지금도 즐기는 이유 / 심재기 = 361

 중국 시 약사 / 이영주 = 367

 영국 시 약사 / 김명렬 = 374

 독일 시 약사 / 송동준 = 385

 프랑스 시 약사 / 오생근 = 393

 스페인 시의 전통 / 김춘진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