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3
제6판 및 그 후판 서언 = 7
서언 = 8
제2판 서언 = 11
제3판 서언 = 11
서론 = 13
제1절 감동과 연구 = 13
제2절 문예학의 대상 = 15
제3절 문예학의 개념과 역사 = 22
예비적 고찰 = 37
제1장 문헌학적 전제 = 39
제1절 원문 비평판 = 39
제2절 작자의 확인 = 50
[부설 : 원본에 의한 작자규정 = 57]
제3절 성립 연도에 관한 문제들 = 64
제4절 참고 자료 = 69
제1부 분석의 기본 개념 = 75
제2장 내용의 기본 개념 = 79
제1절 소재 = 79
제2절 모티브 = 84
[부설 : 네 편의 시에 나타난「밤」의 모티브 = 92]
제3절 주도 모티브, 토포스 Topos, 우의화 = 103
제4절 허구(우화) = 112
제3장 운문의 근본 개념 = 118
제1절 운문 체계 = 118
제2절 시각 = 122
제3절 시행 = 125
제4절 시절 = 130
제5절 시 형식 = 135
제6절 운 = 141
제7절 운율학과 운율사 = 143
제8절 음향 분석 = 145
제4장 언어 형식 = 147
제1절 어음 형성 = 149
제2절 품사 = 155
제3절 수사학적 유형 = 162
[부설 : 형상, 직유, 은유, 공감각 = 179]
제4절 「상투적」 배어법 = 192
[부설 : 구문론과 시구 = 197]
제5절 구문의 제 형식 = 204
제6절 문단 형식 = 228
[부설 : 산문 원전에 있어서의 문단 형식 = 229]
제7절 화법과 말의 형식 = 235
제5장 구조 = 238
제1절 서정시의 구조 문제 = 239
(a) 하나의 용례(베를렌느) = 239
(b) 외부 구조와 내부 구조 = 248
(c) 연쇄 시편의 구조 = 257
제2절 희곡의 구조 문제 = 258
(a) 장과 막 = 258
(b) 사건 전개의 구조 = 264
제3절 서사 문학의 구조 문제 = 267
(a) 외부 구조 형식 = 267
(b) 서사적 경과 과정 = 269
(c) 서사적 기본 형식 = 274
중간부 = 281
제6장 표현의 형식 = 283
제1절 서정시의 표현 문제 = 286
제2절 희곡의 표현 문제 = 293
제3절 서사 문학의 표현 문제 = 299
제2부 종합의 근본 개념 = 319
제7장 내실 = 321
제1절 문학가 자신의 작품 해석 = 321
제2절 딜타이의 문제제기 = 330
제3절 횔더린의 시「젊은 시인들에게」 = 335
제4절 방법의 한계 = 344
제8장 리듬 = 355
제1절 단위 운율과 리듬 = 355
제2절 운문율 = 362
제3절 리듬 분석의 두 가지 실례(롱펠로우와 브렌타노) = 372
제4절 리듬과 시의 어휘 = 380
제5절 산문율 = 389
(a) 문말(文末)의 리듬 형태 = 389
(b) 리듬으로 제한된 추고 = 392
(c) 스턴의 산문론에 관해서 = 397
제9장 양식(문체) = 400
A. 양식(문체)의 개념 = 400
제1절 고식적(故息的)인 양식(문체)론과 규범적인 양식(문체)론 = 401
제2절 언어학의 양식(문체)론 = 403
제3절 양식(문체)은 인간 자체이다 = 405
제4절 미술학의 영향을 받은 양식(문체) 연구 = 408
제5절 간접 증거에 의한 표현 연구 = 412
제6절 작품 양식(문체)으로써의 양식 = 423
제7절 대상성(對象性), 언어, 양식(문체) = 428
B. 양식(문체)연구 = 438
제1절 산문·텍스트의 양식(문체) 규정 = 438
(a) 파탄된 양식(문체) = 439
(b) 통일된 양식(문체)「오후터딩엔」 = 445
제2절 시의 양식(문체) 규정 = 456
(a) 호프만슈타알의「많은 사람들은 물론…」 = 456
(b) 마리오 데 씨-까르네이로의「헛된 입상(立像)」 = 467
(c) 말라르메의「달이 뜬다」 = 475
제3절 양식(문체) 연구의 방법성 = 484
제10장 장르의 구조 = 486
제1절 문제점 = 486
제2절 서정시-서사문학-극문학과 서정적-서사적-극적 = 489
제3절 서정적인 것의 태도와 형식 = 497
(a) 태도 = 497
(b) 내면 형식 = 503
(c) 세 가지 시의 태도와 형식들 = 507
제4절 서사적인 것의 태도와 형식 = 511
(a) 서사적 세게의 구조 요소 = 511
(b) 서사시 = 520
(c) 장편소설 = 522
(d) 서술소설 = 530
제5절 극적인 것의 장르 = 531
(a) 극적인 것 = 531
(b) 인물극, 공간극, 사건극 = 534
(c) 가렛의「수도사 루이스 데 소사」해석 = 541
(d) 희극과 익살극 = 551
부록 = 561
문학 방법론의 문제 / 김종대 = 563
해석학적 방법론의 연구 상황과 문제성 / 이유영 = 574
Wolfgang Kayser의 문예 해석학적 방법론 / 김윤섭 = 619
참고문헌 = 702
역자후기 = 703
색인
사항 색인 = 707
인명 색인 =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