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 1 장 개화기의 문화 사회적 배경 = 13
제1절 개화기의 특징 = 13
제2절 개화기의 문화 사회적 배경 = 16
1. 신문의 발간 = 16
2. 교육의 확대 = 19
3. 국학 운동의 전개 = 23
4. 기독교의 정착 = 25
제 2 장 개화기 서적의 생산 및 유통 = 29
제1절 출판 인쇄 기구의 설립 = 30
1. 근대식 인쇄 지식의 소개 = 30
2. 근대식 활판 인쇄술의 도입과 발전 = 32
A. 관영 인쇄소 = 32
B. 민영 인쇄소 = 37
제2절 서적의 유통 = 65
1. 서포의 설립과 발전 = 65
A. 서포 설립의 사회적 배경 = 65
B. 서포의 설립과 발전 = 68
2. 종교 기관의 서적 유통 = 92
A. 권서가의 등장 = 92
B. 권서가의 활동 = 93
제 3 장 개화기의 발행 서적 = 95
제1절 개화기의 서적 정책 = 95
1. 개화 전기의 서적 정책(1895-1905) = 96
2. 개화 후기의 서적 정책(1905-1910) = 99
제2절 서적의 발행 = 108
1. 서적 편찬의 주체 = 108
A. 정부의 서적 편찬 = 108
B. 민간에 의한 서적 편찬 = 114
2. 서적 발행상의 문제점 = 124
A. 발행 서적의 부족 = 125
B. 번역서의 문제 = 128
C. 학부 편찬 교과서의 문제 = 130
제3절 발행 서적 분석 = 133
1. 수신 = 134
2. 국어·국문법 = 146
3. 문학 = 164
4. 전기 = 168
5. 어학 = 174
6. 한문 = 178
7. 국내 역사 = 187
8. 외국 역사 = 200
9. 국내 지리 = 208
10. 외국 지리 = 214
11. 법률서 = 219
12. 정치·외교·행정 = 230
13. 상업·경제 = 235
14. 교육학 (사범, 육아, 심리, 교육) = 241
15. 사회학·인류학 = 246
16. 산술·수학 = 247
17. 농업 = 254
18. 물리·화학 = 264
19. 박물학 = 271
20. 측량·건축 = 279
21. 병학 = 283
22. 예·체능 = 283
23. 기타 = 289
제4절 외국 교과서의 수입과 사용 = 290
1. 중국서의 수입 = 291
2. 일본서의 수입 = 299
제 4 장 근대적 도서관의 설립 = 302
제1절 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 302
제2절 도서관의 개념 = 306
1. 도서관 명칭의 정착 = 306
2. 근대적 도서관 개념의 확립 = 308
제3절 도서관의 설립과 운영 = 313
1. 도서관의 설립 = 313
2. 도서관의 설립 주체 = 322
3. 도서관의 운영 = 325
4. 외국 도서관의 소개 = 328
제4절 도서관 현황 = 332
1. 공공 도서관 = 332
A 국립 공공 도서관 = 332
B. 사립 공공 도서관 = 339
2. 학교 도서관 = 353
A. 원산학사문고 = 353
B. 동문관문고 = 354
C. 배재학당 도서관 = 355
D. 기타 학교 내 종람소 = 356
3. 전문 도서관 = 359
A. 박문국문고 = 359
B. 기타 정부 부서 내 도서판 = 360
4. 국내 일본인에 의한 도서관 = 362
A. 부산도서관 = 363
B. 강경문고 = 364
C. 목포도서구락부 = 365
D. 경성문고 = 366
참고 문헌 = 368
찾아보기 =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