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언어와 언어 능력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1.1 언어의 의미 = 18
1.1.1 언어의 본질 = 18
1.1.2 언어에 대한 접근법 = 20
1.2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 24
1.3 의사 소통 능력 = 26
1.3.1 의사 소통 과정 = 27
1.3.2 의사 소통 능력의 정의 및 속성 = 28
1.3.3 의사 소통 능력 모형 = 34
1.3.4 상황별 의사 소통 능력 = 48
1.4 언어 능력과 영어 교육 = 49
제2장 언어 습득·학습론 / 김은주(이화여자대학교)
2.1 언어 습득과 학습의 차이 = 57
2.2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 58
2.3 언어 학습 이론 = 62
2.3.1 행동주의 이론 = 62
2.3.2 생득론자 이론 = 63
2.3.3 상호활동주의 이론 = 65
2.3.4 모니터 가설 = 66
2.3.5 중간 언어 = 68
2.3.6 외국어 학습에서 모국어의 역할 = 72
2.3.7 오류 분석 = 74
2.3.8 결정적 시기 가설 = 75
2.4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6
2.4.1 인지적 요인 = 76
2.4.2 정의적 요인 = 79
2.4.3 사회·문화적 요인 = 84
2.5 교실에서의 외국어 학습 = 86
2.6 외국어 학습 전략 = 92
2.7 학습 이론과 영어 교육 = 100
제3장 영어 교수법 / 남지영(한국산업기술대학교)
3.1 영어 교수법의 개관 = 107
3.2 영어 교수 이론의 접근법과 방법 = 110
3.3 전통적 교수법 = 111
3.3.1 문법 번역식 교수법 = 112
3.3.2 직접식 교수법 = 115
3.3.3 청화식 교수법 = 119
3.3.4 상황적 언어 교수법 = 125
3.3.5 인지적 교수법 = 129
3.4 혁신적인 교수법 = 132
3.4.1 침묵 교수법 = 134
3.4.2 공동체 언어 학습법 = 137
3.4.3 암시 교수법 = 139
3.4.4 전신 반응 교수법 = 142
3.4.5 자연적 접근법 = 145
3.5 의사 소통 중심 접근법 = 151
3.5.1 의사 소통 언어 교수법 = 152
3.5.2 총체적 언어 접근법 = 159
3.5.3 내용 중심 교수 = 161
3.5.4 화제 중심 교수 = 163
3.5.5 경험적 언어 학습 = 164
3.6 교수법과 영어 교육 = 166
제4장 영어 교육과정 / 김은주(이화여자대학교)
4.1 교육과정의 정의 = 175
4.2 교육과정의 범위 및 구성 요소 = 177
4.2.1 교수 요목의 특징 및 형태 = 178
4.2.2 결과 중심 교수 요목 = 179
4.2.3 과정 중심 교수 요목 = 182
4.3 교육과정의 설계 = 186
4.4 학생 중심 교육과정 = 189
4.5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구성 = 191
4.5.1 영어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 191
4.5.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칙 = 192
4.5.3 교육과정의 성격 = 194
4.5.4 교육 목표 = 195
4.5.5 내용 = 198
4.5.6 교수·학습 방법 = 202
4.5.7 평가 = 205
4.5.8 제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비교 = 207
4.6 교육과정과 영어 교육 = 208
제5장 영어 교재론 / 김영숙(이화여자대학교)
5.1 영어과 교육 목표와 교재 = 213
5.1.1 영어과 교육 목표 = 213
5.1.2 영어과 교수 요목의 변천 = 215
5.1.3 영어과 교수 요목의 기저와 특징 = 218
5.2 영어 교재 구성의 원리 = 222
5.2.1 교재 내용의 선정 기준 = 222
5.2.2 교재 내용의 조직과 배열 = 225
5.3 영어 교재의 종류와 선택 = 228
5.3.1 교과서론 = 228
5.3.2 언어 기능 중심 교재 = 230
5.3.3 의사 소통 중심 교재 = 235
5.3.4 기타 교재 = 238
5.3.5 교재의 선택과 개작 = 240
5.4 교재 설계의 방향 = 244
제6장 영어 듣기·말하기 교육론 / 남지영(한국산업기술대학교)
6.1 듣기와 말하기의 정의 및 성격 = 249
6.1.1 듣기의 정의 및 성격 = 249
6.1.2 말하기의 정의 및 성격 = 251
6.2 듣기와 말하기 지도 접근법 = 253
6.2.1 듣기와 말하기의 구성 요인 = 253
6.2.2 듣기와 말하기의 목적 = 259
6.2.3 이해 중심 접근법 = 261
