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과 교육론 : 이론과 실제

영어과 교육론 : 이론과 실제 (Loan 15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영숙 최연희 차경애 김은주 남지영 문영인
Title Statement
영어과 교육론 : 이론과 실제 / 김영숙 ...[등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1999.  
Physical Medium
719 p. : 삽도 ; 23 cm.
ISBN
8977355982
Bibliography, Etc. Note
서지와 색인 포함
000 00734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646412
005 20100806080928
007 ta
008 990929s1999 ulka 001a kor
020 ▼a 8977355982 ▼g 93740 : ▼c \2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3615 ▼l 111133616 ▼l 111133617 ▼l 111264489
082 0 4 ▼a 428.0071 ▼2 21
090 ▼a 428.0071 ▼b 1999b
245 0 0 ▼a 영어과 교육론 : ▼b 이론과 실제 / ▼d 김영숙 ...[등저].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1999.
300 ▼a 719 p. : ▼b 삽도 ; ▼c 23 cm.
504 ▼a 서지와 색인 포함
700 1 ▼a 김영숙
700 1 ▼a 최연희
700 1 ▼a 차경애
700 1 ▼a 김은주
700 1 ▼a 남지영
700 1 ▼a 문영인
950 0 ▼b \20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111336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112644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51094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510940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111336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112644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51094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1999b Accession No. 1510940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영숙(지은이)

*서울대 사범대 및 동 대학원 졸업 *하버드대 교육대학원에서 교육학 석.박사학위(Ed.M., Ed.D.) 취득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연구원 *하버드대 인문대학원.교육대학원.신학대학원에서 Teaching Fellow로 가르침 *현재 한글문화원 원장 *미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법정 통역관 *미국의 TV와 라디오 방송 및 수많은 강연회의 Panelist와 연사로 활동 *미국 이중언어교사자격시험 출제자문위원 *미국의 가장 권위 있는 출판사인 Simon & Schuster사 Pimsleur's American English for Korean의 공저자 겸 자문위원 *저서: 『미국 초등학교 교과서를 듣고 받아써 보자 1~6』, 『영어명문 BEST 20』, 『미국교과서로 배우는 본토영어 마스터 1~3』, 『BEST 초등영어사전』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언어와 언어 능력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1.1 언어의 의미 = 18

  1.1.1 언어의 본질 = 18

  1.1.2 언어에 대한 접근법 = 20

 1.2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24

 1.3 의사 소통 능력 = 26

  1.3.1 의사 소통 과정 = 27

  1.3.2 의사 소통 능력의 정의 및 속성 = 28

  1.3.3 의사 소통 능력 모형 = 34

  1.3.4 상황별 의사 소통 능력 = 48

 1.4 언어 능력과 영어 교육 = 49

제2장 언어 습득·학습론 / 김은주(이화여자대학교)

 2.1 언어 습득과 학습의 차이 = 57

 2.2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 58

 2.3 언어 학습 이론 = 62

  2.3.1 행동주의 이론 = 62

  2.3.2 생득론자 이론 = 63

  2.3.3 상호활동주의 이론 = 65

  2.3.4 모니터 가설 = 66

  2.3.5 중간 언어 = 68

  2.3.6 외국어 학습에서 모국어의 역할 = 72

  2.3.7 오류 분석 = 74

  2.3.8 결정적 시기 가설 = 75

 2.4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6

  2.4.1 인지적 요인 = 76

  2.4.2 정의적 요인 = 79

  2.4.3 사회·문화적 요인 = 84

 2.5 교실에서의 외국어 학습 = 86

 2.6 외국어 학습 전략 = 92

 2.7 학습 이론과 영어 교육 = 100

제3장 영어 교수법 / 남지영(한국산업기술대학교)

