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1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641002 | |
005 | 20100806064355 | |
007 | ta | |
008 | 990715s1998 ulk 000a kor | |
020 | ▼a 8936606204 ▼g 03180 : ▼c \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125649 ▼l 111125650 ▼l 111125651 |
082 | 0 4 | ▼a 150.1952 ▼2 21 |
090 | ▼a 150.1952 ▼b 1998b | |
100 | 1 | ▼a Freud, Sigmund , ▼d 1856-1939 ▼0 AUTH(211009)90449 |
245 | 1 0 | ▼a 정신분석입문 / ▼d 프로이트 지음 ; ▼e 김양순 옮김. |
260 | ▼a 서울 : ▼b 일신서적출판사 , ▼c 1998. | |
300 | ▼a 468 p. ; ▼c 23 cm. | |
490 | 0 0 | ▼a 21세기 교양신서 |
700 | 1 | ▼a 김양순 ▼0 AUTH(211009)107544 |
950 | 0 | ▼b \8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1952 1998b | Accession No. 1111256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2 1998b | Accession No. 1111256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2 1998b | Accession No. 1111256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지크문트 프로이트(지은이)
마르크스, 니체와 함께 현대 3대 혁명 사상가다. 프로이트는 의식 일변도의 심리학을 해체하고 종래에는 은폐되었던 무의식의 세계를 들추어냄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추구하고 건강한 정신 상태를 되찾으려고 노력했다. 1856년 5월 6일 모라비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과 빈 대학 의학부에서 학업성적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출중한 학생이었다. 대학에서 브뤼케 교수의 지도를 받으면서 해부학과 생리학에 심취했다. 1885년 파리 살페트리에르 병원장 샤르코 밑에서 장학생으로 약 5개월간 연구하면서 히스테리와 최면술에 특히 관심을 가졌는데, 이것은 장차 정신분석학을 창안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된다. 1886년 프로이트는 마르타 베르나이스와 결혼했으며, 개인 병원을 개원하고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하기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치료와 동시에 정신 신경증에 관한 많은 자료들을 수집하고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 등 두 권의 방대한 저서를 출판하면서 심리학을 넘어서 메타심리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독자적으로 창안하게 되었다. 1906년에는 카를 구스타프 융이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신봉자가 되었으나 1914년 융은 프로이트의 리비도 이론이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에 반대해 프로이트와의 결별을 선언한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자신의 정신분석학을 계속해서 연구하면서 ≪쾌락 원리의 저편≫(1920), ≪자아와 이드≫(1923), ≪환상의 미래≫(1927), ≪문화에서의 불안≫(1930) 등을 출판했다. 1938년 프로이트는 딸 아나 프로이트와 함께 히틀러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런던으로 망명했다. 1923년부터 1939년 죽을 때까지 16년 동안 서른세 번에 걸친 구강암 수술을 받으면서도 끊임없이 연구와 저술에 온 생애를 바쳤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지은이 머리말 제1부 잘못 첫 번째 강의(처음에) = 9 두 번째 강의(잘못) = 19 세 번째 강의(잘못) = 34 네 번째 강의(잘못) = 55 제2부 꿈 다섯 번째 강의(여러 어려움과 첫 만남) = 79 여섯 번째 강의(꿈풀이의 여러 전제와 풀이하는 법) = 96 일곱 번째 강의(꿈의 現在內容과 잠재의식) = 110 여덟 번째 강의(어린이의 꿈) = 123 아홉 번째 강의(꿈의 검열) = 134 열 번째 강의(꿈의 상징적 표현) = 147 열한 번째 강의(꿈의 작업) = 167 열두 번째 강의(꿈을 분석한 실예들) = 181 열세 번째 강의(꿈의 太古的特質과 幼兒性) = 197 열네 번째 강의(소망충족) = 213 열다섯 번째 강의(불확실한 것과 비판) = 229 제3부 노이로제 총론 열여섯 번째 강의(정신분석과 정신의학) = 245 열일곱 번째 강의(증상의 뜻) = 259 열여덟 번째 강의(外傷에의 고착, 무의식) = 276 열아홉 번째 강의(저항과 억압) = 289 스무 번째 강의(인간의 성생활) = 305 스물한 번째 강의(리비도의 발달과 성의 조직) = 323 스물두 번째 강의(발달과 퇴행의 관점, 病因論) = 343 스물세 번째 강의(증상 형성의 길) = 362 스물네 번째 강의(보통의 신경질) = 381 스물다섯 번째 강의(불안) = 396 스물여섯 번째 강의(리비도論과 나르시시즘) = 415 스물일곱 번째 강의(감정전이) = 434 스물여덟 번째 강의(정신 분석 요법) =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