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시경제학 [개정판]

미시경제학 [개정판] (Loan 6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진근 신동천 김영세
Title Statement
미시경제학 / 박진근 ; 신동천 ; 김영세 공저.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世經社 ,   1999.  
Physical Medium
589 p. : 삽도 ; 23 cm.
ISBN
8971270624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662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643222
005 20100806071630
007 ta
008 990823s1999 ulka 001a kor
020 ▼a 8971270624 ▼g 93320 :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2414 ▼l 111132415 ▼l 111132416
082 0 4 ▼a 338.5 ▼2 21
090 ▼a 338.5 ▼b 1999c
100 1 ▼a 박진근 ▼0 AUTH(211009)77717
245 1 0 ▼a 미시경제학 / ▼d 박진근 ; ▼e 신동천 ; ▼e 김영세 공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世經社 , ▼c 1999.
300 ▼a 589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신동천 ▼0 AUTH(211009)130746
700 1 ▼a 김영세 ▼0 AUTH(211009)137750
950 0 ▼b \2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c Accession No. 1111324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c Accession No. 1111324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진근(지은이)

국무총리실, 재무부, 상공부 및 국방부 정책 자문위원 역임. 금융통화운영위원 및 외자도입심의위원 역임. 한국경제신문 및 중앙경제신문 비상임논설위원 역임. 한국은행, 관세청, 한국개발연구원,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해운연구원,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 LG 경제연구원, 한국에너지경제 연구원 및 한국경제연구원 자문위원 역임. 국민경제제도연구원 감사 역임. 국세청, 관세청, 한국수출입은행, 상공부, 한국보험공사 심의위원 역임. 제 7차 5개년 경제사회발전계획 부문계획위원 역임. 교육부 학술진흥위원 및 1종도서편찬 심의위원 역임. (국회)경제난 극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위원 역임. 노동부 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역임. 제2기 노사정위원회 금융산업발전대책위원회 위원장 역임. 한국경제학회장, 한국국제경제학회장 및 한국동북아 경제학회장 역임. 서강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 조교수 역임. 한국개발연구원 초빙연구원 역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장 및 재무처장 역임. 현재 세제발전 심의위원. 교육부(지방교육제정) , 관세청,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수출보험공사 및 예금보험공사자문위원. 정보통신사업 경영전략 공동연구소 이사. 한국응용경제학회장. 한국수출보험학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편 미시경제학의 개념
 제1장 경제학의 개념과 방법론
  1.1 경제학의 개념 = 19
  1.2 경제학의 방법론 = 21
   1.2.1 경제이론(혹은 경제모형) = 22
   1.2.2 바람직한 경제모형의 조건 = 24
 제2장 미시경제학의 개념과 특징
  2.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27
  2.2 경제주체의 합리성과 적정화 = 28
  2.3 미시경제학의 분석기법 = 29
제Ⅱ편 소비자선호와 수요
 제3장 선호관계와 효용함수
  3.1 선호관계 = 35
   3.1.1 상품묶음과 상품공간 = 36
   3.1.2 선호관계의 성격 = 37
  3.2 효용함수 = 44
