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7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39893 | |
005 | 20100806063012 | |
007 | ta | |
008 | 990707s1997 ulk AK 000a kor | |
020 | ▼a 8970965858 ▼g 94340 : ▼c \7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28937 ▼l 111128938 ▼l 111128939 ▼l 131006677 ▼f 의학 |
082 | 0 4 | ▼a 089.97 ▼2 21 |
085 | ▼a 0410 ▼2 KDCP | |
090 | ▼a 089.97 ▼b 1979 ▼c 76 | |
100 | 1 | ▼a 이광규 |
245 | 1 0 | ▼a 전통문화 산책 / ▼d 이광규 지음.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 ▼c 1997. | |
300 | ▼a 298 p. ; ▼c 19 cm. | |
440 | 0 0 | ▼a 대학교양총서 ; ▼v 76 |
950 | 0 | ▼b \7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79 76 | 등록번호 1111289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광규(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미국 하와이 동서문화센터 연구교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교환교수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 교환교수 미국 워싱턴 대학 교환교수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역임 2013년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명예교수 저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한국가족의 사적연구』, 『한국가족의 심리문제』, 『문화인류학개론』, 『재일한국인』, 『재미한국인』, 『재중한인』, 『재외동포』, 『러시아 연해주의 한인사회』, Korean Family and Kinship, Overseas Koreans, Korean Traditional Culture, 『신민족주의의 세기』, 『재소한인』(공저), 『다민족국가의 민족문제와 한인사회』(공저),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인식』(공저), 『한국종교의 이해』(공저) 외 다수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1. 전통문화와 민속 전통문화와 민속 = 3 한국 민속문화의 특성과 과제 = 18 민속과 사회 = 33 민속과 민족주의 = 50 2. 전통문화와 교육 문화전통과 사회교육 = 63 전인교육의 지향 = 80 전통 예절 = 88 박약회의 가르침 = 116 3. 전통문화와 사회 사랑이 담긴 문화와 사랑이 없는 문화 = 121 사회생활의 유형 = 133 마을의 형성 = 138 새로운 세대의 급진적인 의식변화 = 147 라일락 향기 그윽한 사회를 = 152 우리 사회에 브레이크를 걸자 = 155 4. 茶 문화 10여 년 계속된 매일 저녁 찻자리 = 161 세계의 茶 = 166 5. 세시풍속 세시풍속 = 191 정월 초하루 = 194 추석 = 197 송구영신의 민속과 지혜 = 205 6. 통과의례 반드시 치러야 할 통과의례 = 213 진정한 어른이 되려면… = 219 한국인의 지혜와 익살 넘치는 "함 사세요" = 224 돌아가신 조상을 효성으로 받든 제례 = 229 7. 종교 죽음과 영혼 = 241 외딴 섬 나로도의 초분 = 248 한국의 家神崇拜와 무속 = 262 8. 관습 인사에 인색한 민속 = 277 정신적 AIDS = 282 한국인의 의료의식과 약국 = 287 민족박물관의 기능 =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