 3.1 영어 교수법의 개관 = 107

 3.2 영어 교수 이론의 접근법과 방법 = 110

 3.3 전통적 교수법 = 111

  3.3.1 문법 번역식 교수법 = 112

  3.3.2 직접식 교수법 = 115

  3.3.3 청화식 교수법 = 119

  3.3.4 상황적 언어 교수법 = 125

  3.3.5 인지적 교수법 = 129

 3.4 혁신적인 교수법 = 132

  3.4.1 침묵 교수법 = 134

  3.4.2 공동체 언어 학습법 = 137

  3.4.3 암시 교수법 = 139

  3.4.4 전신 반응 교수법 = 142

  3.4.5 자연적 접근법 = 145

 3.5 의사 소통 중심 접근법 = 151

  3.5.1 의사 소통 언어 교수법 = 152

  3.5.2 총체적 언어 접근법 = 159

  3.5.3 내용 중심 교수 = 161

  3.5.4 화제 중심 교수 = 163

  3.5.5 경험적 언어 학습 = 164

 3.6 교수법과 영어 교육 = 166

제4장 영어 교육과정 / 김은주(이화여자대학교)

 4.1 교육과정의 정의 = 175

 4.2 교육과정의 범위 및 구성 요소 = 177

  4.2.1 교수 요목의 특징 및 형태 = 178

  4.2.2 결과 중심 교수 요목 = 179

  4.2.3 과정 중심 교수 요목 = 182

 4.3 교육과정의 설계 = 186

 4.4 학생 중심 교육과정 = 189

 4.5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구성 = 191

  4.5.1 영어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 191

  4.5.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칙 = 192

  4.5.3 교육과정의 성격 = 194

  4.5.4 교육 목표 = 195

  4.5.5 내용 = 198

  4.5.6 교수·학습 방법 = 202

  4.5.7 평가 = 205

  4.5.8 제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비교 = 207

 4.6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 = 208

제5장 영어 교재론 / 김영숙(이화여자대학교)

 5.1 영어과 교육 목표와 교재 = 213

  5.1.1 영어과 교육 목표 = 213

  5.1.2 영어과 교수 요목의 변천 = 215

  5.1.3 영어과 교수 요목의 기저와 특징 = 218

 5.2 영어 교재 구성의 원리 = 222

  5.2.1 교재 내용의 선정 기준 = 222

  5.2.2 교재 내용의 조직과 배열 = 225

 5.3 영어 교재의 종류와 선택 = 228

  5.3.1 교과서론 = 228

  5.3.2 언어 기능 중심 교재 = 230

  5.3.3 의사 소통 중심 교재 = 235

  5.3.4 기타 교재 = 238

  5.3.5 교재의 선택과 개작 = 240

 5.4 교재 설계의 방향 = 244

제6장 영어 듣기·말하기 교육론 / 남지영(한국산업기술대학교)

 6.1 듣기와 말하기의 정의 및 성격 = 249

  6.1.1 듣기의 정의 및 성격 = 249

  6.1.2 말하기의 정의 및 성격 = 251

 6.2 듣기와 말하기 지도 접근법 = 253

  6.2.1 듣기와 말하기의 구성 요인 = 253

  6.2.2 듣기와 말하기의 목적 = 259

  6.2.3 이해 중심 접근법 = 261

  6.2.4 의사 소통 중심 접근법 = 262

 6.3 듣기와 말하기 지도 방안 = 268

  6.3.1 듣기 지도의 기본 원칙 = 268

  6.3.2 말하기 지도의 기본 원칙 = 273

  6.3.3 듣기와 말하기 수업 및 계획 = 277

  6.3.4 듣기 지도 방안 및 활동 = 279

  6.3.5 말하기 지도 방안 및 활동 = 291

제7장 영어 읽기 교육론 / 차경애(한국외국어대학교)

 7.1 읽기의 정의 및 목적 = 309

 7.2 선험 지식 이론과 독해 과정 모형 = 312

  7.2.1 선험 지식 이론 = 313

  7.2.2 독해에 관한 모형 = 314

 7.3 구조적 패턴 = 316

  7.3.1 구조적 패턴의 정의와 분류 = 316

  7.3.2 연결어구의 종류와 역할 = 317

 7.4 읽기 지도의 실제 = 319

  7.4.1 읽기 지도의 단계 = 319

  7.4.2 읽기 지도 시 유의 사항 = 321

  7.4.3 구체적인 수업 지도 방안 = 323

제8장 영어 쓰기 교육론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8.1 쓰기의 정의 및 성격 = 337