   3.2.1 선호관계와 효용함수 = 44
   3.2.2 무차별곡선 = 48
  3.3 한계효용과 한계대체율 = 55
   3.3.1 한계효용 = 55
   3.3.2 한계대체율 = 57
  3.4 한계대체율의 특성과 선호 = 60
   3.4.1 선호의 차이와 한계대체율 = 60
   3.4.2 소비구조와 한계대체율 = 62
   3.4.3 대체 및 보완관계와 한계대체율 = 63
 제4장 효용극대화와 소비자의 최적선택
  4.1 예산제약과 예산선 = 67
   4.1.1 경쟁적 예산집합과 예산선 = 69
   4.1.2 예산선의 변화 = 71
  4.2 효용극대화 = 72
   4.2.1 효용극대화원리 = 72
   4.2.2 복수제약조건과 효용극대화 = 76
 제5장 수요
  5.1 소득의 변화와 수요 = 81
   5.1.1 소득-소비곡선과 엥겔 곡선 = 82
   5.1.2 수요의 소득탄력성 = 83
  5.2 가격의 변화와 수요 = 85
   5.2.1 가격-소비곡선과 수요곡선 = 86
   5.2.2 수요의 가격탄력성 = 87
  5.3 수요함수 = 90
   5.3.1 개별소비자의 수요함수 = 90
   5.3.2 시장수요함수와 시장수요곡선 = 92
  5.4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94
   5.4.1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94
   5.4.2 기펜의 역설 = 97
  5.5 보상수요와 통상수요 = 99
   5.5.1 보상수요와 보상수요곡선 = 100
   5.5.2 보상수요와 통상수요의 관계 : 스러츠키 방정식 = 103
  5.6 소비자잉여 = 106
   5.6.1 소비자잉여의 개념 = 107
   5.6.2 보상변동 = 108
   5.6.3 동등변동 = 111
   5.6.4 마샬의 소비자잉여와 실질소득의 변화 = 114
  5.7 소비외부성과 수요 = 115
   5.7.1 긍정적 망외부효과와 수요 = 116
   5.7.2 부정적 망외부효과와 수요 = 118
 제6장 현시선호와 실질소득의 변화
  6.1 현시선호이론 = 123
   6.1.1 현시선호와 약공리 = 124
   6.1.2 현시선호의 강공리와 효용가설 = 127
  6.2 실질소득의 변화와 지수 = 130
   6.2.1 물량지수와 실질소득의 변화 = 132
   6.2.2 가격지수와 실질소득의 변화 = 138
 제7장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7.1 불확실성의 개념 = 142
  7.2 기대효용 = 144
  7.3 위험에 대한 태도 = 148
   7.3.1 위험회피 = 148
   7.3.2 위험회피도 = 150
   7.3.3 위험할증금 = 152
  7.4 기대효용가설의 응용 = 154
   7.4.1 위험의 분산 = 154
   7.4.2 탈세 = 161
  부록 Ⅱ.A.1 효용극대화와 통상수요함수 = 165
  부록 Ⅱ.A.2 지출극소화와 보상수요함수 = 167
제Ⅲ편 생산기술과 비용
 제8장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8.1 기업과 이윤극대화 = 173
   8.1.1 기업의 목표 = 174
   8.1.2 이윤극대화와 생산기술 = 175
  8.2 생산함수 = 177
   8.2.1 생산함수의 개념 = 177
   8.2.2 한계생산물과 평균생산물 = 179
  8.3 생산함수와 등량곡선 = 181
   8.3.1 등량곡선의 개념 = 181
   8.3.2 등량곡선의 모양 = 183
  8.4 한계기술대체율 = 187
   8.4.1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법칙과 생산기술의 볼록성 = 188
   8.4.2 요소의 대체탄력성 = 189
  8.5 규모에 대한 수확 = 192
   8.5.1 규모에 대한 수확의 개념 = 192
   8.5.2 규모에 대한 수확과 생산함수의 동차성 = 195
  8.6 요소집약성 = 197
 제9장 비용과 비용함수
  9.1 비용극소화 = 202
   9.1.1 등비용선 = 202
   9.1.2 요소투입의 적정선택 = 203
  9.2 비용함수와 비용곡선 = 208
   9.2.1 총비용함수 = 208
   9.2.2 단기비용곡선 = 209
   9.2.3 장기비용곡선 = 214
  9.3 규모의 경제와 비용 = 219
   9.3.1 규모의 경제 개념 = 219
   9.3.2 규모에 대한 수확 정도와 규모의 경제 = 220
   9.3.3 고정비용과 규모의 경제 = 222
   9.3.4 규모의 경제와 학습효과 = 224
  9.4 범위의 경제와 비용 = 227
   9.4.1 결합생산 = 227
   9.4.2 범위의 경제와 비용 = 231
 제10장 생산기술의 발전과 비용
