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54n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643018 | |
005 | 20100806071335 | |
007 | ta | |
008 | 990819s1999 ulka 001a kor | |
020 | ▼a 8988297113 ▼g 93710 : ▼c \1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497.5 |
090 | ▼a 497.5 ▼b 1999q | |
100 | 1 | ▼a 이관규 ▼0 AUTH(211009)19032 |
245 | 1 0 | ▼a 학교 문법론 / ▼d 이관규 지음. |
260 | ▼a 서울 : ▼b 月印, ▼c 1999. | |
300 | ▼a 474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으로 "역대 학교 문법 교과서 일람표(p. [459]-464)" 수록 | |
500 | ▼a 찾아보기 : p. [465]-474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650 | 4 | ▼a Korean language ▼x Grammar. |
650 | 4 | ▼a Korean language ▼x Grammar ▼x History. |
650 | 4 | ▼a Korean language ▼x Grammar, Historical. |
650 | 4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900 | 1 1 | ▼a Yi, Kwan-gyu, ▼d 1961- |
940 | ▼a Hakkyo munpopron | |
950 | 0 | ▼b \15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1999q | 등록번호 1111326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1999q | 등록번호 1111326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1999q | 등록번호 1111326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497.5 1999q | 등록번호 1410080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497.5 1999q | 등록번호 192018498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관규(지은이)
저자는 충청남도 부여에서 출생하고 서울에서 청소년기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공부를 하였다.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와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교육학회와 한국문법교육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하였고,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심의위원, 국립국어원 국어규범정비위원회 정비위원을 맡는 등 여러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학교문법론>>, <<학교문법교육론>>,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등 주로 문법 교육 분야의 저술을 집필하였으며, 최근에는 <<북한의 학교문법론>>, <<남북한 어문 규범의 변천과 과제>>를 집필하고 <<체계기능언어학 개관>>을 발간하는 등 연구 영역을 새로이 확장하고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학교 문법의 성격과 역사 = 13 1.1. 학교 문법의 성격과 명칭 = 13 1.2. 학교 문법의 필요성 = 18 1.3. 학교 문법의 역사 = 22 제2장 학교 문법의 내용 체계 = 37 2.1. 기존 논의 및 문제점 = 37 2.2. 학교 문법의 내용 체계 = 43 제3장 언어와 국어 = 49 3.1. 언어와 인간 = 49 3.2. 언어의 일반성 = 53 3.3. 국어의 특수성 = 56 제4장 음운론 = 63 4.1. 음성과 음운 = 63 4.2. 음운 체계 = 65 4.3. 음절 구조 = 74 4.4. 음운의 변동 = 76 4.5. 어감의 분화 = 88 제5장 형태론 = 91 5.1. 형태소와 단어 = 91 5.2. 품사의 종류와 특성 = 101 5.3. 단어 형성법 = 144 제6장 문장론 = 163 6.1. 문장론의 문법 단위 = 163 6.2. 문장 성분의 종류와 특성 = 167 6.3. 문장의 확대 = 183 6.4.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 190 제7장 의미론 = 231 7.1. 어휘 의미론 = 231 7.2. 문장 의미론 = 239 7.3. 의미 변화의 원인과 유형 = 253 제8장 화용론 = 259 8.1. 이야기의 구성과 기능 = 260 8.2.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 = 268 제9장 중세 국어 문법 = 283 9.1. 문자와 말소리 = 284 9.2. 단어 = 293 9.3. 문장 = 313 9.4. 이야기 = 321 제10장 국어사 = 325 10.1. 국어의 형성과 역사 = 325 10.2. 음운의 변천 = 329 10.3. 어휘의 변천 = 338 10.4. 문법의 변천 = 344 제11장 국어 어문 규정 = 353 11.1. 어문 규정의 종류 = 353 11.2. 어문 규정의 내용 = 355 11.3. 어문 규정의 몇가지 불일치 = 361 제12장 바른 국어 생활 = 383 12.1. 발음 = 383 12.2. 단어 = 395 12.3. 문장 = 405 제13장 국어 사랑 = 415 13.1. 조선어 학회 사건 = 415 13.2. 한힌샘 주시경의 사상과 학문 = 425 13.3. 외솔 최현배의 사상과 학문 = 436 참고문헌 = 449 (부록) 역대 학교 문법 교과서 일람표 = 459 찾아보기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