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9
제1부
A. D. 1세기 팔레스틴의 사회구성체 = 17
1. 예수 시대의 사회적 모습 = 17
2. 지리적 조건 = 18
3. 경제적 조건 = 19
4. 사회적 조건 = 22
5. 사회적 신분계층 = 24
6. 정치적 구조 = 24
7. 사회집단들 = 26
8. 이데올로기 제도 = 31
맺음말 = 34
예수어록(Q)의 연구사적 고찰 = 35
1. 문학비평 = 35
2. 양식사 비평 = 39
3. 편집사 비평 = 44
4. 사회사적 고찰 = 56
맺음말 = 64
제2부
예수어록의 종말론 = 67
들어가는 말 = 67
1. 예수어록의 종말론적 동기 = 68
2. 세례자 요한과 종말론적 심판 = 71
3. 예수와 종말론적 해방 = 77
4. 예수어록 담지자들의 종말론적 선교 = 88
맺음말 = 94
성전정화 이야기 = 96
들어가는 말 = 96
1. 개괄적 주석 = 96
2. 잠정적 결론 = 98
3. 구약에 나타난 성전 전통 = 99
4. 구약의 탈(脫)성전 전통 = 100
5. 신약시대 유다교와 성전 = 102
6. 마가복음의 성전이해와 그 배경 = 103
7. 사회학적 지평에서 본 성전의 역할 = 103
8. 성전숙청 사건 = 105
9. 신약성서 다른 곳에 나타난 성전의 상징들 = 107
10. 예비적 결론 = 108
예수의 죽음 = 109
문제제기 = 109
1. 세례자 요한과의 관계 = 110
2. 예수의 대 사회적 입장 = 112
3. 죽음에의 길 = 116
4. 체포, 재판, 죽음 = 120
5. 예비적 결론 = 123
제3부
어록공동체의 원수사랑 계명과 폭력이해 = 127
1. 들어가는 말 = 127
2. 본문비평적 고찰 = 128
3. 원수 사랑 계명군의 문학적 구성 = 140
4. 원수 사랑 계명군의 신학적 동기 = 143
5. 원수 사랑 계명군의 사회사적 고찰 = 155
6. 폭력의 현실과 원수 사랑 계명의 실천 = 161
원시 그리스도교 예수운동과 선교적 실행 = 165
1. 들어가는 말 = 165
2. 몸말 = 166
3. 맺음말 = 187
원시 그리스도교의 평화운동 = 189
1. 열 가지 재앙 = 189
2. 평화의 정의 = 191
3. 구약에서의 평화 = 192
4. 신약의 평화이해 = 197
5. 어록공동체의 평화운동 = 208
맺음말 = 212
제4부
초대 그리스도교의 사회이념과 행태 = 215
들어가는 말 = 215
1. 초대교회 구성원은 중산층이었는가? = 216
2. 가난한 사람들의 예수운동 = 221
3. 초대교회의 사회이념 = 228
4. 제3세계의 빈곤과 신학의 과제 = 235
초대교회 공동체의 복음 이해 = 238
1. 들어가는 말 = 238
2. 예수 말씀의 성장과 초대교회 공동체의 상황 = 241
3. 복음과 제1세대 그리스도교 공동체 = 242
4. 복음과 제2세대 그리스도교 공동체 = 245
5. 복음과 제3세대 그리스도교 공동체 = 246
6. 복음과 한국 교회 = 250
섬기는 지도자 = 251
1. 문학적 삶의 자리 = 251
2. 내용 비평 = 261
3. 종말론적 운명의 전환 = 264
4. 요점과 교훈 = 266
5. 지배에서의 자유 = 267
신약성서에 나타난 평화의 왕 예수 = 269
들어가는 말 = 269
1. 평화에 대한 어원학적 고찰 = 269
2. 묵시문학에 나타난 평화의 왕 예수 = 271
3. 공관복음서에 나타난 평화의 왕 예수 = 276
4.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평화 = 280
5. 바울서신에 나타난 평화 = 282
6. 맺음말 = 285
신약성서와 사회경제 정의(正義) = 287
1. 머리말 = 287
2. 출애굽 사건과 경제정의 = 288
3. 예수의 사회경제관 = 289
4. 초대 교회의 사회경제관 = 292
5. 루가 특수자료(SLk)의 사회경제관 = 294
6. 맺는말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