  8.1.1 쓰기 및 쓰기 과정 = 337

  8.1.2 쓰기의 목적 및 유형 = 341

  8.1.3 쓰기 능력 및 전략 = 345

  8.1.4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 = 350

  8.1.5 모국어 쓰기와 외국어 쓰기의 차이 = 353

 8.2 쓰기 지도 접근법 = 356

  8.2.1 쓰기 구성 요인 = 356

  8.2.2 쓰기 지도 접근법 = 358

 8.3 쓰기 지도의 기본 원리 = 371

  8.3.1 기본 지도 방안 = 371

  8.3.2 교사의 역할 = 374

 8.4 쓰기 지도 방안 = 376

  8.4.1 알파벳 익히기 = 376

  8.4.2 그림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 380

  8.4.3 통제 작문 = 381

  8.4.4 유도 작문 = 385

  8.4.5.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지도 = 388

  8.4.6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 393

  8.4.7 의사 소통 중심 활용 = 403

  8.4.8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406

  8.4.9 컴퓨터를 이용한 쓰기 지도 = 415

 8.5 쓰기 지도와 영어 교육 = 416

제9장 영어 문법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9.1 문법의 정의 = 425

 9.2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법적 의의 = 425

  9.2.1 모국어 습득과 문법 습득 = 426

  9.2.2 외국어 습득과 문법 학습 = 427

  9.2.3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 = 427

 9.3 문법 지도에 관한 이론적 동향 = 429

  9.3.1 문법 지도의 중요성을 결정하는 변수 = 429

  9.3.2 언어 구조 습득의 순서 및 속도 = 430

  9.3.3 감시자 가설 = 432

 9.4 문법 지도 접근 방식 = 434

 9.5 문법 지도를 위한 구두 연습의 유형 = 435

  9.5.1 반복 연습 = 435

  9.5.2 대체 연습 = 438

  9.5.3 변환 연습 = 441

  9.5.4 확장과 완성 = 444

  9.5.5 반응 연습 = 446

  9.5.6 번역 연습 = 448

 9.6 과업을 통합 문법 연습 = 448

  9.6.1 정의적 과업 = 449

  9.6.2 인지적 과업 = 449

  9.6.3 지각적 과업 = 451

  9.6.4 의사소통적 과업 = 451

 9.7 문법 항목별 지도 방법 = 452

  9.7.1 진행형 = 452

  9.7.2 현재 완료 = 453

  9.7.3 Be 동사를 포함하는 부정문 = 455

 9.8 문법 지도와 영어 교육 = 456

제10장 영어 어휘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0.1 어휘의 정의 = 459

  10.1.1 철자 및 발음 = 459

  10.1.2 문법상의 특성 = 460

  10.1.3 단어 형성 = 460

  10.1.4 단어간의 결합 = 460

  10.1.5 의미 = 461

 10.2 한국어의 관점에서 살펴본 영어 낱말 = 468

  10.2.1 영어 낱말과 한국어 대응어의 의미 관계 = 468

  10.2.2 외연적 의미는 동일하지만 내포적 의미가 다른 관계 = 471

  10.2.3 단일어: 복수 낱말의 관계 = 473

 10.3 어휘 지도 방안 = 476

  10.3.1 시각 자료의 활용 = 476

  10.3.2 어형성의 원리와 어원상의 지식 활용 = 477

  10.3.3 읽기 지도와의 연계 = 478

  10.3.4 영영 사전의 활용 = 480

  10.3.5 반의어 및 동의어의 활용 = 480

  10.3.6 흥미의 극대화를 위한 소재의 선택 = 483

  10.3.7 게임의 활용 = 484

 10.4 어휘 지도와 영어 교육 = 488

제11장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1.1 멀티미디어의 정의 및 특성 = 491

