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직업교육편 = 13
제1장 직업교육의 개념과 목적 = 15
제1절 교육의 의미와 사명 = 15
1. 교육의 의미 = 15
2. 교육개념의 유형 = 17
제2절 교육의 기능과 역할 = 19
1. 교육의 기능 = 19
2. 교육의 역할 = 21
제3절 직업교육의 개념과 목적 = 23
1. 직업과 직업교육의 개념 = 23
2. 교육 및 직업교육의 목적 = 26
제2장 대학 직업교육의 필요성과 그 원리 = 33
제1절 대학 직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 33
1. 한국대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의 필요성 = 33
2. 한국대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의 중요성 = 34
제2절 직업교육의 일차적 원리 = 35
1. 직업교육의 이념적 원리 = 36
2. 직업교육의 계획과 과정적 원리 = 37
3. 직업교육의 방법과 연구 및 평가적 원리 = 39
제3절 직업교육의 이차적 원리 = 40
1. 직업교육의 체제 정립 = 41
제3장 직업교육의 철학적 기초 = 45
제1절 직업교육의 철학적 의의와 관계성 = 45
1. 직업교육의 철학적 의의 = 45
2. 직업교육과 교육철학의 관계성 = 46
3. 직업교육철학의 중요성 = 48
제2절 직업교육과 교육철학 = 49
1. 직업교육과 실용주의 교육철학 = 49
2. 직업교육과 재건주의 교육철학 = 51
3. 직업교육과 실존주의 교육철학 = 54
제3절 직업교육의 가치론적 접근 = 56
1. 가치관의 개념 = 56
2. 인간의 행동 결정에 미치는 가치관의 역할 = 58
3. 가치론 중심의 대학직업교육의 의의= 59
제4장 직업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 63
제1절 직업교육과 심리학 = 63
1. 심리학의 개념 = 63
2. 직업교육을 위한 교육심리학의 성격 = 64
3. 인간발달과 직업교육 = 66
제2절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 72
1. 기능 요인과 직업 = 72
2. 적성 요인과 직업 = 74
3. 흥미 요인과 직업 = 75
4. 성격 요인과 직업 = 77
제3절 직무능력과 직무만족 = 78
1. 직무 능력 = 78
2. 직무 만족 = 83
제5장 직업교육의 사회학적 경제학적 기초 = 87
제1절 산업사회의 변화와 직업교육 = 87
1. 사회발전과 직업교육 = 88
제2절 산업사회 인력개발을 위한 직업교육 = 91
1. 산업사회의 변화와 인력개발 = 91
2. 사회변동과 교육의 과제 = 92
제3절 직업교육과 교육생산성 = 95
1. 교육생산성과 직업교육 = 95
2. 직업교육의 경제적 분석 = 97
3. 직업교육과 경제체제 = 99
제2부 취업진로 지도편 = 101
제6장 한국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103
제1절 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필요성 = 103
1. 대학생(직업)진로교육의 필요성 = 104
제2절 진로발달 이론과 직업발달 이론 = 111
1. 진로발달 이론과 직업발달 이론 = 112
제3절 한국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실천방안 = 115
1. 교내·외 교육 실습을 통한 실천방안 = 116
2. 전망과 과제 = 119
제7장 취업준비와 면접대책 = 121
제1절 취업지도와 취업준비의 과제 = 121
1. 취업지도의 과제 = 121
제2절 취업준비를 위한 기본사항 = 124
1. 취업준비를 위한 다섯 가지 기본사항 = 124
제3절 면접시험 준비와 대책 = 127
1. 면접의 기본 개념 = 128
2. 면접에 대한 준비 = 132
제4절 면접시험의 역할 및 기준과 실제 = 137
1. 면접시험의 역할과 문제점 = 137
2. 면접시험의 절차 = 140
3. 면접시험의 평점요소와 기준 = 144
제8장 국가기술자격검정 안내 = 165
제1절 기술자격검정 개요, 검정방법 및 국가기술자격법 = 165
1. 정의와 목적 = 165
2. 기술분야와 계열 및 등급 = 165
3. 국가기술자격 종목 현황 = 166
4. 검정방법 및 시행형태 = 168
5. 국가기술자격법·동법 시행령·동법 시행규칙 개정사항 안내 = 168
제2절 계열별·등급별 응시자격 및 검정 기준 = 170
1. 계열별·등급별 응시자격 기준 = 170
2. 계열별·등급별 검정기준 = 173
제3절 고용안정 직업훈련 안내 = 174
1.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개요 = 175
2. 고용한정 직업훈련프로그램 = 176
3. 실업자를 위한 직업훈련 = 176
4. 재직근로자 고용유지를 위한 직업훈련 = 182
5. 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을 위한 직업훈련 = 184
제9장 공무원, 고등고시 시험정보 안내 = 187
제1절 9급공무원 시험안내 = 187
1. 총무처 9급 행정 = 187
2. 서울시 및 각 시·도 9급 지방행정직 시험 = 189
