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협동학습의 이론적 기저
제1장 협동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 17
1. 협동학습의 개념 = 19
2. 협동학습의 필요성 = 25
3. 협동학습의 역사와 동향 = 32
4. 전통적 소집단학습과 협동학습 = 34
1) 전통적인 소집단학습의 문제점 = 34
2) 전통적 소집단학습과 협동학습의 차이점 = 37
제2장 협동학습과 열린교육 = 41
1. 협동학습의 효과 = 43
1) 학습능력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43
2) 학습과제의 유형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44
3) 집단 보상의 효과 = 45
4) 협동 기술의 효과 = 46
2. 협동학습 효과성의 요인에 대한 관점들 = 47
1) 동기론적 관점 = 47
2) 사회응집성의 관점 = 48
3) 발달론적 관점과 인지론적 관점 = 50
3. 열린교육의 지향점과 지양점 = 52
1) 열린교육의 지양점 = 54
2) 열린교육의 지향점 = 57
4.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방법 = 60
제3장 협동학습의 기본원리 = 67
1. 긍정적 상호 의존성 = 69
1) 긍정적 상호 의존성과 소집단 멤버쉽 = 73
2) 목표 상호 의존성과 보상 상호 의존성 = 73
3) 목표 상호 의존성과 자원 상호 의존성 = 74
4) 긍정적 상호 의존성의 성격 = 76
5) 강한 상호 의존성과 약한 상호 의존성 = 78
6) 사회적 상호 의존성의 중요성 = 80
2. 동시적 상호작용성 = 82
1) 소집단 구성원의 도움 받기 = 82
2) 도움이 필요할 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 85
3) 소집단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 = 86
3. 개별 책무성 = 88
1) 개별 책무성의 유형 = 88
2) 긍정적 상호 의존성과 개별 책무성 = 90
제4장 협동학습의 구성 요소와 수업 절차 = 93
1. 협동학습의 구성 요소 = 95
1) 협동학습을 위한 팀 구성 방법 = 95
2) 소집단 관리와 학급 관리 = 97
3) 협동 의지 = 97
4) 협동 기술 = 99
5) 기본 원리 = 100
6) 구조 = 101
2. 협동학습의 절차와 소집단 편성 방법 = 101
1) 협동학습의 절차 = 101
2) 소집단 구성방법 = 103
3. 학급 관리 = 105
1) 비언어적 신호 = 106
2) 학급 규칙 = 107
3) 좌석 배치 = 108
4) 지시전달 방법 = 109
5) 긍정적인 주목이나 관심 = 111
6) 교사의 역할 : 관찰과 조언 = 112
7) 팀 질문 = 112
8) 동시적 학급관리 = 113
9) 개인적 도전 = 114
10) 학급관리의 성격 = 115
제5장 협동 의지와 협동 기술 = 117
1. 협동 의지 = 119
1) 소집단 공동체 의식 = 119
2) 보상 상호 의존성의 활용 = 123
2. 협동 기술 = 124
1) 협동 기술의 종류 = 125
2) 협동 기술의 훈련 방법 = 128
3. 채점과 인정체제 = 130
1) 향상 점수 체계의 장점 = 130
2) 향상 점수제의 내용 = 134
3) 보상과 내적 동기 유발의 관계 = 137
4) 인정 체제 = 138
제2부 협동학습의 실제
제6장 팀 형성과 학급 형성 = 145
1. 팀 구성 방법 = 147
1) 팀 구성 인원 = 147
2) 팀 구성 단계 = 149
3) 팀의 해체 및 재구성 = 149
2. 팀 형성 = 150
1) 팀 구성원간의 친숙함 도모 = 150
2) 팀 정체성의 확립 = 151
3) 상호 지원의 경험 = 152
4) 가치의 다양성 인정 = 152
5) 시너지 효과 증대 = 153
3. 학급 형성 = 154
1) 학급 구성원간의 친숙함 도모 = 154
2) 학급 정체성의 확립 = 156
3)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인정 = 157
4) 상호 지원의 경험 = 159
4. 사회적 기술의 개발 = 160
1) 협동학습과 병행하여 사회적 기술을 습득시키는 방법 = 160
2)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 = 166
3) 학급의 정숙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 개벌 = 166
제7장 협동학습의 기법 = 171
1. 기초적인 기능의 습득을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73
1) 함께 생각하여 팀 내 해당 번호 학생이 답하기 = 173
2) 또래끼리 점검하기 = 175
3) 플래시 카드 게임 = 176
4) 이중 원을 이용한 학습 = 178
5) 팀별 복습문제 카드를 이용한 학습 = 179
6) 팀별 테스트 = 180
7) 거짓말 찾아내기 = 180
8)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 찾기 = 180
9) '그대로 멈춰' 게임 = 181
10) 팀 주도로 함께 생각한 후 해당 번호 학생이 답하기 = 181
11) 학급 순환 복습 = 182
12) 전체 응답 = 182
13) 복습 카드 = 183
2. 의사소통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84
1) 의사소통 규칙 = 185
2) 의사 결정 방법 = 188
3) 의사소통 형성 방법 = 189
3. 정보 공유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94
1) 팀 내에서의 정보 공유 = 194
2) 팀간의 정보 공유 = 196
4. 사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98
1)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기법 = 198
2) 대상들을 관련시키는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2
3) 분석적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3
4) 개념 획득 및 응용에 관한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3
5) 범주화 = 206
6) 질문 생성을 위한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207
제8장 협동학습의 모형 = 211
1. 완전학습을 위한 협동학습의 유형 = 213
1) 플래시 카드를 이용한 완전학습 = 213
2) 성취 과제 분담학습 = 218
3) 팀 경쟁학습 = 221
4) 팀 보조 개별학습 = 222
2. 과제 세분화 협동학습의 모형 = 223
1) 2인 1조 과제 세분화 협동학습 = 223
2) 전화기 모형 = 223
3) 파트너 모형 = 224
4) 지그소우 모형 = 226
3.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협동학습의 모형 = 233
1)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 = 233
2) 협동 지그소우Ⅰ과 협동 지그소우 Ⅱ = 241
3) 협동적 프로젝트 = 242
제9장 협동학습의 계획 = 257
1. 효과적인 수업의 요소 = 259
2. 효과적인 수업의 원리 = 260
1) 수업 목표의 명확한 제시 = 260
2) 학습 동기의 유발 = 261
3) 학습 결손의 발견과 처치 = 263
4) 학습 내용의 제시 = 265
5) 연습 = 268
6) 형성 평가 = 268
7) 전이 및 일반화 = 269
3. 협동학습 계획의 유형 = 270
1) 협동학습의 기법을 이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0
2) 협동학습의 모형을 적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3
3) 협동학습의 모형을 응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6
4) 협동학습 계획의 자유로운 형식 = 283
제10장 협동학습 평가 = 289
1. 협동학습에서 평가 방식 = 291
1) 거울 방식 평가 = 292
2) 확대경 방식 평가 = 294
3) 광학 렌즈 방식 평가 = 295
4) 망원경 방식 평가 = 297
2. 협동학습 평가에서 교사의 역할 = 298
1)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연습 = 298
2) 의사 결정의 문제 = 299
3) 평가 준거에 대한 학생의 이해 = 300
4)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신뢰성 문제 = 300
5) 협동학습에서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예 = 301
3. 협동학습에서 평가 계획 = 305
1) 협동학습 계획 단계에서의 평가 = 305
2) 협동학습 실행에서 평가 = 306
3) 협동학습 실행 후 평가 = 307
4. 협동학습의 평가 준거 = 307
부록 = 311
참고문헌 = 359
찾아보기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