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 機動戰理論講論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 機動戰理論講論 (Loan 3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기연
Title Statement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 機動戰理論講論 / 朴基連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一潮閣 ,   1998.  
Physical Medium
324 p. : 삽도 ; 23 cm.
ISBN
893370322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08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38198
005 20100806060634
007 ta
008 990623s1998 ulka 001a kor
020 ▼a 8933703225 ▼g 9339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2110 ▼l 111121101 ▼l 111121102
082 0 4 ▼a 355.42 ▼2 21
090 ▼a 355.42 ▼b 1998
100 1 ▼a 박기연 ▼0 AUTH(211009)94657
245 1 0 ▼a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 ▼b 機動戰理論講論 / ▼d 朴基連 著.
260 ▼a 서울 : ▼b 一潮閣 , ▼c 1998.
300 ▼a 324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50 0 ▼b \12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510991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510991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111211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510991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42 1998 Accession No. 1510991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기연(지은이)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사

머리말

Ⅰ 機動戰의 論理

 제1장 4F 원리와 기계화부대의 역할

  1. 4F 원리의 형성

   (1) 「풀러」의 3F 원리 = 2

   (2) 일본군의 4F 원리 = 4

  2. 4F 원리로 분석한 주요 전례

   (1) 발견(find) 원리로 본 「마르느」전역 = 5

   (2) 고착(fix)의 원리로 본 낙동강 방어전선 = 8

   (3) 타격(fight) 원리로 본 인천상륙작전 = 10

   (4) 종결(finish) 원리로 본 한국전쟁 초기 전역 = 11

  3. 4F 원리와 기계화부대

   (1) 기계화부대의 담당 기능 = 13

   (2) 기계화부대의 특성 = 15

  4. 결론 = 16

 제2장 군시(Military Hour) 개념과 기계화부대의 전술전기

  1. 서론 = 18

  2. 「풀러」가 주장한 Military Hour(軍時)란 무엇인가? = 19

  3. Military Hour와 기계화부대 = 22

  4. Military Hour를 달성하기 위한 기계화부대의 전술전기

   (1) 기갑작전에 대한 미·소의 인식 = 24

   (2) 기계화부대의 전술·전기 : 기동성 이용과 종심전투 = 25

   (3) Military Hour 달성을 위한 기계화부대 지휘관 자질 = 27

  5. 결론 = 28

 제3장 지상군 기동방식의 현대적 발전

  1. 서론 = 30

  2. 지상전투의 특성과 기동 원리 = 31

  3. 지상군 기동방식의 발전

   (1) 고대 및 중세의 기동방식 : 측익탐색(out wing) = 33

   (2) 근대군의 기동방식 : 측익탐색, 돌파, 돌진 = 36

   (3) 제1차 세계대전시의 기동방식 : 화력의 기동대체 = 39

   (4) 제2차 세계대전시의 기동방식 : 돌입, 돌파, 돌진 = 42

   (5) 미래의 기동방식 : 돌입(공중기동), 돌파, 돌진 = 45

  4. 기동방식 측면에서 본 기계화부대의 역할 = 49

  5. 결론 = 51

 제4장 돌입, 돌파, 돌진의 삼단 공격방식과 전격전

  1. 서론 = 53

  2. 공격작전의 방식 = 53

  3. 돌입, 돌파, 돌진의 삼단 공격방식

   (1) 삼단 공격방식의 형성 =57

   (2) 돌입단계 = 59

   (3) 돌파단계 = 61

   (4) 돌진단계 = 63

  4. 삼단 공격방식과 전격전

   (1) 전격전의 구체적 양상 = 64

   (2) 전격전 방식과 삼단 공격방식 비교 = 66

  5. 결론 = 69

Ⅱ 機動戰의 理論

 제5장 기계화전 이론의 현대적 전개

  1. 현대전의 시작 = 73

  2. 기계화전 이론의 효시 : 전략적 마비이론(Plan 1919) = 75

  3. 기계화전의 구체적인 방식 : 간접접근전략 = 81

  4. 전차와 항공기가 결합된 전격전 모델 = 84

  5. 결론 = 87

 제6장 기동전 이론의 이해

  1. 서론 = 89

  2. 본 장의 구성 = 90

  3. 전쟁의 영역과 스펙트럼

   (1) 전쟁의 영역 : War, Warfare, Battle = 92

   (2) 전쟁의 스펙트럼(spectrum) = 94

  4. 전쟁의 양상과 기동전

   (1) 전쟁의 구성(기동과 전투) = 98

   (2) 전쟁 성격의 결정요소(기동전이냐? 화력소모전이냐?) = 99

  5. 기동 및 기동전의 정의와 특징

   (1) 기동의 정의 = 101

   (2) 기동전(maneuver warfare) = 104

   (3) 기동전의 특징 = 105

  6. 기동전 원리의 이해

   (1) 부대지휘 판단 및 결심주기(OODA LOOP) = 107

   (2) 기동전을 위한 준비 = 109

  7. 기동전 이론의 적용(미국)