6.2.4 의사 소통 중심 접근법 = 262
6.3 듣기와 말하기 지도 방안 = 268
6.3.1 듣기 지도의 기본 원칙 = 268
6.3.2 말하기 지도의 기본 원칙 = 273
6.3.3 듣기와 말하기 수업 및 계획 = 277
6.3.4 듣기 지도 방안 및 활동 = 279
6.3.5 말하기 지도 방안 및 활동 = 291
제7장 영어 읽기 교육론 / 차경애(한국외국어대학교)
7.1 읽기의 정의 및 목적 = 309
7.2 선험 지식 이론과 독해 과정 모형 = 312
7.2.1 선험 지식 이론 = 313
7.2.2 독해에 관한 모형 = 314
7.3 구조적 패턴 = 316
7.3.1 구조적 패턴의 정의와 분류 = 316
7.3.2 연결어구의 종류와 역할 = 317
7.4 읽기 지도의 실제 = 319
7.4.1 읽기 지도의 단계 = 319
7.4.2 읽기 지도 시 유의 사항 = 321
7.4.3 구체적인 수업 지도 방안 = 323
제8장 영어 쓰기 교육론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8.1 쓰기의 정의 및 성격 = 337
8.1.1 쓰기 및 쓰기 과정 = 337
8.1.2 쓰기의 목적 및 유형 = 341
8.1.3 쓰기 능력 및 전략 = 345
8.1.4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 = 350
8.1.5 모국어 쓰기와 외국어 쓰기의 차이 = 353
8.2 쓰기 지도 접근법 = 356
8.2.1 쓰기 구성 요인 = 356
8.2.2 쓰기 지도 접근법 = 358
8.3 쓰기 지도의 기본 원리 = 371
8.3.1 기본 지도 방안 = 371
8.3.2 교사의 역할 = 374
8.4 쓰기 지도 방안 = 376
8.4.1 알파벳 익히기 = 376
8.4.2 그림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 380
8.4.3 통제 작문 = 381
8.4.4 유도 작문 = 385
8.4.5.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지도 = 388
8.4.6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 393
8.4.7 의사 소통 중심 활용 = 403
8.4.8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406
8.4.9 컴퓨터를 이용한 쓰기 지도 = 415
8.5 쓰기 지도와 영어 교육 = 416
제9장 영어 문법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9.1 문법의 정의 = 425
9.2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법적 의의 = 425
9.2.1 모국어 습득과 문법 습득 = 426
9.2.2 외국어 습득과 문법 학습 = 427
9.2.3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 = 427
9.3 문법 지도에 관한 이론적 동향 = 429
9.3.1 문법 지도의 중요성을 결정하는 변수 = 429
9.3.2 언어 구조 습득의 순서 및 속도 = 430
9.3.3 감시자 가설 = 432
9.4 문법 지도 접근 방식 = 434
9.5 문법 지도를 위한 구두 연습의 유형 = 435
9.5.1 반복 연습 = 435
9.5.2 대체 연습 = 438
9.5.3 변환 연습 = 441
9.5.4 확장과 완성 = 444
9.5.5 반응 연습 = 446
9.5.6 번역 연습 = 448
9.6 과업을 통합 문법 연습 = 448
9.6.1 정의적 과업 = 449
9.6.2 인지적 과업 = 449
9.6.3 지각적 과업 = 451
9.6.4 의사소통적 과업 = 451
9.7 문법 항목별 지도 방법 = 452
9.7.1 진행형 = 452
9.7.2 현재 완료 = 453
9.7.3 Be 동사를 포함하는 부정문 = 455
9.8 문법 지도와 영어 교육 = 456
제10장 영어 어휘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0.1 어휘의 정의 = 459
10.1.1 철자 및 발음 = 459
10.1.2 문법상의 특성 = 460
10.1.3 단어 형성 = 460
10.1.4 단어간의 결합 = 460
10.1.5 의미 = 461
10.2 한국어의 관점에서 살펴본 영어 낱말 = 468
10.2.1 영어 낱말과 한국어 대응어의 의미 관계 = 468
10.2.2 외연적 의미는 동일하지만 내포적 의미가 다른 관계 = 471
10.2.3 단일어: 복수 낱말의 관계 = 473
10.3 어휘 지도 방안 = 476
10.3.1 시각 자료의 활용 = 476
10.3.2 어형성의 원리와 어원상의 지식 활용 = 477
10.3.3 읽기 지도와의 연계 = 478
10.3.4 영영 사전의 활용 = 480