3. 국회사무처 9급 = 189
4. 법원서기보 시험 = 190
5. 각 시·도 9급 교육행정직 = 190
6. 급식교사(식품위생직) = 190
7. 경팔관(순경)채용시험(남·여) = 191
8. 소방공무원 = 192
9. 철도공무원 시험 = 192
10. 집배원·우편원 = 193
11. 9급 기술직(국가직) = 193
12. 청원경찰 = 194
13. 기능직 9·10등급(지방직) 여자주차단속원 등 = 194
제2절 7급 공무원 시험안내 = 195
1. 7급 행정·공안직군 = 195
2. 국회사무처 = 197
3. 특정직(안기부) = 197
4. 경찰간부후보생(일반, 해경, 통신) = 197
5. 소방간부후보생(격년제 시행) = 198
6. 7급 별정직(대통령 경호실 직원) = 199
7. 보도직 7급 특채 = 199
8. 7급 기술직(국가·지방직) = 199
9. 농촌진흥청·생활지도사 = 201
제3절 고등고시안내 = 203
1. 사법시험 = 203
2. 행정고등고시 = 203
3. 외무고등고시 = 205
4. 기술고등고시 = 205
5. 법원행정고등고시 = 207
6. 군법무관임용시험(격년제 시행) = 207
7. 입법고등고시(국회사무관) = 207
8. 지방고등고시 = 207
9. 지방고등고시 시험과목 = 208
제4절 교사임용 시험안내 = 211
제10장 입사시험 및 군무원 시험 안내 = 215
제1절 중요 입사시험 안내 = 215
1. 한국통신 5·6급 행정·기술직 = 215
2. 한국이동통신 = 215
3. 한국전력공사 = 216
4. 서울시 지하철공사 = 217
5. 도시철도공사 = 218
6. 국민연금관리공단 = 219
7. 의료보험연합회 = 219
8. 각종 공사시험 = 220
9. 언론기관 = 222
10. 금융기관 = 223
제2절 각종 자격시험 안내 = 225
1. 감정평가사 = 225
2. 공인중개사 = 225
3. 법무사 = 226
4. 변리사 = 226
5. 공인노무사 = 227
6. 주택관리사(보) = 227
7. 세무사 = 228
8. 공인회계사(CPA) = 228
9. 손해사정인 = 228
10. 보험계리인 = 229
11. 행정사(행정서사) = 230
12. 물류관리사 = 230
13. 경비지도사 = 230
14. 환경기사(1·2급) = 231
15. 산업안전관리자(산업안전 기사 1·2급) = 231
제3절 군관계 및 군무원 시험 = 232
1. 카투사 시험 = 232
2. 3사사관후보생 시험 = 232
3. 여군하사관 시험 = 232
4. 간호사관생 시험 = 233
5. 군무원 시험 = 233
제3부 창업과 자영편 = 237
제11장 중소기업과 창업 = 239
제1절 중소기업의 정의 = 240
1. 질적, 양적 정의 = 240
2.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정의 = 241
3. 중소기업의 특성과 역할 = 242
제2절 창업과 창업지원제도 = 243
1. 언제나 열려 있는 창업의 장 = 243
2. 창업지원 제도 = 248
제12장 제조업의 창업절차와 업종 = 261
제1절 일반창업 절차 = 262
1. 기본적인 창업업무의 추진과정 = 262
2. 업종선정 = 263
3. 사업성 검토 및 사업계획 수립 = 264
4. 회사설립 및 사업자등록 = 266
5. 공장확보 = 272
6. 설비 및 인력확보 = 275
7. 기타 행정절차 = 275
제2절 입지선정과 공장설립 = 276
1. 입지의 선정 = 276
제3절 인·허가가 필요한 제조업종의 기준과 절차 = 279
1. 허가·지정이 필요한 업종과 기준 = 279
2. 신고·등록이 필요한 업종과 기준 = 281
제13장 도·소매업의 창업절차와 업종 = 293
제1절 도·소매업의 범위와 분류 = 293
1. 유통의 개념과 도·소매업 = 293
2. 도매업의 구조 = 293
3. 소매업의 구조 = 294
제2절 유통정책과 지원제도 = 295
1. 유통정책의 필요성 = 195
2. 유통정책 시스템의 구성 = 296
3. 유통정책의 과제 = 296
4. 중소유통업체 지원제도 = 296
제3절 도·소매업의 일반적인 창업절차 = 299
1. 일반창업절차 = 299
2. 업종선정과 사업규모 결정 = 300
3. 인·허가사항 및 점포용도 확인 = 301
4. 상권 및 시장 분석 = 301
5. 사업계획서 작성 = 301
6. 점포입지선정 = 302
7. 개업준비 절차 = 302
제4절 인·허가가 필요한 업종의 기준과 절차 = 307
1. 인·허가절차가 필요한 도·소매업 = 308
2. 대학 졸업생들이 고려할 업종 = 309
제14장 서비스업이 창업절차와 업종 = 323
제1절 서비스업의 범위와 분류 = 323
1. 서비스업의 개념 = 323
2. 서비스산업의 분류 = 324
3. 서비스업의 특징 = 328
제2절 서비스업의 일반적인 창업절차 = 330
제3절 인·허가가 필요한 업종의 기준과 절차 = 331
1. 인·허가절차가 필요한 서비스업 = 332
2. 대학졸업생들이 고려할 업종 = 333
제4절 전문서비스업 = 347
1. 대학생들이 준비하면 좋은 전문서비스업 = 347
제5절 새로운 서비스산업 분야 = 351
1. 대학생들이 알아두면 좋은 신 서비스 업종 = 351
제15장 농업·수산업·광업·건설업의 창업절차 = 361
1. 대학졸업생들이 고려할 업종 = 363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