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5
옮긴이 서문 = 7
서장 = 13
제1부 신문의 역사
1. 정치적 신화로서의 자유주의 신문의 역사 = 19
2. 자유언론을 위한 투쟁 = 23
급진좌파 신문의 경제구조 = 30
급진좌파 신문의 영향력 = 34
3. 개혁의 추한 모습 = 41
새로운 운동 = 44
4. 신문의 산업화 = 50
자본의 자유 = 54
새로운 허가제도 : 광고 = 59
산업화된 신문의 영향 = 67
5. 신문왕들의 시대 = 72
언론 제국의 창건 = 73
신문왕과 소유에 의한 통제 = 77
이익과 정치 = 82
'제4의 권부'의 등장 = 85
신문왕과 사회계급 = 89
경제적 통제의 수정 = 93
6. 공적 규제하의 언론 = 100
검열과 저항 = 102
공산주의 신문의 정간 = 103
좌파 신문 죽이기 = 104
검열의 폐지 = 113
상업적 통제로부터의 자유 = 115
7. 기업합병 시대의 신문 = 119
간섭하는 사주들의 재등장 = 120
언론의 소유 집중 = 128
기업집단, 이익 그리고 정치 = 131
순응과 저항 = 137
시장에 의한 통제의 재등장 = 139
급진좌파 신문의 사멸 = 142
광고체계에 적응하기 = 144
여론을 형성하는 대중시장의 흡인력 = 147
대중지의 탈정치화 = 150
점점 벌어지는 권위지와 대중지의 차이 = 152
선택폭의 축소 = 155
새로운 기술의 현혹적 약속 = 156
정리 = 161
제2부 방송의 역사
8. 리스와 정치에 대한 거부 = 167
청취자, 사장 그리고 돈 찾아내기 = 168
공영법인으로서의 BBC = 171
BBC와 정치적 독립성 = 179
BBC와 총파업 = 181
1930년대의 정부와 BBC = 185
BBC, 사회 그리고 프로그램 = 187
BBC와 저널리즘 = 192
BBC와 유화정책 = 192
1930년대 말의 BBC = 194
9. 방송과 런던 대공습 = 195
'국민들은 깨치고 나갈 것이다' = 196
전쟁 첫 달 = 198
프로그램의 변화 = 201
1940년대와 약동하는 애국주의 = 203
사람들이 변하고 있다 = 210
뉴스 = 217
방송과 신문 = 220
속보성과 BBC = 221
뉴스의 양식 = 223
뉴스, 적국, 연합국, 중립국 = 225
결론 : '내 조국은 옳았는가, 틀렸는가?' = 228
10. 사회혁명은? = 233
방송 = 234
개혁, 전쟁 그리고 교육 = 237
개혁, 전쟁 그리고 BBC = 242
진보인가, 합리화인가? = 245
11. BBC의 몰락 = 248
건축, 독점 그리고 비버리지 보고서 = 249
상업 텔레비전과 새로운 세계 = 252
신구의 경쟁 = 255
상업과 시청자 = 257
공영방송 대 민간기업 = 259
상업, 재정 그리고 텔레비전 = 260
새로운 프로그램들과 새로운 양식 = 262
독점체제의 종식 : 통속적인 새로운 세계 = 266
12. 계급, 취향, 그리고 영리 = 268
노동계급이 소멸한다는 허구 = 269
미디어의 영향력 = 273
진정한 욕구와 거짓 욕구 = 276
오락, 정치 그리고 광고 = 278
13. 시청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280
독립방송위원회 = 282
지역 방송과 시청자들 = 284
방송권과 소유권 = 287
소유권과 텔레비전의 경영 = 288
광고주들이 원하는 시청자 = 289
공적인 규제와 공익 = 300
동요하는 60년대와 안정된 70년대 = 301
채널 4, 소수 집단들 그리고 돈 = 302
14. 정보화 사회 : 비디오, 케이블, 그리고 위성 = 306
공익을 위한 방송을 파괴하기 = 301
정치와 새로운 기술 = 313
검열 = 315
결론 = 317
제3부 미디어 이론
15. 매스 미디어의 사회학 = 321
프랑크푸르트 학파 그리고 신문과 방송의 영향력 = 322
다원주의 :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에 대한 개인적 영향의 역할 = 331
다원주의 : 수용자들이 알고 있는 것에 미치는 영향 = 338
미디어 조직들 = 342
새로운 결정 인자들 : 계급과 시장 = 349
결론 = 357
16. 자유주의적 언론자유론 = 358
출판의 자유 = 360
언론사주들과 소유의 계열화 = 361
제4의 권부의 소유권 = 363
경쟁, 소비자의 선택 그리고 신기술 = 364
개혁 또는 재해석 = 368
신문위원회의 개혁 프로그램 = 369
자유주의 이론의 보완 = 374
신문위원회의 도피주의 = 376
나약한 야당 = 377
17. 방송과 공익 사업의 이론 = 380
국가와 방송 = 385
책임과 방송 = 387
독립적인 직업인들 혹은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 = 389
독립성과 방송의 이론 = 392
결론 = 395
제4부 미디어 정치학
18. 공공정책의 모순들 = 399
위협으로서의 국가 = 401
자상한 국가 = 404
정부와 말기현상들 = 410
정책목표의 다양성 = 411
정보의 정치와 오락의 정치 = 413
압력단체와 정책 = 414
통합된 접근방법의 필요성 = 416
단일화된 커뮤니케이션 정책 = 418
19. 미디어 개혁을 위한 대안들 = 420
공익 사업이라는 전통적인 접근방식 = 421
급진적인 공영방송 = 428
자유시장적 접근 = 438
급진적 시장 접근방식 = 440
급진 자유주의적 접근방법들 = 451
에필로그 = 458
참고문헌 = 462
찾아보기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