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능력검사 = 15
1. KWIS = 17
2. 지능의 본질을 측정하는 검사 = 20
3. 지능발달검사 = 24
4. 지적인 학생의 상 검사 = 27
5. K-ABC : 한국판 = 30
제2장 인성검사 = 33
1. 기질항목검사 = 35
2. 기질차원척도 개정판 = 40
3. 기질차원척도 개정판 : 또래의 맥락 특유 이론 = 44
4. Eysenck의 한국판 성격차원검사(성인용) = 47
5. 개방성 척도 1 = 51
6. 개방성 척도 2 = 55
7. Eysenck A유형 성격검사 = 57
8. Framingham A유형 성격검사 = 59
9. 걸음걸이 특징평가 = 61
10. 자기능력 지각척도 = 64
11. 공격성 측정척도 = 68
12. 내외통제성 척도 = 71
13. 가정환경 진단척도 = 74
14. 심리적 성장환경에 관한 질문지 = 102
15. 가족관계 진단용 SDS = 105
16. 성역할검사 = 111
17. 성도식검사 = 115
18. 일상생활에서의 성역할활동에 대한 반응 질문지 = 122
19. 연령에 따른 연령시 동일시검사 = 126
20. 주관적 연령지각척도 = 129
21. 이상적 연령지각척도 = 131
제3장 상황검사 = 133
1. 지각적 조망수용척도 - Flavell의 과제 = 135
2. 사회적 조망수용척도 = 137
3. 문제해결력검사 - 분배정의검사 = 146
4. MEPS검사 = 150
제4장 자아개념검사 = 157
1. 자아정체감척도 = 159
2. 자기역할에 대한 체크리스트 기술과제 = 163
3. 자기의식척도 = 166
4. 자기의식검사 = 168
5. 개인적 신체의식척도 = 171
6. 자기개념척도 = 172
7. 자아존중감척도 = 174
8. 자존감척도 = 176
9. 불일치측정 질문지 = 178
10. 자기검색척도 = 184
11. 자기효능감 기대척도 = 186
12. 자기지각척도 = 188
제5장 스트레스 질문지 = 191
1. 생활사건 질문지(학생용) = 193
2. 생활 스트레스 척도 = 194
3. 생활사건 조사표 = 197
4. 생활경험조사 질문지 = 200
5. 인지적 실패 질문지 = 205
6. 스트레스 사건경험 질문지 = 207
7.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문지 = 210
8. 생활사건 질문지 = 212
9. 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척도 = 215
10. 직무 스트레스 = 217
11. 직무 스트레스 척도 = 220
12. 사회생활 및 직무에 대한 태도 = 231
13. 부적 정동 = 232
14. 탈진척도(MBI) = 234
15. 신체적 증상 = 236
16. 교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문지 = 237
17. 대처방식척도 = 246
18.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대응 질문지 = 249
19. 사회적 지지척도 = 260
20. 사회적 지지척도(Harter's Social Support Scale) = 262
21. 사회적지지 = 266
22. 대인관계 지지평가척도 = 268
제6장 정서 질문지 = 273
1. 기분 질문지 = 275
2. 정서평가 질문지 = 277
3. 자기 관련 정서척도 = 278
4. 정서측정 질문지 : MCAL = 293
5. 정적 정동과 부적 정동목록 = 294
6. 유발된 감정의 적합성 질문지 = 296
7. 각성 - 탈각성 형동사 체크리스트 간편형 = 298
8. 친애욕구척도 = 300
9. 승인욕구척도 = 305
10. MAI = 308
11. 공격성 측정문항(교사평정용) = 311
12. 중년기 위기감척도 = 312
13. 지각된 모성애척도 = 316
제7장 상담척도 = 319
1. 공감적 이해의 척도 = 321
2. 공감적 이해도 평가척도 = 325
3. 상담자 평가척도 = 327
4. 상담자 언어반응양식 체계 = 330
