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11
제1장 소쉬르 : 언어학에서 기호학으로 = 17
1. 형성 과정 = 19
2. 전반적인 고찰 = 30
3. 『강의』에 나타난 소쉬르의 언어 사상 = 31
3.1. 랑그와 빠롤 = 31
3.2. 공시태와 통시태 = 38
3.3. 소쉬르 이론에 대한 야콥슨의 견해 = 44
3.4. 의미론에 대한 소쉬르의 기여 = 49
4. 언어학과 기호학 = 52
4.1. 기호의 원리 = 59
4.2. 기호의 체계-연상 축과 통합 축 = 66
4.3. 아나그람 연구 = 73
5. 문학 기호학의 가능성 = 82
6. 문학 텍스트 분석의 가능성 = 92
6.1. 통합의 축 = 97
6.2. 연상의 축 = 99
6.3. 어가 = 101
7. 맺는 말 = 104
참고문헌 = 106
제2장 옐름슬레우 : 소쉬르의 계승과 기호학의 조직화 = 109
1. 이론의 세 가지 면모 = 111
1.1. 소쉬르의 계승 및 발전 = 111
1.2. 언리학 = 113
1.3. 접근 방법 = 116
1.3.1. 방법론과 원칙 = 116
1.3.2. 형식화 = 117
1.3.3. 분석과 기술(記述) = 121
2. 언어와 랑그, 언어학과 기호학 = 123
3. 체계와 과정 = 128
4. 관계와 함수 기능 = 131
5. 기호 체계 = 137
6. 외시와 공시 = 147
7. 텍스트 분석 = 154
8. 맺는 말 = 161
참고문헌 = 163
제3장 벵베니스트 : 커뮤니케이션 언어의 해부 = 165
1. 들어가는 말 = 167
2. 꿀벌 언어와 예술 언어의 특징과 한계 = 168
3. 랑가쥬와 랑그 = 174
4. 랑그와 기호의 성질 = 179
5. 기호 체계와 기호적 방식 = 188
5.1 이중적 의미 형성 = 192
6. 의미적 방식 = 198
6.1. 언술 작용 = 198
6.2. 대명사 = 200
6.3. 수행문 = 201
6.4. 시제와 시간의 문제 = 206
6.5. 양태성 = 209
7. 텍스트와 시제 = 213
8. 언어와 주체성 = 221
9. 맺는 말 = 227
참고문헌 = 231
제4장 그레마스 : 이야기성 기호학의 체계화 = 233
1. 생애와 연구의 궤적 = 235
1.1. 기호학의 전제와 방법론 = 238
1.2. 이론적 영향 = 240
1.2.1. 떼니에르와 프로프 = 240
1.2.2. 레비-스트로스 = 243
2. 이론의 전체적 구도 = 246
2.1. 기호-이야기체 구조 = 248
2.1.1. 심층 층위 = 250
2.1.1.1. 심층 의미론 = 250
2.1.1.2. 심층 통사론 = 251
2.1.2. 표층 층위 = 253
2.1.2.1. 이야기체 의미론 = 253
2.1.2.2. 이야기체 통사론 = 253
2.2. 담화체 구조 = 257
2.2.1. 담화체 의미론 = 257
2.2.2. 담화체 통사론 = 259
2.3. 텍스화와 표출 구조 = 263
3. 어휘론에서 의미론으로 = 265
3.1. 의미론의 구도와 기본 개념들 = 267
3.1.1. 의소 = 268
3.1.2. 의소의 범주 = 270
3.1.3. 기호론적 층위와 의미론적 층위 = 271
3.1.4. 동위소 = 273
3.2. 기호 사각형 = 275
3.2.1. 기호 사각형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 사각형 = 277
3.2.2. 기호 사각형에 대한 몇 가지 논의 = 282
3.2.3. 다니엘 파트의 검증 = 286
4. 의미론에서 기호학으로 = 291
4.1. 행위소 모형 = 292
4.2. 술사 = 295
4.3. 양태 = 297
4.3.1. 기호학적 양태 = 297
4.3.2. 진리 검증 양태 = 301
4.3.3. 사역 양태 = 303
4.3.4. 중첩 양태화 = 304
4.3.5. 상태의 양태화 = 307
5. 기호학적 분석 : 모파상의 『두 친구』 = 310
5.1. 『두 친구』의 전체 줄거리 = 311
5.2. 분석 = 313
6. 정념의 기호학 = 320
7. 주체의 문제 = 327
8. 맺는 말 = 333
참고문헌 = 337
제5장 바르트 : 기호와 텍스트를 위한 탐험 = 339
1. 들어가는 말 = 341
2. 바르트와 기호학적 전망 = 343
2.1. 제1기 경탄의 시기(1949~1956) = 347
2.2. 제2기 기호학의 학문적 탐구의 시기(1957~1963) = 347
2.3. 제3기 텍스트 연구(1963년 이후) = 348
3. 글쓰기 개념과 언어 = 350
3.1. 문학과 언어학의 관계 = 350
3.2. 랑그, 문체, 글쓰기 = 353
3.3. 글쓰기와 참여 = 356
3.4. 작가와 글쓰기 = 358
3.5. 글씨기의 영도 = 360
4. 기호와 신화 = 363
4.1. 바르트의 기호 체계 = 363
4.1.1. 랑그와 빠롤 = 366
4.1.2. 기표와 기의 = 368
4.1.2.1. 기호 = 368
4.1.2.2. 기의와 기표 = 371
4.1.3. 의미 작용 = 372
4.1.4. 어가 = 373
4.1.5. 통합체와 계열체 = 374
4.1.6. 외시와 공시 = 381
4.2. 신화론 = 384
4.2.1. 신화 체계 이론 = 386
4.2.2. 신화의 실례 = 388
4.2.3. 신화의 특성과 문제점 = 391
4.2.4. 신화 분석 : 플로베르의 『부바르와 페퀴셰』 = 397
5. 기호학 : 이야기의 구조적 분석 = 400
5.1. 기능 층위 = 405
5.1.1. 단위 나누기 = 406
5.1.2. 단위의 분류 = 407
5.1.3. 기능적 구문론 = 408
5.2. 행위 층위 = 412
5.2.1. 등장 인물 재고 = 412
5.2.2. 주인공의 문제 = 412
5.3. 서술 층위 = 413
5.3.1. 서술적 의사 전달 = 413
5.3.2. 이야기의 상황 = 416
5.3.3. 이야기의 체계 = 417
6. 『S/Z』와 새로운 글읽기 = 421
6.1. 모형 구축에서 텍스트의 실천으로 = 421
6.2. 세미오시스 = 423
6.3. 『사라진느』의 내용 = 431
6.4. 텍스트 분석 = 433
7. 『텍스트의 즐거움』과 바르트의 텍스트 철학 = 439
7.1. 글 읽기 = 440
7.2. 언어 = 444
7.3. 텍스트 = 451
7.4. 정신 분석 = 459
8. 남는 문제 : 주체 = 464
9. 맺는 말 = 470
참고문헌 = 473
에필로그 = 477
후기 = 483
인명 색인 = 487
사항 색인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