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15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용숙 김영천
서명 / 저자사항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 이용숙 ; 김영천 [공편].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1998.  
형태사항
xii, 604 p. : 삽도 ; 26 cm.
ISBN
898287254X
서지주기
참고문헌
000 00639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42968
005 20100806071313
007 ta
008 990819s1998 ulka 000a kor
020 ▼a 898287254X ▼g 93370 : ▼c \2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24153 ▼l 111124154 ▼l 111124155
082 0 4 ▼a 370.7 ▼2 21
090 ▼a 370.7 ▼b 1998
100 1 ▼a 이용숙 ▼0 AUTH(211009)55047
245 1 0 ▼a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b 방법과 적용 / ▼d 이용숙 ; ▼e 김영천 [공편].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1998.
300 ▼a xii, 604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700 1 ▼a 김영천 ▼0 AUTH(211009)91108
950 0 ▼b \20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7 1998 등록번호 111124153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7 1998 등록번호 1111241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첫째, 질적 연구를 이론적으로 그리고 방법론적인 시각에서 다룬 논문들을 선정하고, 둘째 학교 현장을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들을 선정하고, 셋째 질적 연구의 방법적 논의와 관련하여 우리 학계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관점을 이 책을 통해 소개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용숙(지은이)

이화여대 독문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화여대 독문과에서 강의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문학 및 음악학을 수학하고 서울대 인문대에서 공연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음악평론가 및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국립오페라단 운영자문위원, 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을 역임했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연합뉴스> 문화부 오페라전문 객원기자로 공연리뷰를 기고하고 있다. 무지크바움 등에서 오페라 정기 강좌를 진행하며 서울대를 비롯해 여러 대학, 공연장, 국공립기관, 기업에서 강의한다. 콘서트 해설, 방송 및 일간지, 잡지 기고를 통해서도 음악의 즐거움을 전하고 있다. 저서로 <오페라, 행복한 중독> <지상에 핀 천상의 음악> <춤의 유혹>(<춤에 빠져들다> 개정판) <사랑과 죽음의 아리아>, 공저 <클래식 튠>, <오페라 속의 미학Ⅰ>, 역서로 <책상은 책상이다> <행운아54> <알리스> <천년의 음악여행> <박쥐> 등 40여 권이 있고, 제6회 한독문학번역상을 수상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작하는 말 = ⅲ

제1부 지적 전통, 개념 정의, 연구방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 조용환 = 3

  Ⅰ. 서론 : 인식방법으로서의 질과 양 = 4

  Ⅱ.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패러다임적 구분 = 5

  Ⅲ.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차이점 = 8

  Ⅳ. 결론 : 질적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 19

  참고문헌 = 21

 2. 교육인류학의 기본개념과 전망에 대한 논의 / 이용숙 = 23

  Ⅰ. 머리말 = 23

  Ⅱ. 인류학적 연구의 기본적 관점 = 24

  Ⅲ. 교육인류학의 기본개념 = 31

  Ⅳ. 인류학의 두가지 최근동향 = 38

  Ⅴ. 맺는말 : 교육인류학 연구의 다양성 = 41

  참고문헌 = 43

 3.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 김영천 = 47

  Ⅰ. 시작 = 47

  Ⅱ. 질적 / 후기실증주의의 지적 전통 = 49

  Ⅲ. 질적 연구의 모범적 예 = 60

  Ⅳ. 종합적 논의와 시사점 = 67

  참고문헌 = 69

 4.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 김영천 = 73

  Ⅰ. 질적 연구방법론 강의에서의 귀중한 경험 = 73

  Ⅱ. 질적 연구를 위한 다섯 개의 연구과정 = 75

  Ⅲ. 끝맺는 말 = 101

  참고문헌 = 104

 5. 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자료의 분석 / 이용숙 = 107

  Ⅰ. 머리말 = 107

  Ⅱ. 자료 수집방법 및 기록방법 = 110

  Ⅲ. 자료 분석방법 = 135

  Ⅳ. 질적 연구방법의 현장적용 = 182

  Ⅴ. 맺는 말 = 184

  참고문헌 = 185

 6. 질적 연구에서의 일반성 / 조재식 = 187

  Ⅰ. 서론 = 187

  Ⅱ. 전통적 연구의 일반화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일반성 = 188

  Ⅲ. 3단계 방법론 정체성 발달 = 191

  Ⅳ. 다양한 질적 연구의 일반화 방식들 = 195

  Ⅴ. 전망 : 고정관념을 넘어서 = 202

  참고문헌 = 204

 7. 교육학에서의 질적 연구 / 김영천 = 209

  Ⅰ. 서론 = 209

  Ⅱ. 미국에서의 질적 연구 = 210

  Ⅲ. 우리나라의 질적 연구 = 217

  Ⅳ. 대학원의 질적 연구수업 = 221

  Ⅴ. 참고문헌 = 228

제2부 질적 연구를 통한 학교교육의 이해

 8. 한국 학교문화의 특성과 잠재적 교육과정 / 이용숙 = 239

  Ⅰ. 한국 학교의 핵심적 학교문화 : 획일성·위계성 = 240

  Ⅱ. 한국 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 247

  Ⅲ. 결론 : 변화의 가능성과 변화의 방향 = 264

  참고문헌 = 271

 9.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과활동과 교내외의 일상생활 / 유재정 = 275