5. 상담자 의도목록 = 334
6. 상담자특성 질문지 = 336
7. 감정표현반응 평가기준 = 338
8. 자기표현 분류척도 = 340
9. 체험척도 = 342
10. 내담자 언어반응 유목척도 = 344
11. 내담자 주관적 반응체계 = 350
12. 자기탐색반응 분류척도 = 352
13. 통찰 수준 분류척도 = 355
14. 문제 영역별 심각도 질문지 = 358
15. 상담관계 질문지 = 360
16. 상담회기평가 질문지 = 364
17. 작업동맹 질문지 = 367
18. 집단응집력척도 = 370
19. 의사소통 능력검사 = 372
20. 상담효과 질문지 = 375
21. 진로태도 측정도구 = 376
제8장 정신병리검사 = 381
1. 간이정신진단검사(SCL 90) = 383
2. 간이정신진단검사(BPRS) = 387
3. 증상해석질문지(SIQ) = 392
4. JAS = 397
5. 형식적 사고장애 평정척도 = 404
6. 양성·음성 증후군 척도(PANSS) = 406
7. 양성증상척도 및 음성증상척도 = 411
8. 편집척도 = 417
9. Beck의 우울증척도 한국판(BDI 한국판) = 419
10. 우울증 평정척도 = 424
11. 사회향성 - 자율성 척도 = 427
12.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 = 431
13. 기분형용사 체크리스트 = 433
14. 귀인척도 = 434
15. 귀인양식질문지 = 436
16. 생활사건 귀인 질문지 = 442
17. Beck 무망감 척도(BHS) = 449
18. 무망감 우울증 질문지 = 451
19. 자기평가 우울척도(SDS) = 453
20. MAACL = 456
21. Reynolds의 자살생각척도(SIQ) = 457
22. Beck의 자살생각척도(SSI) = 459
23. 상태 - 특성 불안척도 = 464
24. 부정적 관념화 척도 = 467
25. 섭식절제척도 = 468
26. 삼요인 섭식 질문지(TFEQ) = 470
27. 섭식장애검사(EDI-2) = 473
28. 자폐 아동 변별척도 = 476
29. 한국판 MOCI = 478
30. 한국판 LOI = 480
31. 다차원적 완벽성 척도(MPS) = 482
32. 비행경험에 관한 질문지 = 486
33. AIM(K-AIM) = 488
34. 교사평정법 = 507
35. 부부관계 설문지 = 509
36. 분리 - 개별화 척도 = 525
37. 생도 집단응집력 척도 = 528
38. 우리성 척도 = 531
39. 성격장애 평정척도 = 533
40. 성격장애 진단을 위한 자기보고형 척도 = 540
제9장 태도척도 = 549
1. 가격정보에 대한 반응성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 = 551
2. 품질지각, 가치지각 및 구매의도 질문지 = 553
3. 광고호소 유형과 소비자특성 척도 = 555
4. 직무만족척도 = 561
5. 직무만족 = 563
6. 직무만족 및 노동조합 태도척도 = 564
7. 직무만족 및 리더행동과 노조몰입척도 = 573
8.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척도 = 578
9. 주관적 삶의 질 척도 = 584
10. 욕구충족도 - 행복한 삶의 조건 = 585
11. 산재장애인의 주관적 안녕감 척도 = 587
12. 소외감 검사 : 혼합적 수준의 주관적 삶의 질 = 591
13. 경영자 요구조사척도 = 593
14. 부서 활성화를 위한 조직진단검사 = 596
15. 대학생의 가치관 조사 = 610
16. 가치척도(일반적 가치 및 소비자 가치척도) = 630
17. 한국인의 가치관 척도 = 634
18. 직업흥미척도 - Kuder 검사 = 636
19. 직업흥미척도 - Strong 검사 = 646
20. 관광체험척도 = 654
21. 남북통일과 남북한 주민들에 대한 이미지 척도 = 658
22. 노인에 대한 태도검사 = 662
23. SPSI 자기보고형 질문지 = 667
24. 어머니에 대한 태도척도 = 671
25. 노화에 대한 태도척도 = 675