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는 말 = ⅲ
제1부 지적 전통, 개념 정의, 연구방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 조용환 = 3
Ⅰ. 서론 : 인식방법으로서의 질과 양 = 4
Ⅱ.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패러다임적 구분 = 5
Ⅲ.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차이점 = 8
Ⅳ. 결론 : 질적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 19
참고문헌 = 21
2. 교육인류학의 기본개념과 전망에 대한 논의 / 이용숙 = 23
Ⅰ. 머리말 = 23
Ⅱ. 인류학적 연구의 기본적 관점 = 24
Ⅲ. 교육인류학의 기본개념 = 31
Ⅳ. 인류학의 두가지 최근동향 = 38
Ⅴ. 맺는말 : 교육인류학 연구의 다양성 = 41
참고문헌 = 43
3.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 김영천 = 47
Ⅰ. 시작 = 47
Ⅱ. 질적 / 후기실증주의의 지적 전통 = 49
Ⅲ. 질적 연구의 모범적 예 = 60
Ⅳ. 종합적 논의와 시사점 = 67
참고문헌 = 69
4.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 김영천 = 73
Ⅰ. 질적 연구방법론 강의에서의 귀중한 경험 = 73
Ⅱ. 질적 연구를 위한 다섯 개의 연구과정 = 75
Ⅲ. 끝맺는 말 = 101
참고문헌 = 104
5. 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자료의 분석 / 이용숙 = 107
Ⅰ. 머리말 = 107
Ⅱ. 자료 수집방법 및 기록방법 = 110
Ⅲ. 자료 분석방법 = 135
Ⅳ. 질적 연구방법의 현장적용 = 182
Ⅴ. 맺는 말 = 184
참고문헌 = 185
6. 질적 연구에서의 일반성 / 조재식 = 187
Ⅰ. 서론 = 187
Ⅱ. 전통적 연구의 일반화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일반성 = 188
Ⅲ. 3단계 방법론 정체성 발달 = 191
Ⅳ. 다양한 질적 연구의 일반화 방식들 = 195
Ⅴ. 전망 : 고정관념을 넘어서 = 202
참고문헌 = 204
7. 교육학에서의 질적 연구 / 김영천 = 209
Ⅰ. 서론 = 209
Ⅱ. 미국에서의 질적 연구 = 210
Ⅲ. 우리나라의 질적 연구 = 217
Ⅳ. 대학원의 질적 연구수업 = 221
Ⅴ. 참고문헌 = 228
제2부 질적 연구를 통한 학교교육의 이해
8. 한국 학교문화의 특성과 잠재적 교육과정 / 이용숙 = 239
Ⅰ. 한국 학교의 핵심적 학교문화 : 획일성·위계성 = 240
Ⅱ. 한국 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 247
Ⅲ. 결론 : 변화의 가능성과 변화의 방향 = 264
참고문헌 = 271
9.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과활동과 교내외의 일상생활 / 유재정 = 275
Ⅰ. 들어가는 글 = 275
Ⅱ. 연구문제와 방법 = 277
Ⅲ. 학교생활과 교과활동 : 겉도는 교육 = 277
Ⅳ. 교내외의 일상 생활 : 현재 지향적 삶과 '노는 문화' = 291
Ⅴ. 맺는 글 = 296
참고문헌 = 299
10. 공고생들의 삶과 일의 의미 / 김용호 = 301
Ⅰ. 주제의 설정 = 301
Ⅱ. 일과 관련된 의미의 생성 = 303
Ⅲ. 일과 관련된 의미들의 갈등 = 307
Ⅳ. 일과 관련된 새로운 의미의 형성 = 310
Ⅴ. 결어 = 317
참고문헌 = 319
11. 열린 초등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이정선 = 321
Ⅰ. 서론 = 321
Ⅱ. 연구방법 = 323
Ⅲ. 열린교수-학습의 형태 = 325
Ⅳ. 열린학교에서의 효과적인 학생통제방법 = 336
Ⅴ. 결론 = 353
참고문헌 = 354
12. 학생 통제와 교육 / 배은주 = 357
Ⅰ. 통제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 = 357
Ⅱ. '샛별'중학교에 대하여 = 360
Ⅲ. 교사들의 통제 전략 = 361
Ⅳ. 학생들의 대응 전략 = 365
Ⅴ. 통제의 원리 = 268
Ⅵ. 통제의 의미 = 371
Ⅶ. 논의 및 결론 = 373
참고문헌 = 375
13.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 유한구;김승호 = 377
Ⅰ. 서론 = 377
Ⅱ. 방법론적 고찰 = 379
Ⅲ.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 = 384
Ⅳ. 결론 = 394
참고문헌 = 396
14. 교실질서의 성취와 회복 / 김영천 = 397
Ⅰ. 머리말 = 397
Ⅱ. 선행연구 = 399
Ⅲ.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질서의 문화적 실제들 = 405
Ⅳ. 논의 = 419
참고문헌 = 421
15. 정형화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 조영달 = 425
Ⅰ. 서론 = 425
Ⅱ. 교실 수업 분석에 대한 연구동향과 연구 문제 = 429
Ⅲ. 한국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조직과 구성 = 436
Ⅳ. 결론 = 451
참고문헌 = 456
16. 다중지능 교실의 아이들 / 정태희 = 459
Ⅰ. 서론 = 459
Ⅱ.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개발 = 460
Ⅲ. 연구방법 = 464
Ⅳ. 연구결과 = 464
Ⅴ. 개인적 지능에 기초한 교육과정이 한국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 483
참고문헌 = 485
17. 우리 사회 재수생, 그들의 자화상 / 배수옥 = 489
Ⅰ. 들어가는 말 = 489
Ⅱ. 재수생의 정체성 = 491
Ⅲ. 생각해 볼 문제 = 502
참고문헌 = 504
18. '노는 애들'의 세계 / 이혜정 = 507
Ⅰ. 서론 = 507
Ⅱ. '노는 애'로의 입문 = 509
Ⅲ. '노는 애들'의 모습 = 514
Ⅳ. '노는 애'로의 정착 = 516
Ⅴ. 결론 = 521
참고문헌 = 523
제3부 학교현장의 개선과 질적 연구
19. 질적 연구 패러다임과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527
Ⅰ. 시작하는 글 = 527
Ⅱ. 네 학교 이야기 : 그 네가지 주제 = 529
Ⅲ.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 연구 주제 = 538
Ⅳ. 끝맺는 말 = 554
참고문헌 = 556
20.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 연구 / 최의창 = 559
Ⅰ. 서언 : 개선의 진원 = 559
Ⅱ. 학교교육의 개선과 교사연구자 = 562
Ⅲ. 현장개선 연구 = 567
Ⅳ. 한국교육에서의 교사연구자와 현장개선 연구 = 575
Ⅴ. 결론 : 대학의 지혜 = 578
참고문헌 = 581
21. 응용인류학적 교육연구 : 열린교육 연구사례 / 이용숙 = 587
Ⅰ. 열린교육과의 만남 = 587
Ⅱ. 기초 인류학적 열린교육 연구의 시작 = 590
Ⅲ. 열린교육 연구의 일상생활화와 열린교육 운동의 시작 = 594
Ⅳ. 응용인류학적 열린교육 연구의 수행 = 595
Ⅴ. 열린교육 실행연구의 단계로 = 598
Ⅵ. 맺는 말 = 601
편집후기 =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