 11.2 컴퓨터를 활용한 영어 교육 = 492

  11.2.1 CALL의 역사 = 493

  11.2.2 CALL의 장점 = 494

  11.2.3 CALL의 단점 및 문제점 = 496

  11.2.4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 사례 = 498

 11.3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교육 = 501

  11.3.1 인터넷의 정의 = 501

  11.3.2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교육의 장점 = 502

  11.3.3 월드와이드 웹의 활용 = 503

 11.4 전자 우편의 활용 = 514

  11.4.1 전자 우편의 정의 = 514

  11.4.2 전자 우편을 통한 대화식 저널 쓰기 = 514

 11.5 교실 내 즉석 전자 토론 = 516

 11.6 메일링 리스트 = 518

 11.7 CD-ROM = 519

 11.8 비디오를 활용한 영어 교육 = 521

  11.8.1 비디오의 장점 = 522

  11.8.2 학습 비디오의 종류 = 522

  11.8.3 비디오를 활용한 선별적인 듣기 활동 = 524

  11.8.4 비디오를 활용한 말하기 지도 = 525

  11.8.5 비디오의 조작 = 528

  11.8.6 비디오를 통한 학습: 심화와 응용 = 529

  11.8.7 비디오 필름 만들기 = 531

 11.9 멀티미디어 활용과 영어 교육 = 535

제12장 영미 문화 및 화행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2.1 문화의 정의와 문화 지도의 어려움 = 539

  12.1.1 문화의 정의와 외국어 교육 = 539

  12.1.2 문화 지도의 어려움 = 540

 12.2 문화 지도의 목표 = 543

 12.3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 = 544

  12.3.1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의 일반적 비교 = 544

  12.3.2 상황-의존적 문화와 상황-비의존적 문화 = 545

 12.4 문화간의 오해 = 547

 12.5 문화 지도를 위한 활동 = 548

 12.6 화행 = 551

  12.6.1 거절하기 = 552

  12.6.2 불평하기 = 555

  12.6.3 칭찬하기와 감사하기 = 559

 12.7 화행의 지도 방안 = 563

  12.7.1 학습자의 화행 능력 진단 = 564

  12.7.2 화행의 종류 인식하기 = 564

  12.7.3 주어진 화행 분석하기 = 565

  12.7.4 역할극 = 565

  12.7.5 목표 문화와 모국 문화의 화행 차이 토론하기 = 566

  12.7.6 영화와 비디오를 이용한 화행 지도 = 567

 12.8 문화 및 화행 지도와 영어 교육 = 567

제13장 영어 평가론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13.1 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 573

 13.2 평가의 구비 요건 = 575

  13.2.1 타당도 = 576

  13.2.2 신뢰도 = 581

  13.2.3 실용도 = 587

  13.2.4 변별도 = 588

  13.2.5 역류 효과 = 589

 13.3 평가 유형 = 591

  13.3.1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 591

  13.3.2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 = 592

  13.3.3 객관식 평가와 주관식 평가 = 593

  13.3.4 기준 평가와 규준 평가 = 595

  13.3.5 분리 평가와 통합 평가 = 597

  13.3.6 평가 목적별 평가 = 599

 13.4 평가의 접근법 = 601

  13.4.1 전통적 접근법 = 602

  13.4.2 구조주의 접근법 = 603

  13.4.3 통합적 접근법 = 604

  13.4.4 의사소통 접근법 = 607

 13.5 평가 작성 방안 = 612

  13.5.1 평가 작성 지침 = 612

  13.5.2 객관식 문항 작성 = 617

  13.5.3 듣기 평가 = 620

  13.5.4 말하기 평가 = 628

  13.5.5 읽기 평가 = 642

  13.5.6 쓰기 평가 = 654

  13.5.7 수행평가 = 665

  13.5.8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 = 688

 13.6 평가와 영어 교육 = 69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승욱 (2023)
류미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