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6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봉희
서명 / 저자사항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 김봉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1999.  
형태사항
386 p. ; 23 cm.
ISBN
897300364X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85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46181
005 20100806080514
007 ta
008 990927s1999 ulk AR 001a kor
020 ▼a 897300364X ▼g 9301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5643 ▼l 111135644 ▼l 111135645
082 0 4 ▼a 070.50951
090 ▼a 070.50951 ▼b 1999
100 1 ▼a 김봉희 ▼0 AUTH(211009)85133
245 1 0 ▼a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 ▼d 김봉희 지음.
246 0 1 ▼a (A) study of book cultu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260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c 1999.
300 ▼a 38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50 0 ▼b \12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50951 1999 등록번호 1111356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070.50951 1999 등록번호 1111356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070.50951 1999 등록번호 1111356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070.50951 1999 등록번호 192052222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봉희(지은이)

연세대 대학원에서 도서관학을 전공하고 <한국 기독교문서 간행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 기독교문서 간행사 연구(1882~1945)> ,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근대 인쇄 문화의 도입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개화기 지식 보급의 확대와 출판인쇄의 기능> 외 다수가 있다. 현재 이화여대 명예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 1 장 개화기의 문화 사회적 배경 = 13

 제1절 개화기의 특징 = 13

 제2절 개화기의 문화 사회적 배경 = 16

  1. 신문의 발간 = 16

  2. 교육의 확대 = 19

  3. 국학 운동의 전개 = 23

  4. 기독교의 정착 = 25

제 2 장 개화기 서적의 생산 및 유통 = 29

 제1절 출판 인쇄 기구의 설립 = 30

  1. 근대식 인쇄 지식의 소개 = 30

  2. 근대식 활판 인쇄술의 도입과 발전 = 32

   A. 관영 인쇄소 = 32

   B. 민영 인쇄소 = 37

 제2절 서적의 유통 = 65

  1. 서포의 설립과 발전 = 65

   A. 서포 설립의 사회적 배경 = 65

   B. 서포의 설립과 발전 = 68

  2. 종교 기관의 서적 유통 = 92

   A. 권서가의 등장 = 92

   B. 권서가의 활동 = 93

제 3 장 개화기의 발행 서적 = 95

 제1절 개화기의 서적 정책 = 95

  1. 개화 전기의 서적 정책(1895-1905) = 96

  2. 개화 후기의 서적 정책(1905-1910) = 99

 제2절 서적의 발행 = 108

  1. 서적 편찬의 주체 = 108

   A. 정부의 서적 편찬 = 108

   B. 민간에 의한 서적 편찬 = 114

  2. 서적 발행상의 문제점 = 124

   A. 발행 서적의 부족 = 125

   B. 번역서의 문제 = 128

   C. 학부 편찬 교과서의 문제 = 130

 제3절 발행 서적 분석 = 133

  1. 수신 = 134

  2. 국어·국문법 = 146

  3. 문학 = 164

  4. 전기 = 168

  5. 어학 = 174

  6. 한문 = 178

  7. 국내 역사 = 187

  8. 외국 역사 = 200

  9. 국내 지리 = 208

  10. 외국 지리 = 214

  11. 법률서 = 219

  12. 정치·외교·행정 = 230

  13. 상업·경제 = 235

  14. 교육학 (사범, 육아, 심리, 교육) = 241

  15. 사회학·인류학 = 246

  16. 산술·수학 = 247

  17. 농업 = 254

  18. 물리·화학 = 264

  19. 박물학 = 271

  20. 측량·건축 = 279

  21. 병학 = 283

  22. 예·체능 = 283

  23. 기타 = 289

 제4절 외국 교과서의 수입과 사용 = 290

  1. 중국서의 수입 = 291

  2. 일본서의 수입 = 299

제 4 장 근대적 도서관의 설립 = 302

 제1절 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 302

 제2절 도서관의 개념 = 306

  1. 도서관 명칭의 정착 = 306

  2. 근대적 도서관 개념의 확립 = 308

 제3절 도서관의 설립과 운영 = 313

  1. 도서관의 설립 = 313

  2. 도서관의 설립 주체 = 322

  3. 도서관의 운영 = 325

  4. 외국 도서관의 소개 = 328

 제4절 도서관 현황 = 332

  1. 공공 도서관 = 332

   A 국립 공공 도서관 = 332

   B. 사립 공공 도서관 = 339

  2. 학교 도서관 = 353

   A. 원산학사문고 = 353

   B. 동문관문고 = 354

   C. 배재학당 도서관 = 355

   D. 기타 학교 내 종람소 = 356

  3. 전문 도서관 = 359

   A. 박문국문고 = 359

   B. 기타 정부 부서 내 도서판 = 360

  4. 국내 일본인에 의한 도서관 = 362

   A. 부산도서관 = 363

   B. 강경문고 = 364

   C. 목포도서구락부 = 365

   D. 경성문고 = 366

참고 문헌 = 368

찾아보기 = 372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