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1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41744 | |
005 | 20100806065302 | |
007 | ta | |
008 | 990726s1999 ulk 001a kor | |
020 | ▼a 8982063196 ▼g 03910 : ▼c \1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27982 ▼l 111127983 ▼l 111127984 |
082 | 0 4 | ▼a 336.01453 ▼2 21 |
090 | ▼a 336.01453 ▼b 1999 | |
100 | 1 | ▼a 장동표 |
245 | 1 0 | ▼a 朝鮮後期 地方財政硏究 / ▼d 張東杓 著. |
260 | ▼a 서울 : ▼b 國學資料院 , ▼c 1999. | |
300 | ▼a 3, 361 p. ; ▼c 23 cm. | |
490 | 0 0 | ▼a 韓國史硏究叢書 ; ▼v 18 |
500 | ▼a 색인수록 | |
950 | 0 | ▼b \1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92038068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511023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111279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92038068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6.01453 1999 | 등록번호 1511023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장동표(지은이)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와 절강공상대학 동아연구원 객원교수를 지냈다. 주요 학술 활동으로 역사문화학회 회장, (사)부경역사연구소 소장과 편집위원장, 효원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와 한국사연구회 편집위원 등의 일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 지방재정연구>(1999), <사명당 유정>(공저, 2000),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공저, 2004), <남명학파와 영남우도의 사림>(공저, 2004), <산수 이종률 민족혁명론의 역사적 재조명>(공저, 2006), <지방사연구입문>(공저, 2008) 등이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초기에는 조선후기 지방재정 문제였으나, 지금은 주로 조선시기 향촌사회사 연구 및 한중 양국의 향촌사회사 비교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Ⅰ. 서론 = 9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 9 2. 자료에 대하여 = 18 Ⅱ. 地方財政運營의 구조 = 21 1. 관청 조직과 재정기구의 분화 = 21 2. 재정의 수입과 지출 = 26 1) 재정 수입 = 26 2) 재정 지출 = 33 Ⅲ. 吏胥逋欠의 전개와 지방재정 = 43 1. 지방재정의 위기와 포흠 = 43 1) 지방재정의 위기 = 44 2) 逋欠의 의미 = 52 2. 吏逋 발생의 배경 = 56 3. 吏逋의 실제와 관여 계층 = 67 1) 吏胥層 = 67 2) 京主人·營主人 = 75 3) 船主人·創主人 = 80 Ⅳ. 民間逋欠의 전개와 지방재정 = 88 1. 民逋 발생의 배경 = 88 2. 民逋 전개의 실제 = 97 3. 民逋의 성격과 吏逋 = 104 Ⅴ. 吏額의 증가와 지방재정운영 = 112 1. 吏額 문제에 대한 논의 = 112 1) 정부의 관심 = 112 2) 실학자들의 견해 = 118 2. 吏額 증가의 원인 = 124 1) 경제적 利權의 확대 = 124 2) 여러 아문에의 冒屬과 投託 = 131 3. 吏額 증가의 실태와 성격 = 136 1) 중앙 各司의 경우 = 138 2) 지방 관아의 경우 = 143 Ⅵ. 民庫運營의 성격과 재정운영권의 동향 = 153 1. 民庫財政의 성립 = 153 2. 民庫財政의 운영과 성격 = 164 1) 재정 수입 = 164 2) 재정 지출 = 169 3. 民庫財政 운영권의 동향 = 175 1) 재정운영상의 이권 = 175 2) 재정운영권의 동향 = 182 (별표) = 189 Ⅶ. 결론 = 196 제2부 Ⅰ. 18,19세기 국가의 지방지배와 부세정책의 변동 = 209 1. 머리말 = 209 2. 국가의 지방지배의 강화 = 211 3. 18세기 부세정책의 전개 = 216 4. 19세기 전반 부세정책의 변동 = 224 1) 부세운영의 방향 = 224 2) 부세운영의 변화 = 227 5. 맺음말 = 236 Ⅱ. 조선후기 지방재정운영 자료의 분류와 성격 = 240 1. 머리말 = 240 2. 호적·양안 자료와 성격 = 242 3. 삼정운영 자료와 성격 = 249 4. 민고·잡역세 운영 자료와 성격 = 258 5. 사례(책) 자료와 성격 = 262 6. 맺음말 = 265 Ⅲ. 19세기 말 咸安地方의 재정운영과 逋欠 전개 = 269 1. 머리말 = 269 2. 재정운영의 실태와 성격 = 272 1) 삼정운영 = 272 2) 잡세운영과 민고 = 284 3. '吏民逋'의 전재 주체와 해결 과정 = 290 1) 배경과 전개 주체 = 291 2) 해결 과정과 의미 = 298 4. 맺음말 = 310 Ⅳ. 19세기 말 咸安 鄕會의 성격과 재정운영 = 316 1. 머리말 = 316 2. 향회의 기능과 부세운영 = 318 3. 향회운영의 구성원 = 324 4. 향회운영의 성격 = 330 5. 맺음말 = 334 참고문헌 = 337 색인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