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구성주의 교육을 위한 입문 : 구성주의 교육의 조절 / 조용기 = 1
제Ⅰ부 구성주의 교육의 태동
1. 해석학과 구성주의 / 최선일 = 13
1. 앎과 이해 그리고 구성 = 13
2. 해석학과 이해 = 16
3. 데카르트적 유산 : 주, 객 이원론 = 18
4. 이해와 해석 그리고 적용(실천) = 20
5. 구성주의와 해석학의 연관성 = 30
2. 구성주의의 심리학적 근저 / 이명숙 = 35
1. 심리학의 구성주의적 전환 = 36
2. Piaget의 구성주의 입장 = 44
3.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접근 = 49
4. 구성주의 이론의 중재 = 56
제Ⅱ부 구성주의 교육의 여러 모습
3. 급진적 구성주의 / 이종원 = 65
1. 객관적 세계와 자아, 그리고 주체 = 66
2. 지식의 구성과 Piaget = 68
3. 급진적 구성주의에 있어서 지식의 구성 = 71
4. 사회적 구성주의 / 이종일 = 77
1. 사회적 구성주의의 성립과 전개 = 77
2.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토대 = 84
3.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95
4. 맺음말 = 101
5. 사회문화주의와 구성주의 / 이종일 = 105
1.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패러다임적 위치 = 106
2. 구성주의에 대한 사회문화주의 비판 = 110
3. 사회문화주의의 토대 = 113
4. 비고츠키의 이론적 토대 = 118
5. 사회문화주의와 구성주의와의 관계 = 125
6. 맺음말 = 128
제Ⅲ부 구성주의 교육이론
6.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 조용기 = 133
1. 맥락적 이해 = 134
2. "삶"으로서 맥락 = 137
3. 자실성 = 139
4. 맥락의 사회성 : 대화 = 143
5. 맥락의 다양성 : 겸손과 관용 = 144
7. 구성주의 교수-학습 / 조영남 = 151
1. 전통적 교수-학습관과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 153
2. 구성주의의 주요 교수-학습원리 = 156
3. 구성주의의 주요 학습이론과 수업설계 모형 = 166
4. 맺음말 = 176
8.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 홍기칠 = 181
1. 구성주의적 학습환경 구축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 = 182
2. 컴퓨터 중심 매체 환경 = 186
3. 구성주의 수업환경으로서의 인터넷 = 189
4.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택수업 = 194
5. 구성주의에 근거한 온라인 가상대학 = 196
6. 교육개혁 : 학교 재구조화·구성주의·공학의 상호작용 = 202
9. 문제중심학습 / 강인애 = 211
1. 들어가며 = 211
2. 포스트머더니즘과 정보화에 비추어 본 구성주의 = 212
3.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 216
4.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 PBL = 221
5. 실제 사례를 통해 본 PBL의 가능성과 고려 사항 = 232
6. 결론 = 237
10. 구성주의 교사교육 / 이원희 = 243
1. 교사교육의 반성 = 244
2. 구성주의 교사교육의 구성 = 250
3. 교사교육이 방향 전환 = 261
제Ⅳ부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11. 도덕과의 구성주의적 대화학습 이론과 실재 / 김종문 = 267
1. 인간성과 도덕적 삶의 근거로서 대화 = 267
2. 가다버의 해석학에서 말하는 대화의 놀이 = 268
3. 구성주의가 말하는 지식과 교육 문제 = 269
4. 대화와 교실문화 = 272
5. 스테퍼가 말하는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방법 = 274
6. 구성주의 이론을 응용한 도덕과의 대화학습 절차 = 276
7. 도덕과의 구성주의적 대화학습의 연구수업과 평가협회 = 277
12. 사회과 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 송언근 = 283
1. 구성주의와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 = 284
2. 사회과 지리교육의 통념적 인식에서 구성주의적 인식으로의 전환 = 293
3. 구성주의적 사회과 지리교육을 위한 전제 = 300
4. 구성주의적 사회과 지리교육을 위한 구성 = 305
5. 요약 및 결론 = 310
13. 수학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 남승인 = 315
1. 수학교육에서 구성주의의 역사적 배경 = 315
2. 수학교육에서의 구성주의가 대두된 배경 = 318
3. 수학교육에서 구성주의의 기본 입장 = 321
4. 구성주의와 소집단 활동 = 323
5.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사의 역할 = 326
14. 수학학습과 구성주의 / 최창우 = 333
1. 구성주의의 이념 = 333
2. 구성주의의 수학교육학적 의미 = 336
3. 아동의 수학적 개념구성에 대한 교사의 역할 = 338
4.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실활동의 실제 = 347
5. 구성주의와 수학교육 평가 = 352
6. 결론 = 354
15. 과학학습과 구성주의 / 권성기 = 361
1. 서론 = 361
2. 과학학습에 대한 입장 = 365
3. 과학학습에 대한 구성주의 = 373
4. 구성주의 학습관에 따른 과학학습 모형 = 379
5.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 = 384
6. 구성주의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 385
집필자소개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