  10.1 기술발전의 유형 = 238
  10.2 기수발전과 생산물 및 비용곡선 = 240
  부록 Ⅲ.A.1 비용극소화와 비용함수 = 243
제Ⅳ편 완전경쟁과 일반균형
 제11장 완전경쟁시장
  11.1 완전경쟁시장의 조건 = 248
  11.2 완전경쟁시장과 단기공급 = 251
   11.2.1 단기이윤극대화 = 251
   11.2.2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255
   11.2.3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257
  11.3 완전경쟁시장과 장기공급 = 258
   11.3.1 장기이윤극대화와 공급조정 = 258
   11.3.2 장기공급과 장기균형 = 260
  11.4 요소가격의 변화와 장기공급곡선 = 261
   11.4.1 비용불변산업 = 262
   11.4.2 비용증가산업 = 263
   11.4.3 비용감소산업 = 264
  11.5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 265
  11.6 완전경쟁과 경합시장 = 268
   11.6.1 시장경합성의 개념 = 268
   11.6.2 완전경쟁균형과 완정경합균형 = 270
  11.7 완전경쟁과 경제적 후생 = 272
   11.7.1 생산자잉여 = 273
   11.7.2 완전경쟁시장의 균형과 총잉여 = 275
 제12장 일반균형과 효율적 자원배분
  12.1 일반균형의 개념 = 279
   12.1.1 시장들 사이의 연관관계 = 280
   12.1.2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 282
  12.2 교환경제의 일반균형 = 283
   12.2.1 2-소비자, 2-상품의 경우 = 283
   12.2.2 다수소비자, 다수상품의 경우 = 293
  12.3 교환경제에서의 효율성 = 294
   12.3.1 파레토 최적 = 296
   12.3.2 코아 = 299
  12.4 생산경제의 일반균형과 효율성 = 302
   12.4.1 능률곡선과 생산가능곡선 = 303
   12.4.2 생산경제의 일반균형 = 306
  12.5 균형의 안정성 = 311
   12.5.1 왈라스의 조정과정 = 312
   12.5.2 마샬의 조정과정 = 315
   12.5.3 거미집 모형 = 317
  부록 Ⅳ.A.1 이윤극대화문제와 쌍대성 = 323
  부록 Ⅳ.A.2 결합생산과 이윤극대화 = 325
  부록 Ⅳ.A.3 거미집 조정과정 = 327
제Ⅴ편 불완전경쟁과 게임
 제13장 독점
  13.1 독점이 존재하는 이유 = 334
  13.2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 337
   13.2.1 독점기업의 단기균형 = 338
   13.2.2 독점기업의 장기균형 = 342
  13.3 독점기업의 가격정책 = 344
   13.3.1 가격차별 = 344
   13.3.2 이부가격제 = 350
  13.4 독점과 경제적 후생 = 351
   13.4.1 독점과 자중손실 = 352
   13.4.2 독점과 지대추구행위 = 353
  13.5 독점에 대한 규제 = 354
   13.5.1 가격규제 = 355
   13.5.2 조세부과 = 358
   13.5.3 수입자유화 = 359
 제14장 독점적 경쟁
  14.1 독점적 경쟁의 개념 = 361
   14.1.1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성 = 361
   14.1.2 차별화된 제품들에 대한 수요 = 363
  14.2 독점적 경쟁시장의 균형 = 365
   14.2.1 단기균형 = 365
   14.2.2 장기균형 = 366
  14.3 독점적 경쟁과 경제적 후생 = 368
 제15장 과점
  15.1 과점의 개념 = 371
  15.2 생산량 결정모형 = 373
   15.2.1 꾸르노-내쉬 모형 = 373
   15.2.2 생산량 선도모형 = 378
  15.3 가격결정모형 = 381
   15.3.1 동질적 제품의 경우 = 381
   15.3.2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 383
  15.4 기타의 과점시장모형 = 386
   15.4.1 굴절수요곡선 = 386
   15.4.2 지배적 기업모형 = 389
   15.4.3 가격선도 및 가격신호 = 390
   15.4.4 동태적 과점과 담합 = 393
 제16장 게임과 전략
  16.1 게임의 개념 = 399
  16.2 게임의 구성요소 = 402
  16.3 게임의 분류 = 405
   16.3.1 전개형 게임 = 405
   16.3.2 전략형 게임 = 408
  16.4 우월전략과 열등전략 = 410
  16.5 내쉬 균형 = 413
