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Loan 19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변영계 김광휘
Title Statement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 변영계 ; 김광휘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1999.  
Physical Medium
369 p. : 삽도 ; 23 cm.
ISBN
897548284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30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35815
005 20100806054532
007 ta
008 990507s1999 ulka 001a kor
020 ▼a 8975482847 ▼g 9337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22883 ▼l 111122884 ▼l 111122885
082 0 4 ▼a 371.36 ▼2 21
090 ▼a 371.36 ▼b 1999a
100 1 ▼a 변영계 ▼0 AUTH(211009)126714
245 1 0 ▼a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 ▼d 변영계 ; ▼e 김광휘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1999.
300 ▼a 369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광휘 ▼0 AUTH(211009)39391
950 0 ▼b \1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1.36 1999a Accession No. 1111228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6 1999a Accession No. 11112288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03-07-22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6 1999a Accession No. 11112288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변영계(지은이)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협동학습의 이론적 기저

 제1장 협동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 17

  1. 협동학습의 개념 = 19

  2. 협동학습의 필요성 = 25

  3. 협동학습의 역사와 동향 = 32

  4. 전통적 소집단학습과 협동학습 = 34

   1) 전통적인 소집단학습의 문제점 = 34

   2) 전통적 소집단학습과 협동학습의 차이점 = 37

 제2장 협동학습과 열린교육 = 41

  1. 협동학습의 효과 = 43

   1) 학습능력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43

   2) 학습과제의 유형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44

   3) 집단 보상의 효과 = 45

   4) 협동 기술의 효과 = 46

  2. 협동학습 효과성의 요인에 대한 관점들 = 47

   1) 동기론적 관점 = 47

   2) 사회응집성의 관점 = 48

   3) 발달론적 관점과 인지론적 관점 = 50

  3. 열린교육의 지향점과 지양점 = 52

   1) 열린교육의 지양점 = 54

   2) 열린교육의 지향점 = 57

  4.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방법 = 60

 제3장 협동학습의 기본원리 = 67

  1. 긍정적 상호 의존성 = 69

   1) 긍정적 상호 의존성과 소집단 멤버쉽 = 73

   2) 목표 상호 의존성과 보상 상호 의존성 = 73

   3) 목표 상호 의존성과 자원 상호 의존성 = 74

   4) 긍정적 상호 의존성의 성격 = 76

   5) 강한 상호 의존성과 약한 상호 의존성 = 78

   6) 사회적 상호 의존성의 중요성 = 80

  2. 동시적 상호작용성 = 82

   1) 소집단 구성원의 도움 받기 = 82

   2) 도움이 필요할 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 85

   3) 소집단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 = 86

  3. 개별 책무성 = 88

   1) 개별 책무성의 유형 = 88

   2) 긍정적 상호 의존성과 개별 책무성 = 90

 제4장 협동학습의 구성 요소와 수업 절차 = 93

  1. 협동학습의 구성 요소 = 95

   1) 협동학습을 위한 팀 구성 방법 = 95

   2) 소집단 관리와 학급 관리 = 97

   3) 협동 의지 = 97

   4) 협동 기술 = 99

   5) 기본 원리 = 100

   6) 구조 = 101

  2. 협동학습의 절차와 소집단 편성 방법 = 101

   1) 협동학습의 절차 = 101

   2) 소집단 구성방법 = 103

  3. 학급 관리 = 105

   1) 비언어적 신호 = 106

   2) 학급 규칙 = 107

   3) 좌석 배치 = 108

   4) 지시전달 방법 = 109

   5) 긍정적인 주목이나 관심 = 111

   6) 교사의 역할 : 관찰과 조언 = 112

   7) 팀 질문 = 112

   8) 동시적 학급관리 = 113

   9) 개인적 도전 = 114

   10) 학급관리의 성격 = 115

 제5장 협동 의지와 협동 기술 = 117

  1. 협동 의지 = 119

   1) 소집단 공동체 의식 = 119

   2) 보상 상호 의존성의 활용 = 123

  2. 협동 기술 = 124

   1) 협동 기술의 종류 = 125

   2) 협동 기술의 훈련 방법 = 128

  3. 채점과 인정체제 = 130

   1) 향상 점수 체계의 장점 = 130

   2) 향상 점수제의 내용 = 134

   3) 보상과 내적 동기 유발의 관계 = 137

   4) 인정 체제 = 138

제2부 협동학습의 실제

 제6장 팀 형성과 학급 형성 = 145

