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서론
1.1 언어의 기원 = 1
1.2 언어의 일반적 특성 = 4
1.2.1 이원성 = 5
1.2.2 자의성 = 5
1.2.3 창조성 = 6
1.2.4 문화적 전승 = 6
1.2.5 대치성 = 7
1.2.6 변화가능성 = 8
1.2.7 규칙의 지배 = 8
1.3 언어이론의 변천과정 = 9
1.3.1 전통문법이론 = 9
1.3.2 구조언어학이론 = 10
1.3.3 변형생성문법이론 = 11
1.4 언어학의 분야 = 12
1.4.1 음성학 = 12
1.4.2 음운론 = 12
1.4.3 형태론 = 12
1.4.4 통사론 = 12
1.4.5 의미론 = 13
1.4.6 영어발달사 = 13
1.4.7 사회언어학 = 13
1.4.8 언어습득이론 = 14
연습문제 = 14
참고문헌 = 14
제2장 음성학
2.1 음성학의 세 가지 분야 = 16
2.1.1 조음음성학 = 16
2.1.2 음향음성학 = 17
2.1.3 청각음성학 = 19
2.2 언어음의 분류와 그 특징 = 19
2.2.1 자음과 모음 = 19
2.2.2 유성음과 무성음 = 20
2.2.3 비음과 구두음 = 21
2.2.4 유기음과 무기음 = 22
2.3 자음 = 25
2.3.1 조음위치 = 25
2.3.2 조음방법 = 30
2.3.3 자음의 분류 = 32
2.4 모음 = 34
2.4.1 모음분류의 기준 = 34
2.4.2 전설모음 = 36
2.4.3 중설모음 = 38
2.4.4 후설모음 = 40
2.4.5 이중모음과 삼중모음 = 42
2.5 음절 = 44
2.5.1 음절의 개념과 공명도 = 44
2.5.2 음절의 구조 = 45
연습문제 = 47
참고문헌 = 48
제3장 음운론
3.1 음성학과 음운론 = 49
3.2 음소의 개념과 음소설정의 원리 = 50
3.2.1 최소대립 = 52
3.2.2 상보적 분포 = 52
3.2.3 자유변이 = 53
3.3 형태음소 = 54
3.4 음운의 변화과정 = 56
3.4.1 동화 = 57
3.4.2 이화 = 58
3.4.3 탈락; 소실 = 58
3.4.4 삽입 = 59
3.4.5 음위전환 = 60
3.4.6 융합 = 61
3.5 변별적 자질과 자연부류 = 61
3.5.1 변별적 자질의 개념과 특성 = 61
3.5.2 변별적 자질의 분류 = 63
3.5.2.1 주요부류자질 = 63
3.5.2.2 조음위치자질 = 64
3.5.2.3 조음방식자질 = 66
3.5.3 자연부류 = 68
3.6 음운규칙 = 70
3.6.1 음운규칙의 기능 = 70
3.6.2 음운규칙의 공식화 = 72
3.6.3 음운규칙의 적용순위 = 77
연습문제 = 79
참고문헌 = 80
제4장 형태론
4.1 형태론의 영역 = 81
4.2 형태소 = 82
4.2.1 형태소의 기본개념 = 82
4.2.2 형태소, 형태, 이형태 = 84
4.2.3 형태소의 종류 = 86
4.2.3.1 자립형태소와 구속형태소 = 86
4.2.3.2 파생형태소와 굴절형태소 = 88
4.2.3.3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 = 89
4.3 어근, 접사, 어간, 어기 = 90
4.4 조어법 = 92
4.4.1 복합어 = 94
4.4.2 두자어 = 95
4.4.3 혼성어 = 95
4.4.4 역성어 = 96
4.4.5 단축어 = 97
4.4.6 전환 = 97
4.5 생성형태론 = 98
연습문제 = 100
참고문헌 = 101
제5장 영어통사론
5.1. 통사론의 발달과정 = 103
5.1.1 통사론의 개념 = 103
5.1.2 전통문법 = 104
5.1.3 구조언어학 = 105
5.1.4 변형생성문법 = 106
5.1.5 지배-결속이론 = 107
