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6n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00645991 | |
005 | 20111122135615 | |
007 | ta | |
008 | 990921s1992 ulkaj 001c kor | |
020 | ▼a 8910500042 ▼g 93360 | |
020 | ▼a 9788964546468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9 | 0 | ▼l 111136795 ▼l 111136796 ▼l 111136797 ▼l 111233494 |
082 | 0 4 | ▼a 340.109 ▼2 22 |
085 | ▼a 340.109 ▼2 DDCK | |
090 | ▼a 340.109 ▼b 1992 | |
100 | 1 | ▼a 최종고 ▼0 AUTH(211009)37837 |
245 | 1 0 | ▼a 法思想史 / ▼d 崔鍾庫 著. |
246 | 1 1 | ▼a Geschichte der Rechtsgedanken |
250 | ▼a 全訂版 | |
260 | ▼a 서울 : ▼b 博英社, ▼c 1992 ▼g (2011) | |
300 | ▼a 13, 591 p. : ▼b 삽화, 연표 ; ▼c 25 cm | |
500 | ▼a 색인수록 | |
900 | 1 0 | ▼a Choi, Chongko,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0.109 1992 | 등록번호 1113808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0.109 1992 | 등록번호 1116471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0.109 1992 | 등록번호 11164714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7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종고(지은이)
1947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법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법대 교수(1981-2013)를 지내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2014년에 시인으로 2016년에 수필가로 등단하였다. 한국인물전기학회, 한국펄벅연구회, 서울법대문우회, 경맥문학회 회장으로 있으며, 국제PEN한국본부, 한국시인협회, 공간시낭독회, 한국문인협회상주지부, 서초문인협회 회원이다. 시집으로 『법 속에서 시 속에서』(1991), 『플루메리아 바람개비』(1999), 『동서의 길목에서』(2004), 『우면산』(2005), 『중국여행』(2005), 『시 쓰는 법학자』(2007), 『아름다워라 프라이부르크So sch?n ist Freiburg!』(한독대역, 2009), 『춘원 따라 러시아기행』(2014), 『캠퍼스를 그리다』(2016), 『괴테의 이름으로』(2017), 『펄 벅 사랑하기』(2018)가 있고, 『괴테와 다산, 통하다』(2007), 『한국을 사랑한 세계작가들』 I·II·III(2019-2020), 영문서 Law and Justice in Korea(2007)와 East Asian Jurisprudence(2009) 등 60여 권의 저서가 있다. 한국출판저작상(1981), 삼일문화상(2012), 한국창작문학상(2016)을 수상하였다.

목차
