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직업교육학 원론 개정판

직업교육학 원론 개정판 (5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무근
서명 / 저자사항
직업교육학 원론 / 이무근 지음.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1999.  
형태사항
xiii, 469 p. : 삽도 ; 23 cm.
ISBN
8982872760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12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43393
005 20100806071845
007 ta
008 990824s1999 ulka 001a kor
020 ▼a 8982872760 ▼g 93370 : ▼c \16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2628 ▼l 111132629 ▼l 111132630
082 0 4 ▼a 370.113 ▼2 21
090 ▼a 370.113 ▼b 1999b
100 1 ▼a 이무근
245 1 0 ▼a 직업교육학 원론 / ▼d 이무근 지음.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1999.
300 ▼a xiii, 469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수록
950 0 ▼b \16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1999b 등록번호 1111326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무근(지은이)

학력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UIUC) Ph. D 직업기술교육 전공 경력 現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現 한국창의성학회 대표 前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장 前 동명대학교 총장 前 경일대학교 총장 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대원장 前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교수 前 The Ohio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 Visiting Scholar 저서 직업교육학 원론,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전문대학 교육론 공저 꿈꾸는 진로여행, 실기교육방법론,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개정판을 내면서 = ⅶ

제1부 직업교육의 기본개념

 제1장 삶과 일과 교육 = 3

  1. 삶 = 3

  2. 일 = 8

  3. 교육 = 12

  4. 삶과 일과 교육과의 관계 = 16

 제2장 직업교육의 개념과 목적 = 21

  1. 직업교육의 개념 = 21

  2. 직업교육의 목적 = 42

 제3장 직업교육의 역사 = 51

  1. 초창기의 직업교육 = 51

  2. 조선말기의 직업교육 = 55

  3. 일본 식민지하의 직업교육 = 57

  4. 해방 후 중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60

  5. 고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72

  6. 사회교육을 통한 직업훈련의 발전 과정 = 79

 제4장 생애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87

  1. 생애교육에서의 직업교육 체제 = 87

  2. 학교교육을 통한 직업교육 = 90

  3. 준학교 체제하의 직업교육 = 98

  4. 사회교육을 통한 직업교육 = 103

제2부 직업교육의 학문적 기초

 제5장 직업교육의 철학적 기초 = 111

  1. 지식론 중심의 교육 내적 문제 = 112

  2. 존재론을 중심으로한 교육 외적 문제 = 118

  3. 가치론의 입장에서 본 직업교육의 의의 = 120

 제6장 직업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 125

  1. 일의 개념 = 125

  2. 노작의 개념 = 128

  3. 산업화가 직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 132

  4. 인구 변화가 직업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 = 138

  5.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직업선택 기준 변화 = 142

  6. 사회학과 직업교육과의 관계 = 143

 제7장 직업교육의 경제학적 기초 = 149

  1. 직업교육과 경제학의 관계 및 직업교육의 경제적 가치 = 150

  2. 직업교육의 경제적 분석 = 156

  3. 직업교육과 경제체제 = 162

 제8장 직업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 165

  1.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 166

  2. 직무만족 = 176

  3. 일에 대한 동기 = 178

  4. 직업기초능력 = 180

제3부 직업교육의 과정

 제9장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 189

  1. 교육과정의 개념 = 189

  2.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의 특성 = 191

  3. 직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모형 = 197

  4. 교육과정의 계획 = 199

  5. 교육과정의 개발(내용결정) = 201

  6. 교육과정의 목적 = 215

 제10장 교육과정의 전개 = 221

  1. 수업목표의 설정 = 222

  2.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230

  3. 수업의 전개 = 237

  4. 수업평가 = 247

 제11장 산학협동교육 = 255

  1. 산학협동의 이론적 배경 = 255

  2. 현장실습의 계획과 운영 = 270

  3. 현장실습의 평가 = 276

 제12장 진로지도 = 283

  1. 진로지도의 개념 = 283

  2. 진로발달의 이론 = 290

  3. 진로지도를 위한 서비스 = 294

  4. 진로지도의 원리 = 297

  5. 진로지도의 방법 = 302

  6. 각급 학교에서의 진로지도 = 305

 제13장 직업교육의 평가 = 311

  1. 평가의 개념 = 311

  2. 직업교육의 평가 = 316

  3. 교육과정의 평가 = 320

  4. 수업평가 = 326

제4부 직업교육의 운영

 제14장 직업·기술교사의 교육 = 341

  1. 직업·기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 341

  2. 직업·기술교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 = 345

  3. 직업·기술교사 교육의 개선 방향 = 352

 제15장 직업교육의 행정 및 장학 = 361

  1. 직업교육의 행정 기초 = 361

  2. 직업교육의 행정 과정 = 365

  3. 직업교육의 장학 = 383

제5부 직업교육의 좌표

 제16장 직업교육의 원리 =  395

  1. 직업교육의 이념 = 396

  2. 직업교육의 체제 = 398

  3. 직업교육의 계획 = 399

  4. 직업교육의 과정 = 400

  5. 직업교육의 방법 = 402

  6. 진로지도 = 403

  7. 직업교육을 위한 연구와 평가 = 405

  8. 교사교육 = 406

  9. 직업교육의 행정 = 406

  10. 산학협동 = 407

 제17장 직업교육의 동향과 당면 과제 = 411

  1. 세계 직업교육의 동향 = 411

  2. 우리 나라 직업교육의 동향 = 424

  3. 직업교육의 당면 과제 = 432

 제18장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 441

  1. 실용주의적 교육관 확립 = 442

  2. 직업교육 이념 및 체제의 재정립 = 444

  3. 직업교육 행정의 강화 = 449

  4.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내실화 = 451

  5. 진로지도의 강화 = 454

  6. 평가체제의 강화 = 456

  7. 우수 직업·기술교사 확보 = 457

  8. 산학협동 교육 강화 = 458

  9. 국민의 건전한 직업의식 고취 = 460

찾아보기 = 4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