  Ⅰ. 들어가는 글 = 275

  Ⅱ. 연구문제와 방법 = 277

  Ⅲ. 학교생활과 교과활동 : 겉도는 교육 = 277

  Ⅳ. 교내외의 일상 생활 : 현재 지향적 삶과 '노는 문화' = 291

  Ⅴ. 맺는 글 = 296

  참고문헌 = 299

 10. 공고생들의 삶과 일의 의미 / 김용호 = 301

  Ⅰ. 주제의 설정 = 301

  Ⅱ. 일과 관련된 의미의 생성 = 303

  Ⅲ. 일과 관련된 의미들의 갈등 = 307

  Ⅳ. 일과 관련된 새로운 의미의 형성 = 310

  Ⅴ. 결어 = 317

  참고문헌 = 319

 11. 열린 초등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이정선 = 321

  Ⅰ. 서론 = 321

  Ⅱ. 연구방법 = 323

  Ⅲ. 열린교수-학습의 형태 = 325

  Ⅳ. 열린학교에서의 효과적인 학생통제방법 = 336

  Ⅴ. 결론 = 353

  참고문헌 = 354

 12. 학생 통제와 교육 / 배은주 = 357

  Ⅰ. 통제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 = 357

  Ⅱ. '샛별'중학교에 대하여 = 360

  Ⅲ. 교사들의 통제 전략 = 361

  Ⅳ. 학생들의 대응 전략 = 365

  Ⅴ. 통제의 원리 = 268

  Ⅵ. 통제의 의미 = 371

  Ⅶ. 논의 및 결론 = 373

  참고문헌 = 375

 13.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 유한구;김승호 = 377

  Ⅰ. 서론 = 377

  Ⅱ. 방법론적 고찰 = 379

  Ⅲ.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 = 384

  Ⅳ. 결론 = 394

  참고문헌 = 396

 14. 교실질서의 성취와 회복 / 김영천 = 397

  Ⅰ. 머리말 = 397

  Ⅱ. 선행연구 = 399

  Ⅲ.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질서의 문화적 실제들 = 405

  Ⅳ. 논의 = 419

  참고문헌 = 421

 15. 정형화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 조영달 = 425

  Ⅰ. 서론 = 425

  Ⅱ. 교실 수업 분석에 대한 연구동향과 연구 문제 = 429

  Ⅲ. 한국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조직과 구성 = 436

  Ⅳ. 결론 = 451

  참고문헌 = 456

 16. 다중지능 교실의 아이들 / 정태희 = 459

  Ⅰ. 서론 = 459

  Ⅱ.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개발 = 460

  Ⅲ. 연구방법 = 464

  Ⅳ. 연구결과 = 464

  Ⅴ. 개인적 지능에 기초한 교육과정이 한국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 483

  참고문헌 = 485

 17. 우리 사회 재수생, 그들의 자화상 / 배수옥 = 489

  Ⅰ. 들어가는 말 = 489

  Ⅱ. 재수생의 정체성 = 491

  Ⅲ. 생각해 볼 문제 = 502

  참고문헌 = 504

 18. '노는 애들'의 세계 / 이혜정 = 507

  Ⅰ. 서론 = 507

  Ⅱ. '노는 애'로의 입문 = 509

  Ⅲ. '노는 애들'의 모습 = 514

  Ⅳ. '노는 애'로의 정착 = 516

  Ⅴ. 결론 = 521

  참고문헌 = 523

제3부 학교현장의 개선과 질적 연구

 19. 질적 연구 패러다임과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 527

  Ⅰ. 시작하는 글 = 527

  Ⅱ. 네 학교 이야기 : 그 네가지 주제 = 529

  Ⅲ.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 연구 주제 = 538

  Ⅳ. 끝맺는 말 = 554

  참고문헌 = 556

 20.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 연구 / 최의창 = 559

  Ⅰ. 서언 : 개선의 진원 = 559

  Ⅱ. 학교교육의 개선과 교사연구자 = 562

  Ⅲ. 현장개선 연구 = 567

  Ⅳ. 한국교육에서의 교사연구자와 현장개선 연구 = 575

  Ⅴ. 결론 : 대학의 지혜 = 578

  참고문헌 = 581

 21. 응용인류학적 교육연구 : 열린교육 연구사례 / 이용숙 = 587

  Ⅰ. 열린교육과의 만남 = 587

  Ⅱ. 기초 인류학적 열린교육 연구의 시작 = 590

  Ⅲ. 열린교육 연구의 일상생활화와 열린교육 운동의 시작 = 594

  Ⅳ. 응용인류학적 열린교육 연구의 수행 = 595

  Ⅴ. 열린교육 실행연구의 단계로 = 598

  Ⅵ. 맺는 말 = 601

편집후기 = 603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