10.3.5 반의어 및 동의어의 활용 = 480
10.3.6 흥미의 극대화를 위한 소재의 선택 = 483
10.3.7 게임의 활용 = 484
10.4 어휘 지도와 영어 교육 = 488
제11장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1.1 멀티미디어의 정의 및 특성 = 491
11.2 컴퓨터를 활용한 영어 교육 = 492
11.2.1 CALL의 역사 = 493
11.2.2 CALL의 장점 = 494
11.2.3 CALL의 단점 및 문제점 = 496
11.2.4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 사례 = 498
11.3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교육 = 501
11.3.1 인터넷의 정의 = 501
11.3.2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교육의 장점 = 502
11.3.3 월드와이드 웹의 활용 = 503
11.4 전자 우편의 활용 = 514
11.4.1 전자 우편의 정의 = 514
11.4.2 전자 우편을 통한 대화식 저널 쓰기 = 514
11.5 교실 내 즉석 전자 토론 = 516
11.6 메일링 리스트 = 518
11.7 CD-ROM = 519
11.8 비디오를 활용한 영어 교육 = 521
11.8.1 비디오의 장점 = 522
11.8.2 학습 비디오의 종류 = 522
11.8.3 비디오를 활용한 선별적인 듣기 활동 = 524
11.8.4 비디오를 활용한 말하기 지도 = 525
11.8.5 비디오의 조작 = 528
11.8.6 비디오를 통한 학습: 심화와 응용 = 529
11.8.7 비디오 필름 만들기 = 531
11.9 멀티미디어 활용과 영어 교육 = 535
제12장 영미 문화 및 화행 교육론 / 문영인(이화여자대학교)
12.1 문화의 정의와 문화 지도의 어려움 = 539
12.1.1 문화의 정의와 외국어 교육 = 539
12.1.2 문화 지도의 어려움 = 540
12.2 문화 지도의 목표 = 543
12.3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 = 544
12.3.1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의 일반적 비교 = 544
12.3.2 상황-의존적 문화와 상황-비의존적 문화 = 545
12.4 문화간의 오해 = 547
12.5 문화 지도를 위한 활동 = 548
12.6 화행 = 551
12.6.1 거절하기 = 552
12.6.2 불평하기 = 555
12.6.3 칭찬하기와 감사하기 = 559
12.7 화행의 지도 방안 = 563
12.7.1 학습자의 화행 능력 진단 = 564
12.7.2 화행의 종류 인식하기 = 564
12.7.3 주어진 화행 분석하기 = 565
12.7.4 역할극 = 565
12.7.5 목표 문화와 모국 문화의 화행 차이 토론하기 = 566
12.7.6 영화와 비디오를 이용한 화행 지도 = 567
12.8 문화 및 화행 지도와 영어 교육 = 567
제13장 영어 평가론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13.1 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 573
13.2 평가의 구비 요건 = 575
13.2.1 타당도 = 576
13.2.2 신뢰도 = 581
13.2.3 실용도 = 587
13.2.4 변별도 = 588
13.2.5 역류 효과 = 589
13.3 평가 유형 = 591
13.3.1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 591
13.3.2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 = 592
13.3.3 객관식 평가와 주관식 평가 = 593
13.3.4 기준 평가와 규준 평가 = 595
13.3.5 분리 평가와 통합 평가 = 597
13.3.6 평가 목적별 평가 = 599
13.4 평가의 접근법 = 601
13.4.1 전통적 접근법 = 602
13.4.2 구조주의 접근법 = 603
13.4.3 통합적 접근법 = 604
13.4.4 의사소통 접근법 = 607
13.5 평가 작성 방안 = 612
13.5.1 평가 작성 지침 = 612
13.5.2 객관식 문항 작성 = 617
13.5.3 듣기 평가 = 620
13.5.4 말하기 평가 = 628
13.5.5 읽기 평가 = 642
13.5.6 쓰기 평가 = 654
13.5.7 수행평가 = 665
13.5.8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 = 688
13.6 평가와 영어 교육 = 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