   16.5.1 순수전략 내쉬 균형 = 414
   16.5.2 혼합전략 내쉬 균형 = 418
   16.5.3 혼합균형의 응용 : 근무태도검열 게임 = 421
  16.6 전개형 게임과 부분게임 완전균형 = 424
  16.7 반복 게임과 협조체제 = 430
제Ⅵ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
 제17장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17.1 완전경쟁적 요소시장 = 437
   17.1.1 가변요소가 하나인 경우 = 437
   17.1.2 가변요소가 둘 이상인 경우 = 444
   17.1.3 요소수요의 가격탄력성 = 449
  17.2 수요독점 요소시장 = 451
   17.2.1 요소의 수요독점과 기업의 요소수요 = 452
   17.2.2 요소수요독점과 자중손실 = 455
  17.3 자본수요와 투자 = 457
   17.3.1 자본재와 자본 서비스 = 457
   17.3.2 자본 서비스의 가격 = 458
   17.3.3 자본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투자 = 460
 제18장 생산요소의 공급
  18.1 노동의 공급 = 466
   18.1.1 후방굴절의 노동공급곡선 = 467
   18.1.2 노동공급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470
   18.1.3 노동의 시장공급곡선 = 471
  18.2 요소의 공급독점 = 472
   18.2.1 자가수요가 없는 경우 = 473
   18.2.2 자가수요가 있는 경우 = 474
  18.3 노동조합과 노동공급 = 476
   18.3.1 임금인상과 고용 = 477
   18.3.2 노동조합의 목표와 효과 = 479
  18.4 최저임금제와 고용 = 480
   18.4.1 완전경쟁노동시장과 최저임금제 = 481
   18.4.2 수요독점노동시장과 최저임금제 = 482
  18.5 요소공급과 경제적 지대 = 483
   18.5.1 경제적 지대 = 484
   18.5.2 준지대 = 489
제Ⅶ편 시장의 실패와 후생경제학
 제19장 외부효과와 공공재
  19.1 외부효과의 개념 = 497
   19.1.1 금전적 외부효과 = 498
   19.1.2 기술적 외부효과 = 500
   19.1.3 외부효과의 발생범위 = 502
  19.2 기술적 외부효과 = 502
   19.2.1 개별기업의 생산량에 미치는 효과 = 503
   19.2.2 산업과 상품가격에 미치는 효과 = 505
  19.3 외부효과의 해결책 = 506
   19.3.1 피구의 조세 = 507
   19.3.2 통합에 의한 해결 = 507
   19.3.3 코즈의 정리 = 508
  19.4 오염공해문제 = 510
   19.4.1 오염배출과 시장실패 = 510
   19.4.2 오염배출기준의 설정 = 512
   19.4.3 오염배출세의 부과 = 512
   19.4.4 매매가능한 오염허가증 발부 = 517
  19.5 공공재의 존재와 시장의 실패 = 518
   19.5.1 공공재의 개념 = 518
   19.5.2 공공재의 시장수요 = 519
   19.5.3 공공재의 최적생산 = 521
   19.5.4 공공재의 시장의 실패 = 523
  19.6 정부의 실패 = 526
 제20장 비대칭정보와 시장의 실패
  20.1 정보경제학의 개념 = 529
  20.2 불완전정보와 역선택 = 530
   20.2.1 역선택의 개념 = 530
   20.2.2 생산물시장에서의 역선택 = 531
   20.2.3 보험과 역선택 = 531
   20.2.4 기타시장에서의 역선택 = 536
  20.3 신호와 선별 : 역선택의 해결 = 537
   20.3.1 선별 = 537
   20.3.2 신호 = 538
   20.3.3 자기선택 = 545
  20.4 불완전정보와 도덕적 해이 = 547
   20.4.1 주-대리인문제 = 547
   20.4.2 기타의 도덕적 해이 = 550
   20.4.3 유인설계 : 도덕적 해이의 해결 = 551
 제21장 후생경제학
  21.1 후생경제학의 기본정리 = 557
   21.1.1 후생경제학의 제1기본정리 = 559
   21.1.2 후생경제학의 제2기본정리 = 561
  21.2 사회후생함수 = 563
   21.2.1 사회후생함수의 개념과 존재 = 563
   21.2.2 사회후생함수의 종류 = 567
  21.3 사회적 최적선택과 차선이론 = 572
   21.3.1 사회적 최적선택 = 572
   21.3.2 차선의 이론 = 57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Potter, Robert B.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