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5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640153 | |
005 | 20100806063315 | |
007 | ta | |
008 | 990709s1998 ulk 001a kor | |
020 | ▼a 8971152753 ▼g 33380 : ▼c \11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23304 ▼l 111123305 ▼l 111123306 |
082 | 0 4 | ▼a 372.6 ▼2 21 |
090 | ▼a 372.6 ▼b 1998 | |
100 | 1 | ▼a King, Nancy |
245 | 2 0 | ▼a (창조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위한) 교육연극방법 / ▼d 낸시 킹 지음 ; ▼e 황정현 옮김. |
246 | 1 9 | ▼a Playing their part - language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
260 | ▼a 서울 : ▼b 평민사 , ▼c 1998. | |
300 | ▼a 367 p. ; ▼c 23 cm. | |
490 | 0 0 | ▼a 평민신서 ; ▼v 7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황정현 ▼0 AUTH(211009)94570 |
950 | 0 | ▼b \11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72.6 1998 | 등록번호 111123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낸시 킹(지은이)
델라웨어 대학(University of Delaware)의 University Honors Program의 교수로, 어린이의 언어사용 능력향상을 위해 연극적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예술적 매체 접근 방법을 통해 강의하고 있다. 여섯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미국, 스칸디나비아, 헝가리, 캐나다 그리고 영국에서 워크숍을 이끌어 오고 있다.
황정현(옮긴이)
서울교육대학교를 거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초등 국어과 교육론>(공저), <동화교육방법론> 등과 역서로 <창조적인 언어사용 능력을 위한 교육연극 방법>, <글쓰기의 문제해결 전략>(공역)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기원 = 5 1부 기초 다지기 1장. 질문하기 = 16 왜 교육에서 예술을 사용하는가? = 17 교실에서 감수성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 = 19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학습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가? = 22 교사들에게 필요한 공식적인 준비는 무엇인가? = 26 2장. 이야기들 : 교사의 삶 형성하기 = 30 마리아 = 31 야구 선수들 = 34 던지는 사람과 받는 사람 = 36 '산' 같은 여자 = 38 일곱 소년들 = 40 신데렐라 = 46 반향(Renounce) = 56 2부 바탕작업 3장. 교사의 준비 = 60 양상(patterns) 관찰하기 = 62 양상(patterns) 묘사하기 = 63 학습 계획하기 = 64 가능성 발견하기 = 65 해결 방안 선택하기 = 67 선택과 과정을 반성하기 = 68 상상력에 접근하는 방법 회복하기 = 69 창의성에 접근하는 방법 회곱하기 = 71 상상력과 창조성을 계발하기 위한 아이디어 = 73 4장. 언어 교육을 위한 방법 = 77 이미지 만들기 = 78 이야기 만들기 = 82 움직임 = 85 연극 = 90 소리 만들기와 음악 = 95 이미지 만들기, 이야기 만들기, 움직임, 연극 계발을 위한 아이디어 = 100 5장. 학급경영 = 103 참여 = 110 훈련 = 117 상상력, 창조력, 표현력 = 122 공동체 만들기 = 128 협동적인 학습 = 138 학습을 구성하는 요소들 = 147 과정 중심의 학습 = 149 상응 과업(Response-tasks) = 158 3부 자료작업 6장. 학급 활동 고안을 위해 틀 짜기 = 162 프로그램 고안의 구성 요소들 = 162 활동의 조직 = 163 참여 = 164 자의식 = 164 방해 = 166 과업 계획을 위한 제안들 = 167 준비운동 = 169 준비 운동을 위한 제안들 = 169 휴식 = 172 7장. 비음성적인 의사소통 탐구 = 174 이미지 만들기를 위한 탐구 = 175 움직임을 위한 탐구 = 187 소리 만들기와 음악 탐구하기 = 206 8장. 음성 언어 탐구하기 = 221 이야기 구연(Storytelling) 탐구하기 = 222 짝짓기 = 223 교실에서 이야기 함께 나누기 = 233 화자와 이야기 연결하기 = 234 연극 탐구하기 = 236 9장. 문자 언어 탐구하기 = 250 시 탐구하기 = 252 이야기 만들기 탐구하기 = 267 이야기 선택하기 = 267 이야기 함께 나누기 = 269 연극 만들기 탐구하기 = 280 극작을 위한 틀 만들기 = 286 희곡 쓰기 = 292 연극 용어 모음 = 306 희곡을 볼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의문들 = 307 희곡을 가지고 연극하기 : 완성된 극본 = 308 10장. 반성과 평가 = 315 우선 순위 정하기 = 317 시작을 위한 하나의 틀 = 320 학습 촉진을 위한 평가 전략 = 324 아이들과 함께 계획하는 공간 만들기 = 324 동기화 = 329 이미지 잡지 = 331 일지 읽기 = 331 학습 저널 = 333 학생들의 포트폴리오(portfolio) = 334 창조적인 작업 평가하기 = 337 학습에 대한 사랑 = 341 교육적 발전 = 342 자극과 보상 = 342 평생교육 = 343 적극적인 학습자로 만드는 질문 = 344 저자후기 = 345 역자후기 = 347 참고문헌 = 350 찾아보기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