  1. 팀 구성 방법 = 147

   1) 팀 구성 인원 = 147

   2) 팀 구성 단계 = 149

   3) 팀의 해체 및 재구성 = 149

  2. 팀 형성 = 150

   1) 팀 구성원간의 친숙함 도모 = 150

   2) 팀 정체성의 확립 = 151

   3) 상호 지원의 경험 = 152

   4) 가치의 다양성 인정 = 152

   5) 시너지 효과 증대 = 153

  3. 학급 형성 = 154

   1) 학급 구성원간의 친숙함 도모 = 154

   2) 학급 정체성의 확립 = 156

   3)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인정 = 157

   4) 상호 지원의 경험 = 159

  4. 사회적 기술의 개발 = 160

   1) 협동학습과 병행하여 사회적 기술을 습득시키는 방법 = 160

   2)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 = 166

   3) 학급의 정숙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 개벌 = 166

 제7장 협동학습의 기법 = 171

  1. 기초적인 기능의 습득을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73

   1) 함께 생각하여 팀 내 해당 번호 학생이 답하기 = 173

   2) 또래끼리 점검하기 = 175

   3) 플래시 카드 게임 = 176

   4) 이중 원을 이용한 학습 = 178

   5) 팀별 복습문제 카드를 이용한 학습 = 179

   6) 팀별 테스트 = 180

   7) 거짓말 찾아내기 = 180

   8)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 찾기 = 180

   9) '그대로 멈춰' 게임 = 181

   10) 팀 주도로 함께 생각한 후 해당 번호 학생이 답하기 = 181

   11) 학급 순환 복습 = 182

   12) 전체 응답 = 182

   13) 복습 카드 = 183

  2. 의사소통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84

   1) 의사소통 규칙 = 185

   2) 의사 결정 방법 = 188

   3) 의사소통 형성 방법 = 189

  3. 정보 공유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94

   1) 팀 내에서의 정보 공유 = 194

   2) 팀간의 정보 공유 = 196

  4. 사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198

   1)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기법 = 198

   2) 대상들을 관련시키는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2

   3) 분석적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3

   4) 개념 획득 및 응용에 관한 사고를 촉진하는 협동학습 기법 = 203

   5) 범주화 = 206

   6) 질문 생성을 위한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협동학습 기법 = 207

 제8장 협동학습의 모형 = 211

  1. 완전학습을 위한 협동학습의 유형 = 213

   1) 플래시 카드를 이용한 완전학습 = 213

   2) 성취 과제 분담학습 = 218

   3) 팀 경쟁학습 = 221

   4) 팀 보조 개별학습 = 222

  2. 과제 세분화 협동학습의 모형 = 223

   1) 2인 1조 과제 세분화 협동학습 = 223

   2) 전화기 모형 = 223

   3) 파트너 모형 = 224

   4) 지그소우 모형 = 226

  3.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협동학습의 모형 = 233

   1)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 = 233

   2) 협동 지그소우Ⅰ과 협동 지그소우 Ⅱ = 241

   3) 협동적 프로젝트 = 242

 제9장 협동학습의 계획 = 257

  1. 효과적인 수업의 요소 = 259

  2. 효과적인 수업의 원리 = 260

   1) 수업 목표의 명확한 제시 = 260

   2) 학습 동기의 유발 = 261

   3) 학습 결손의 발견과 처치 = 263

   4) 학습 내용의 제시 = 265

   5) 연습 = 268

   6) 형성 평가 = 268

   7) 전이 및 일반화 = 269

  3. 협동학습 계획의 유형 = 270

   1) 협동학습의 기법을 이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0

   2) 협동학습의 모형을 적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3

   3) 협동학습의 모형을 응용한 협동학습의 계획 = 276

   4) 협동학습 계획의 자유로운 형식 = 283

 제10장 협동학습 평가 = 289

  1. 협동학습에서 평가 방식 = 291

   1) 거울 방식 평가 = 292

   2) 확대경 방식 평가 = 294

   3) 광학 렌즈 방식 평가 = 295

   4) 망원경 방식 평가 = 297

  2. 협동학습 평가에서 교사의 역할 = 298

   1)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연습 = 298

   2) 의사 결정의 문제 = 299

   3) 평가 준거에 대한 학생의 이해 = 300

   4)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신뢰성 문제 = 300

   5) 협동학습에서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의 예 = 301

  3. 협동학습에서 평가 계획 = 305

   1) 협동학습 계획 단계에서의 평가 = 305

   2) 협동학습 실행에서 평가 = 306

   3) 협동학습 실행 후 평가 = 307

  4. 협동학습의 평가 준거 = 307

부록 = 311

참고문헌 = 359

찾아보기 = 36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