5.2. 문장의 생성 = 109
5.2.1 문장의 성분구조 = 109
5.2.2 구절구조규칙 = 114
5.2.3 심층구조와 표면구조 = 119
5.2.4 어휘삽입규칙 = 122
5.2.5 변형규칙 = 125
5.2.5.1 의문문변형 = 126
5.2.5.2 수동문변형 = 128
5.2.5.3 부정문변형 = 131
5.2.5.4 재귀화변형 = 132
5.2.5.5 명령문변형 = 134
5.2.5.6 There-삽입변형 = 135
5.3. 제약조건 = 137
5.3.1 상위범주 우선원리 = 137
5.3.2 Wh-섬조건 = 140
5.3.3 복합명사구제약 = 141
5.3.4 등위구조제약 = 142
5.3.5 주어절제약 = 143
5.3.6 주어조건 = 145
5.3.7 하위인접조건 = 146
5.3.8 시제문조건 = 153
5.3.9 명시주어조건 = 154
5.4. 핵계층이론 = 156
5.4.1 핵계층이론의 제기 = 156
5.4.2 핵계층의 구조 = 156
5.4.3 핵계층이론의 기본모형 = 158
5.4.4 중간범주 = 161
5.5. 의미역 이론 = 164
5.5.1 의미역과 논항 = 164
5.5.2 의미역의 종류 = 165
5.5.3 의미역기준 = 167
5.5.4 의미역할당자 = 169
5.6. 지배이론 = 171
5.6.1 지배의 개념 = 171
5.6.2 지배와 성분통어 = 172
5.6.3 성분통어의 세 가지 관점 = 174
5.7. 격이론 = 176
5.7.1 격여과와 격할당 = 176
5.7.2 구조격과 고유격 = 178
5.7.3 예외적 격표시 = 179
5.8. 통제이론 = 182
5.8.1 필수통제와 임의통제 = 182
5.8.2 PRO와 동사의 유형 = 183
5.8.3 PRO와 흔적의 차이점 = 185
5.8.3.1 PRO의 특성 = 185
5.8.3.2 흔적의 특성 = 187
5.8.3.3 PRO와 pro의 차이점 = 188
5.9. 결속이론 = 189
5.9.1 결속이론의 세 가지 조건 = 189
5.9.2 지배범주와 접근가능주어 = 192
5.9.3 동일지표내포금지조건 = 194
5.10. 공범주의 원리 = 195
5.10.1 의미역지배와 선행사지배 = 195
5.10.2 최소성조건 = 198
5.10.3 LF에서의 공범주원리 = 199
5.10.4 고유지배자와 전치사 = 201
5.11. 장벽이론 = 203
5.11.1 지배개념과 하위인접개념 = 203
5.11.2 최대투사범주와 의미역 = 204
5.11.3 장벽의 정의 = 206
5.11.4 VP의 장벽성제거 = 207
5.11.5 장벽과 하위인접성의 정도 = 209
연습문제 = 211
참고문헌 = 213
제6장 의미론
6.1 의미론의 기본개념 = 215
6.2 의미에 관한 몇 가지 이론 = 216
6.2.1 지시적 의미론 = 217
6.2.2 종합적 의미론 = 218
6.2.3 진리조건적 의미론 = 219
6.2.4 심리주의 의미론 = 220
6.2.5 행동주의 의미론 = 222
6.2.6 화용론적 의미론 = 222
6.3 어휘의미론 = 223
6.3.1 어휘의미분석에 관한 이론적 배경 = 223
6.3.2 어휘구조와 장이론 = 225
6.3.3 성분분석 = 227
6.3.4 어휘간의 의미관계 = 231
6.3.4.1 동의성 = 231
6.3.4.2 반의성 = 232
6.3.4.3 다의성과 동음이의성 = 233
6.4 문장의미론 = 235
6.4.1 문장의미의 기본개념 = 235
6.4.2 해석의미론 = 237
6.4.3 생성의미론 = 241
6.4.4 진리조건적 의미론 = 245
6.4.4.1 명제논리 = 245
6.4.4.2 술어논리 = 248
6.4.4.3 양화논리 = 250
6.4.5 격문법이론 = 252
