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개정판을 내면서 = ⅶ
제1부 직업교육의 기본개념
제1장 삶과 일과 교육 = 3
1. 삶 = 3
2. 일 = 8
3. 교육 = 12
4. 삶과 일과 교육과의 관계 = 16
제2장 직업교육의 개념과 목적 = 21
1. 직업교육의 개념 = 21
2. 직업교육의 목적 = 42
제3장 직업교육의 역사 = 51
1. 초창기의 직업교육 = 51
2. 조선말기의 직업교육 = 55
3. 일본 식민지하의 직업교육 = 57
4. 해방 후 중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60
5. 고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72
6. 사회교육을 통한 직업훈련의 발전 과정 = 79
제4장 생애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87
1. 생애교육에서의 직업교육 체제 = 87
2. 학교교육을 통한 직업교육 = 90
3. 준학교 체제하의 직업교육 = 98
4. 사회교육을 통한 직업교육 = 103
제2부 직업교육의 학문적 기초
제5장 직업교육의 철학적 기초 = 111
1. 지식론 중심의 교육 내적 문제 = 112
2. 존재론을 중심으로한 교육 외적 문제 = 118
3. 가치론의 입장에서 본 직업교육의 의의 = 120
제6장 직업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 125
1. 일의 개념 = 125
2. 노작의 개념 = 128
3. 산업화가 직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 132
4. 인구 변화가 직업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 = 138
5.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직업선택 기준 변화 = 142
6. 사회학과 직업교육과의 관계 = 143
제7장 직업교육의 경제학적 기초 = 149
1. 직업교육과 경제학의 관계 및 직업교육의 경제적 가치 = 150
2. 직업교육의 경제적 분석 = 156
3. 직업교육과 경제체제 = 162
제8장 직업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 165
1.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 166
2. 직무만족 = 176
3. 일에 대한 동기 = 178
4. 직업기초능력 = 180
제3부 직업교육의 과정
제9장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 189
1. 교육과정의 개념 = 189
2.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의 특성 = 191
3. 직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모형 = 197
4. 교육과정의 계획 = 199
5. 교육과정의 개발(내용결정) = 201
6. 교육과정의 목적 = 215
제10장 교육과정의 전개 = 221
1. 수업목표의 설정 = 222
2.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230
3. 수업의 전개 = 237
4. 수업평가 = 247
제11장 산학협동교육 = 255
1. 산학협동의 이론적 배경 = 255
2. 현장실습의 계획과 운영 = 270
3. 현장실습의 평가 = 276
제12장 진로지도 = 283
1. 진로지도의 개념 = 283
2. 진로발달의 이론 = 290
3. 진로지도를 위한 서비스 = 294
4. 진로지도의 원리 = 297
5. 진로지도의 방법 = 302
6. 각급 학교에서의 진로지도 = 305
제13장 직업교육의 평가 = 311
1. 평가의 개념 = 311
2. 직업교육의 평가 = 316
3. 교육과정의 평가 = 320
4. 수업평가 = 326
제4부 직업교육의 운영
제14장 직업·기술교사의 교육 = 341
1. 직업·기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 341
2. 직업·기술교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 = 345
3. 직업·기술교사 교육의 개선 방향 = 352
제15장 직업교육의 행정 및 장학 = 361
1. 직업교육의 행정 기초 = 361
2. 직업교육의 행정 과정 = 365
3. 직업교육의 장학 = 383
제5부 직업교육의 좌표
제16장 직업교육의 원리 = 395
1. 직업교육의 이념 = 396
2. 직업교육의 체제 = 398
3. 직업교육의 계획 = 399
4. 직업교육의 과정 = 400
5. 직업교육의 방법 = 402
6. 진로지도 = 403
7. 직업교육을 위한 연구와 평가 = 405
8. 교사교육 = 406
9. 직업교육의 행정 = 406
10. 산학협동 = 407
제17장 직업교육의 동향과 당면 과제 = 411
1. 세계 직업교육의 동향 = 411
2. 우리 나라 직업교육의 동향 = 424
3. 직업교육의 당면 과제 = 432
제18장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 441
1. 실용주의적 교육관 확립 = 442
2. 직업교육 이념 및 체제의 재정립 = 444
3. 직업교육 행정의 강화 = 449
4.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내실화 = 451
5. 진로지도의 강화 = 454
6. 평가체제의 강화 = 456
7. 우수 직업·기술교사 확보 = 457
8. 산학협동 교육 강화 = 458
9. 국민의 건전한 직업의식 고취 = 460
찾아보기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