   (1) ALB(Airland Battle) = 112

   (2) ALBF(Airland Battle Future) = 113

   (3) ALO(Airland Operation) = 115

  8. 결론 = 115

 제7장 기동! 그 의미와 성격

  1. 서론 = 117

  2. 기동의 의미

   (1) 2가지 군사 이론 학파 = 118

   (2) 기동의 정의 확대 = 121

  3. 기동의 성격

   (1) 기동성을 이해하기 위한 3가지 지표 = 122

   (2) 기동대형이 발휘하는 4가지 물리적 힘 = 126

   (3) 기동성의 활동 = 130

   (4) 기동전의 계획과 실시 = 135

  4. 결론 = 138

 제8장 소련군 종심전투 교리의 현대적 발전

  1. 서론 = 141

  2. 소련군 종심전투 교리 형성의 근원

   (1) 종심전투 교리 형성의 원인 = 146

   (2) 종심전투 교리 형성의 근인 = 150

  3. 소련군 종심전투 교리의 정착

   (1) 초기단계의 작전술 : 연속적 작전이론 = 157

   (2) 「트리안다필로프」의 충격군(shock army)이론 = 161

   (3) 「투하체프스키」의 종심전투 이론 = 164

  4. 제2차 세계대전시 종심전투 교리 적용

   (1) 소련군 기계화부대의 재생 = 172

   (2) 종심전투 교리의 실전 적용 모델 = 176

  5.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종심전투 교리의 발전

   (1) 「스탈린」의 5대 영구적 요소 지배 시기 = 182

   (2) 군사에서의 혁명(revolution in military affair) 시기 = 186

   (3) 핵무기와 재래식 무기 균형추구 시기 = 191

   (4) 과학·기술혁명 시기 = 195

   (5) 종심전투 교리의 발전 전망 = 207

  6. 결론 = 212

Ⅲ 機動戰의 方法

 제9장 TEMPO의 이해

  1. 서론 = 218

  2. 템포의 정의

   (1) 「심프킨」의 견해 = 219

   (2) 「사브킨」의 견해 = 220

   (3) 미 해병대의 견해 = 221

   (4) 정의의 분석 = 222

  3. 템포의 증·감 요소

   (1) 템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223

   (2) 템포의 증가 요소 = 223

   (3) 실시템포의 감소 요인 = 228

  4. 템포의 특성 및 발전 추세

   (1) 템포의 특성 = 229

   (2) 제2차 세계대전시 템포 = 231

   (3) 소련군의 템포 = 232

   (4) 미군의 템포 = 234

   (5) 부대구조 편성시 템포가 갖는 의미 = 235

  5. 결론 = 238

 제10장 「클라우제비츠」의 중심(Schwerpunkt)에 대한 현대적 이해

  1. 서론 = 240

  2. Schwerpunkt의 개념

   (1) Schwerpunkt, Schwerpunktbildung의 어의 = 241

   (2) 「클라우제비츠」의 Schwerpunkt 개념 = 242

  3. Schwerpunkt의 분석

   (1) Schwerpunkt의 결정적 지점(decisive point) = 245

   (2) 「윌리엄 S. 린드」의 해석 = 247

   (3) Schwerpunktbildung = 249

  4. 적용 전례 : 1940년 독일의 프랑스 침공 = 253

  5. Schwerpunkt의 현대적 이해

   (1) Schwerpunkt의 현대적 의미 = 257

   (2) 작전 전략의 과제로 본 집중점(Schwerpunkt) = 258

  6. 결론 = 260

 제11장 입체고속기동전의 이해

  1. 서론 = 262

  2. 입체고속기동전의 정의

   (1) 입체의 의미 = 264

   (2) 고속의 의미 = 267

   (3) 입체고속기동전의 정의 = 270

  3. 입체고속기동전의 성격

   (1) 입체고속기동전은 한국적 공지전투(ALB), 작전적 기동군(OMG)인 공세적 통합전투

의 심장이다 = 271

   (2) 입체고속기동전은 제3물결 군대가 수행해야 할 기동전이다 = 273

   (3) 입체고속기동전은 작전술 구사의 「매뉴얼」이다 = 274

   (4) 입체고속기동전의 특성 = 276

  4. 입체고속기동전의 수행방법

   (1) 기동전의 기본모델 = 279

   (2) 포위기동전 = 280

   (3) 돌파기동전 = 287

   (4) 입체고속기동전 방식 : 혼합기동전 = 292

  5. 입체고속기동전 수행의 강조점

   (1) 고속템포 유지에 모든 노력을 집중하라! = 298

   (2) 연대 및 대대급 부대의 제병협동 능력을 향상시켜라! = 300

   (3) 의사결정은 지휘관 중심으로 신속하라 = 301

   (4) 수좌표등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신속히 하라 = 304

   (5) 적보다 항상 더 많은 상황을 파악하려고 노력하라! = 305

   (6) 연합 및 합동 작전을 위한 협조를 영(soul)으로 승화시켜라! = 306

  6. 입체고속기동전 수행을 위한 교육 훈련

   (1) 2제대 상위 전술을 교육하라! = 307

   (2) 기동전을 위한 전술전기를 교육하라! = 308

   (3) 실전적인 전사연구와 교육을 하라! = 309

   (4) 장교들을 전술가로서 양성하라! = 310

   (5) 전산 교육을 일반화하라 = 311

  7. 결론 = 311

참고문헌 = 313

색인 = 32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Lacey, Jim (2022)
Grossman, Dav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