6.4.6 함의와 전제 = 255
6.4.7 중의성과 모호성 = 261
6.4.7.1 중의성 = 261
6.4.7.2 모호성 = 265
6.4.7.3 중의성과 모호성의 구별기준 = 266
6.4.8 화용론 = 268
6.4.8.1 발화행위 = 269
6.4.8.2 함축 = 270
연습문제 = 273
참고문헌 = 274
제7장 영어발달사
7.1 영어의 계보와 발달사의 시대구분 = 276
7.1.1 인도유럽어족 = 276
7.1.2 영어발달사의 시대구분 = 279
7.2 고대영어시대 = 281
7.2.1 고대영어의 배경 = 281
7.2.2 고대영어의 철자·발음·문법 = 284
7.2.3 고대영어의 방언 = 288
7.3 중세영어시대 = 290
7.3.1 노르만인의 영국정복 = 290
7.3.2 중세영어의 방언 = 291
7.3.3 중세영어의 특징 = 293
7.4 현대영어시대 = 295
7.4.1 현대영어의 시대적 배경 = 295
7.4.2 대모음추이 = 296
7.4.3 사전편찬과 문법서의 출현 = 298
7.4.4 현대영어의 특징 = 300
7.5 미국영어의 성립 = 301
7.5.1 미국영어의 성립배경 = 301
7.5.2 미국영어의 방언 = 303
7.5.3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대조 = 305
연습문제 = 318
참고문헌 = 318
제8장 사회언어학
8.1 사회언어학의 개념 = 320
8.1.1 사회언어학의 이론적 배경 = 320
8.1.2 사회언어학의 영역 = 321
8.2 언어와 사회 = 322
8.2.1 언어표현의 사회적 의미 = 322
8.2.2 언어표현의 사회적 적격성 = 323
8.2.3 사회적 요인과 언어변이형 = 326
8.3 언어능력, 언어수행, 의사전달능력 = 328
8.3.1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 328
8.3.2 의사전달능력 = 329
연습문제 = 331
참고문헌 = 331
제9장 언어습득이론
9.1 언어습득에 관한 두 가지 견해 = 332
9.2 언어습득단계 = 334
9.2.1 한 단어문장 습득단계 = 336
9.2.2 두 단어문장 습득단계 = 337
9.2.3 세 단어문장 습득단계 = 338
9.3 음운, 형태소, 구문, 의미의 습득 = 340
9.3.1 음운습득 = 340
9.3.2 형태소습득 = 341
9.3.3 통사습득 = 342
9.3.4 의미습득 = 344
9.4 언어습득과 두뇌의 단계 = 347
9.4.1 Broca 영역 = 348
9.4.2 Wernicke 영역 = 350
9.4.3 대뇌의 좌우기능분화 = 351
연습문제 = 353
참고문헌 = 353
제10장 영어교수법
10.1 문법번역식 교수법 = 355
10.2 직접식 교수법 = 356
10.2.1. 벌리츠식 교수법 = 357
10.2.2. 단계식 직접교수법 = 358
10.2.3. 구두식 접근법 = 358
10.2.4. 구두식 교수법 = 359
10.3 청화식 교수법 = 360
10.4 인지적 접근법 = 361
10.5 전신반응식 교수법 = 362
10.6 침묵식 교수법 = 363
10.7 집단식 언어학습법 = 364
10.8 암시적 교수법 = 366
10.9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 367
10.10 초등학교 영어교육 = 368
10.11 학습지도안 작성 = 370
10.12 오류분석 = 372
연습문제 = 373
참고문헌 = 374
부록/glossary = 377
한글색인 = 409
영문색인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