목차 서장 法思想史의 課題와 方法 Ⅰ. 思想史學이란 무엇인가 = 2 Ⅱ. 法思想史의 意義 = 3 Ⅲ. 法思想史의 要因 = 5 Ⅳ. 法思想史의 位置 = 6 Ⅴ. 法思想史의 方法 = 7 제1장 古代의 法思想 제1절 古代오리엔트의 法思想 = 11 Ⅰ. 이집트의 法思想 = 11 Ⅱ. 바빌로니아의 法思想 = 13 Ⅲ. 히브리의 法思想 = 15 예수 = 16 제2절 그리스의 法思想 = 19 Ⅰ. 自然哲學者들 = 19 Ⅱ. 소피스트들 = 20 Ⅲ. 소크라테스 = 22 Ⅳ. 플라톤 = 24 Ⅴ. 아리스토텔레스 = 26 Ⅵ. 헬레니즘의 法思想 = 28 Ⅶ. 그리스 法思想의 評價 = 31 제3절 로마의 法思想 = 32 Ⅰ. 로마의 法的 狀況 = 32 Ⅱ. 올피아누스 = 38 Ⅲ. 키케로 = 40 Ⅳ. 세네카 = 42 Ⅴ. 로마의 法學者들 = 43 Ⅵ. 로바법과 그리스도교 사상 = 44 제2장 中世의 法思想 제1절 게르만의 法思想 = 53 Ⅰ. 중세의 게르만법 = 53 Ⅱ. 게르만법의 특징 = 55 제2절 中世法과 그리스도교 = 57 Ⅰ. 중세법의 구조 = 57 Ⅱ. 아우구스티누스 = 62 Ⅲ. 토마스 아퀴나스 = 64 제3절 로마법사상의 早期繼愛 = 67 바르톨루스 = 69 제3장 近代의 法思想 제1절 近代의 法狀況 = 73 Ⅰ. 서론 = 73 Ⅱ. 휴머니즘 法學 = 78 1. 브란트 = 79 2. 짜지우스 = 80 3. 아머바흐 = 81 4. 슈바르첸바르크 = 82 Ⅲ. 종교개혁과 法思想 = 83 1. 루터 = 84 2. 칼빈 = 87 Ⅳ. 絶對主義 法思想 = 91 1. 마키아벨리 = 91 2. 보댕 = 93 3. 알투지우스 = 95 4. 베이컨 = 97 제2절 自然法論 = 100 Ⅰ. 서설 = 100 Ⅱ. 수아레즈 = 101 Ⅲ. 그로티우스 = 103 Ⅳ. 영국의 自然法論 = 105 1. 퓨리타니즘 = 105 2. 모어 = 107 3. 쿠크 = 111 4. 블랙스톤 = 112 5. 홉스 = 114 6. 로크 = 118 7. 아담 스미스 = 123 Ⅴ. 프랑스의 自然法論 = 126 1. 서설 = 126 2. 몽테스키외 = 129 3. 百科全書派 = 133 4. 루소 = 136 Ⅵ. 독일의 自然法論 = 139 1. 서론 = 139 2. 푸펜도르프 = 140 3. 라이프니쯔 = 142 4. 토마지우스 = 143 5. 볼프 = 145 6. 베카리아 = 147 Ⅶ. 近代 自然法論의 영향 = 150 제3절 觀念主義의 法思想 = 159 Ⅰ. 觀念主義의 배경 = 159 Ⅱ. 칸트 = 159 Ⅲ. 피히테 = 166 Ⅳ. 헤겔 = 169 Ⅴ. 로테크 = 174 Ⅵ. 포이엘바흐 = 176 제4장 19세기의 法思想 제1절 19세기의 狀況 = 181 제2절 歷史法學派의 법사상 = 182 Ⅰ. 歷史法學의 의의 = 182 Ⅱ. 독일 역사법학파의 법사상 = 184 (로마니스텐) = 185 1. 후고 = 185 2. 사비니 = 187 3. 푸흐타 = 190 (개르마니스텐) = 192 1. 아이히호른 = 192 2. 야곱 그림 = 193 3. 베젤러 = 195 4. 기이르케 = 196 Ⅲ. 영미 역사법학파의 법사상 = 198 1. 메인 = 198 2. 카터 = 200 3. 비노그라도프 = 201 Ⅳ. 프랑스의 역사법사상 = 203 1. 뽀띠에 = 203 2. 뽀르탈리스 = 204 제3절 功利主義의 법사상 = 207 1. 벤담 = 208 2. 존 스튜어트 밀 = 211 3. 예어링 = 213 4. 헤크 = 215 5. 평가 = 216 제4절 法實證主義 = 217 Ⅰ. 법실증주의의 성립 = 217 Ⅱ. 독일의 普通法學 = 217 1. 미터마이어 = 220 2. 빈트샤이트 = 222 3. 게르버 = 223 4. 라반트 = 226 5. 빈딩 = 229 6. 옐리네크 = 230 Ⅲ. 프랑스의 註譯學派 = 233 Ⅳ. 영미의 分析法學 = 237 1. 오스틴 = 238 2. 랭델 = 241 Ⅴ. 법실증주의의 평가 = 246 제5절 사회주의의 법사상 = 247 Ⅰ. 사회주의사상의 대두 = 248 Ⅱ. 마르크스주의 = 255 1.마르크스 = 255 2. 엥겔스 = 258 3. 레닌 = 261 Ⅲ. 法曹社會主義 = 263 1. 멩거 = 264 2. 렌너 = 270 3. 