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제관계에 관한 기초적 이해
제1장 국제관계의 전개와 이념 = 13
제1절 고대의 정치질서와 이념 = 13
제2절 중세의 기독교질서와 국제관계 = 18
제3절 근대의 시대적 특성과 국제체제 = 29
제4절 포스트모던의 국제관계 = 41
제2장 국제관계의 형성과 외교 = 46
제1절 국제관계의 형성과 통제 = 46
제2절 국가의 외교정책 = 51
제3절 국가 간의 외교협상 = 63
제3장 국제관계 연구의 동향 = 69
제1절 국제관계학 = 69
제2절 국제관계이론의 변천 = 71
제2부 국제관계 패러다임의 분석
제4장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패러다임 = 83
제1절 이상주의 패러다임 = 84
제2절 현실주의 패러다임 = 89
제3절 집단안전보장제도의 세력균형체제 = 96
제5장 자유주의와 구조주의 패러다임 = 102
제1절 자유주의 패러다임 = 103
제2절 구조주의 패러다임 = 113
제3절 상호의존론과 남북문제 = 126
제6장 연계정치 패러다임 = 132
제1절 연계정치 이론 = 132
제2절 체제간 연계현상 = 135
제3절 체제간 연계과정과 분석의 틀 = 138
제3부 국제관계 현상에 대한 분석
제7장 국제질서와 권력관계 = 147
제1절 냉전에서 탈냉전으로의 변화 = 147
제2절 탈냉전기의 국제관계 = 152
제3절 탈냉전 국제사회의 위기 = 157
제8장 국제경제의 성장과 위기 = 172
제1절 세계경제의 확대와 위기현상 = 172
제2절 다국적기업의 속성 = 179
제3절 다국적자본이 주도하는 국제관계 = 185
제9장 지구촌 시민사회의 환경문제 = 193
제1절 국제관계의 다양한 행위자 = 193
제2절 국제관계 핵심과제 변화 = 199
제3절 환경위기에 대한 국제적 대응 = 215
제4부 한국 국제관계에 관한 해석과 전망
제10장 국제체제 환경과 한국정치 = 225
제1절 국내정체 행위자변수와 국제체제 = 225
제2절 해방과 분단기의 한반도정국 = 231
제3절 냉전고착과 군부권위주의 = 239
제4절 탈냉전과 한국정치의 자유화 = 252
제11장 탈냉전기 한국의 안보와 통일 = 262
제1절 신국제질서와 동북아 = 262
제2절 주변국들과 한국의 안보정책 = 271
제3절 한반도 통일의 접근전략 = 280
제12장 세계화와 한국의 정치경제 = 296
제1절 자본주의 세계화와 국제경제질서의 재편 = 296
제2절 한국경제의 위기구조 = 302
제3절 세계화의 압력과 한국정치경제 개혁의 쟁점 =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