슈타인 = 272 제5장 現代의 法思想 제1절 현대의 法的 狀況 = 275 제2절 自由法論 = 279 Ⅰ. 독일의 自由法論 = 280 1. 키르히만 = 280 2. 칸토로비츠 = 282 3. 푹스 = 284 Ⅱ. 프랑스의 自由法論 = 285 1. 살레이유 = 286 2. 제니 = 289 제3절 社會學的 法思想 = 291 1. 뒤르껭 = 293 2. 뒤기 = 299 3. 에를리히 = 301 4. 베버 = 304 5. 진츠하이머 = 310 6. 귀르비치 = 312 7. 히르쉬 = 314 제4절 新칸트주의 法思想 = 317 1. 슈탐러 = 319 2. 켈젠 = 322 3. 라스크 = 328 4. 라드브루흐 = 329 제5절 新헤겔주의 法思想 = 335 Ⅰ. 文化法思想 = 336 1. 코올러 = 337 2. 마이어 = 339 Ⅱ. 全體主義 = 340 1. 빈더 = 341 2. 슈미트 = 341 3. 라렌츠 = 345 제6절 新自然法論 = 346 Ⅰ. 미타이스 = 349 Ⅱ. 新토마스주의 = 350 1. 델 베키오 = 353 2. 롬 멘 = 355 3. 카우프만 = 357 4. 흘러바흐 = 359 Ⅲ. 프랑스의 制度學派 = 360 1. 오리유 = 361 2. 르나르 = 363 Ⅳ. 영미의 自然法論 = 364 1. 논스럽 = 365 2. 존 C.H.우 = 368 3. 풀러 = 371 4. 누난 = 373 5. 드워킨 = 374 제7절 프로테스탄트 法神學의 思想 = 379 Ⅰ. 法의 神學 = 379 1. 슈타알 = 383 2. 조옴 = 384 3. 헥켈 = 386 4. 스멘트 = 389 5. 에릭 볼프 = 395 6. 돔보아 = 399 7. 엘룰 = 404 Ⅱ. 종합 = 407 제8절 프래그머티즘의 法思想 = 410 Ⅰ. 사회학적 법학 = 410 1. 홈즈 = 413 2. 파운드 = 416 3. 카도조 = 423 Ⅱ. 法實證主義 = 425 1. 르웰린 = 426 2. 프랑크 = 428 Ⅲ. 統合法學 = 429 1. 제롬 홀 = 430 Ⅳ. 미국의 법학교육 = 431 제9절 現代法哲學의 思想 = 434 Ⅰ. 現象學的 法哲學 = 435 1. 라이나흐 = 438 2. 훗설 = 440 Ⅱ. 實質的 價値論의 法哲學 = 441 1. 벨첼 = 442 2. 코잉 = 445 Ⅲ. 實存主義 法哲學 = 448 1. 코온 = 450 2. 페히너 = 451 3. 마이호퍼 = 454 Ⅳ. 新法實證主義 = 455 1. 하트 = 456 2. 바인베르거 = 458 제10절 공산주의 法思想 = 459 1. 스투츠카 = 461 2. 파슈카니스 = 462 3. 비신스키 = 464 4. 공산주의 법이론의 문제점 = 465 제11절 민주주의의 法思想 = 467 민주주의의 법적기초 = 467 1. 다이시 = 468 2. 워렌 = 470 3. 라이프훌츠 = 471 4. 맥두걸 = 475 5. 크릴레 = 476 제12절 비교법 및 세계법 사상 = 479 1. 위그모어 = 481 2. 라벨 = 484 3. 쯔바이게르트 = 486 4. 예세크 = 487 5. 버어먼 = 490 제6장 포스트 모던시대의 法思想 제1절 포스트 모던시대의 특징 = 493 제2절 '法과 社會'이론 = 494 1. 젤츠닉 = 497 2. 프리드맨 = 499 제3절 비판법이론 = 501 Ⅰ. 비판이론의 법사상 = 501 Ⅱ. 비판법학운동 = 504 웅거 = 506 제4절 新자유주의론 = 509 1. 하이에크 = 512 2. 롤즈 = 516 3. 루만 = 519 4. 포스너 = 524 제5절 新합리주의론 = 526 1. 피이벡 = 528 2. 페를만 = 532 3. 찌펠리우스 = 535 4. 드라이어 = 538 5. 아르니오 = 541 6. 알렉시 = 543 제6절 페레스트로이카의 法思想 = 545 고르바초프 = 548 결장 法思想史의 敎訓 = 559 法思想史 年表 = 562 인명색인 = 575 사항색인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